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사업개요..!!
개발개요
새만금 개발 사업은 군산~부안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 33km를 축조하여
간척토지와 호소를 조성 경제와 산업, 관광을 아우르는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비상할 녹색성장과 청정생태 환경의『글로벌 명품 새만금』건설 국책사업..
개발기간 및 사업비
개발기간: 2010 ~ 2030, 개발용지 283km2, 사업비 20조 8,000억원
1단계 : 2010 ~ 2020(용지 23,800ha) (12조 4,000억원)
2단계 : 2021년 이후(용지 4,500ha) ( 8조 4,000억원)
지정학적 여건
위 치 : 서해안 중앙부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 일원)
면 적 : 401km2(토지283, 호소118)
새만금 방조제 공사개요
규 모 : 401km2 (토지조성 283km2, 담수호 118km2)
1억2천1백3십만평, 서울시 면적(605km2)의 ⅔
관할구역 : 군산시 71.1%, 김제시 15.7%, 부안군 13.2%
주요시설
방 조 제 : 총길이 33km, 저폭 290m(최대 535m), 높이 36m(최대 54m)
배수갑문 : 2개소 (가력배수갑문(8짝×2),
신시배수갑문(10짝×2)) 총 656m (가력 288m, 신시 368m)
사업기간 1991 ~ 2010
사 업 비 2조 9,490억원
‘09년까지 방조제 공사에 2조 8,320억원 투자(96%)
‘10년도 예산 1,170억원
시 행 자 농식품부장관 (공사분야 : 한국농어촌공사, 보상업무 : 전북도)
기대효과
국토확장 → 여의도 면적의 140배 (국민 1인당 땅 2평과 담수 2평)
수자원 확보 → 연간 10억톤 (중규모 저수지 200개의 수량)
육운개선 및 종합관광권 형성 → 군산~부안간 교통거리 66km 단축 및 고군산군도 등
천혜의 관광자원과 어우러져 세계적인 관광권 형성 수해상습지 해소 →
상습침수피해를 예방 (120km2, 매년 4천억원 절감)
새만금 방조제 명소화사업
방조제, 다기능 부지 및 기타 공사용 부지(420ha)를 활용하여
조망권 확보 및 휴식,관광기능을 하는 세계적 관광명소 개발
사업기간 : 2008 ~ 2017년(10년간),
사업비(추정) : 1조 1,048억원..
구분 | 계 | 1단계 (2008~2009) |
2단계 (2010~2015) |
3단계 (2016~2020) |
---|---|---|---|---|
투자비계 | 11,048 | 5 | 4,300 | 6,743 |
공공(국고) | 1,015 | 5 | 337 | 673 |
민간(민자) | 10,033 | - | 3,963 | 6,070 |
※ 소요예산 조달 : 공공부문은 내부개발사업 일환으로 예산확보, 민간부문은 민자유치로 확보
세계적인 랜드마크, 휴양,숙박시설, 생태?체험공원, 해양수변활동,위락시설,
주차,휴게시설 등을 설치하여 메가리조트(Mega Resort) 조성
- 민간투자자의 관심과 개발효과가 높은 3호 방조제(신시 ~ 야미 구간, 200ha)부터 우선 시행
방조제 마무리 공사와 함께 신시도 광장주변 상징조형물 설치, 종합홍보관(새만금 시점부,
2010년말 목표) 건립 등 추진 바다측 조망이 불가능한 구조인 제1호 방조제의
도로높임공사를 ‘10년말까지 완료하여 방조제의 관광기능을 보강..
방조제 명소화와 연계한 관광기능 활성화를 위해
고군산군도 연륙교 사업(신시도리 ~장자도리, 2,850억원)을 2013년까지 완료..
새만금방조제 구간별 현황
배수갑문 2개소 : 652m(신시:362, 가력:290)
섬 연결도로 2개소 : 1,871m(신시도:929, 야미도:942)
총 연장(36.42km) : 방조제(33.9) + 배수갑문(0.65) + 섬 연결도로(1.87)
⊙ 문의 전화/010- 3778- 8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