|
* | 종이 사용량 계산 및 기타 상식 | 01/02/06 21:07 | 조회수:6574 |
1. 종이의 종류와 규격
4정형적인 판형에 맞추기보다는 의도에 따라 규격을 변형하여 제작하는 형식파괴가 이뤄지고 있다. (맨밑 도표는 정형적인 판형의 예)
2. 종이 사용량 계산
4본 문 = {(본문쪽수*부수)/전지 1매당 쪽수/500}+{(본문쪽수/전지1매당 쪽수)*1대당 여분량/500}
4표 지 = (부수/전지 1매당 절수/500)+(1대당 여분량/전지 1매당 절수/500)
4낱 장 = 표지와 동일
4예) 신국판, 날개, 320쪽, 10,000부
- 본 문 : {(320*10,000)/32/500}+{(320/32)*200/500}=200+4=204연
- 면 지 : {(8*10,000)/40/500}+0.1=4.1연
- 표 지 : (10,000/6/500)+(200/6/500)=3.34+0.07=3.4연
3. 종이의 거래단위 및 포장단위
4종이는 통상적으로 연과 속 단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연은 종이를 거래하는 기준단위로서 1연(R)은 500장입니다. 속은 1연의 종이를 포장하는 단위를 말하며 종이의 평량이 높고 낮음에 따라 1연을 1~5속 정도로 나누어 포장합니다. 1연을 한꺼번에 포장하게되면 저평량지와 고평량지의 포장두께가 서로 다르게 되고 200g 이상의 고평량지의 경우 무게가 100Kg이상 되기 때문에 사람이 한번에 운반하기 힘들기 때문에 속단위 포장을 합니다.
4평량별 포장단위
- 60~ 100g : 속수 2 / 속당 250매
- 110~200g : 속수 4 / 속당 125매
- 210~300g : 속수 5 / 속당 100매
4. 종이의 결함과 원인
4종이의 결함에는 블랑켓(인쇄판)에 의한 오염, 종이 자체의 결점, 보관, 유통상의 문에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유통, 보관 과정에서는 종이의 수분 흡수 또는 손실, 정전기 등이 가장 큰 문제이고 종이 자체는 평량의 불균형, 도공량의 과부족 등이다. 인쇄할 때도 정전기, 수분때문에 급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블랑켓의 손실이 발생한다.
판형 |
크기(mm) |
종이 |
전지 1매당 면수 |
주요제품 |
국배판 |
297*210 |
국전지 |
8절(16쪽) |
잡지,여성지 |
국판 |
210*148 |
국전지 |
16절(32쪽) |
단행본,교과서 |
국반판 |
148*105 |
국전지 |
32절(64쪽) |
문고판 |
타블로이드 |
374*254 |
46전지 |
8절(16쪽) |
벼룩신문 |
46배판 |
257*188 |
46전지 |
16절(32쪽) |
여성지,교과서 |
46판 |
188*128 |
46전지 |
32절(64쪽) |
샘터 |
신국판 |
225*152 |
국전지 |
16절(32쪽) |
학술서,단행본 |
18절판 |
248*176 |
46전지 |
18절(36쪽) |
사진집 |
30절판 |
205*125 |
46전지 |
30절(60쪽) |
단행본 |
36판 |
182*103 |
46전지 |
40절(80쪽) |
문고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