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수화물을 주식으로 하는 문화권에서 20%정도의 사람이 식곤증을 지니고 삽니다.
이 타입들이 봄철 환절기에 춘곤을 심하게 느끼고, 연장해서 주하증이라해서 여름에 나는 안더워 하다가 더위를 먹죠.
가장 단순한 방법은 3월경에 재래시장에서 파는 익모초즙을 마시는 겁니다.
.. 구역질 나게 쓰지만 조금 효과가 있습니다.

봄철 만이라도 조금 일찍일어나서 아침 운동을 하면 많이 도움이 되죠.
-춘곤증을 이기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수면을 취함으로써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다.
봄에 유독 졸음이 쏟아질 때 낮잠을 잠시 자면 한결 생기가 넘치게 된다.
사무실이라 하더라도 졸릴 때 책상에 엎드려 5분 정도만 자면 오후를 활기차게 보낼 수 있다.
단순한 춘곤증은 충분한 휴식과 규칙적인 생활, 피로와 스트레스를 그날그날 푸는 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비타민과 미네랄, 양질의 단백질을 고루 섭취하는 식생활이 가장 중요하다.
탄수화물의 연소를 돕는 비타민 B1은 현미, 율무, 통보리 등 도정하지 않은 곡식류와 돼지고기, 닭간, 말린 버섯, 호두나 잣 등의 견과류, 콩 등에 많이 들어 있다.
피로를 줄이고 면역기능을 높여주는 비타민 C는 신선한 과일과 채소 등에 많이 들어 있다.
봄에 나는 대부분의 산채류는 소화를 도와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한다.
또한 간에 쌓인 독소를 풀어내는 효능이 있고 피와 정신을 맑게 한다.
특히 쑥, 달래, 냉이, 돌미나리, 부추, 두릅 등 봄나물에는 입맛도 돋워주고 피로회복에 좋은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해 효과적이다.
풋마늘 요리도 식욕 촉진과 정력 보강에 효과적이다.
각종 해조류에는 비타민, 미네랄 등 미량 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므로 끼니 때마다 다시마, 미역, 톳나물, 파래, 김 등 해조류를 곁들여 먹으면 춘곤증을 이기는 데 도움이 된다.
아침을 거르고 점심에 과식을 하는 것은 춘곤증을 악화시키므로 매 끼니를 꼬박꼬박 찾아 먹고 가볍게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특히 낮에는 졸음을 쫓는 성분이 있는 단백질을 섭취하면 좋으므로 낮에는 육류를 먹고, 밤에는 졸음을 부르는 성분이 있는 당분이 다량 함유된 곡류나 과일, 야채, 해조류 등을 섭취하는 것도 춘곤증을 이겨내는 식생활의 요령이다.

▶ 춘곤증을 몰아내는 ''한방차 요법'', ''숙면 생활법''
졸음을 쫓는 한방차로는 녹차가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도 우전(雨前)이라는 이름의 차가 가장 뛰어난 효능을 갖고 있다.
두통 해소는 물론이고 농약 중독도 해소해주며 숙취 해소에 탁월하다.
우전은 머리를 맑게 해주어서 졸음을 쫓는 효과는 있지만 몸을 차게 하므로 너무 많이 마시면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입맛을 자주 잃는 사람은 원기를 돋우고 피로를 회복시키는 데 효과적인 인삼차나 생강차가 좋다.
인삼은 감기 등으로 인한 열이나 몸에 허열이 있을 때는 쓰지 않으며 소음인에게 잘 맞는다.
인삼과 함께 비타민 C가 풍부한 대추를 함께 달여 마셔도 좋다.
인삼 2뿌리, 대추 10개에 물 5컵을 붓고 뭉근히 끓여 마시면 좋다.
그러나 대추는 뚱뚱한 사람에게는 잘 맞지 않는 속성이 있다.
수삼 2뿌리와 우유 한 컵을 믹서에 갈아 먹어도 기운이 없고 몸이 늘어질 때 효과적이다.
흔히 감기 증상에 먹으면 좋은 것으로 알고 있는 생강차는 위를 보호하고 소화를 도와주며 오래 마시면 정력이 좋아지기도 한다.
생강 15g에 물 500cc를 넣고 끓여 마신다.
땀을 많이 흘리고 얼굴이 검은 편인 사람은 칡차를 마시면 피로 회복에 좋다.
칡뿌리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설사를 낫게 하며 갈증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 외에 이뇨작용을 돕기도 한다.
마른 칡뿌리 15g에 물 500cc를 넣고 중불에서 20분쯤 끓이면 된다.
봄의 기운을 갖고 있는 쑥차도 제철 차이기 때문에 효과를 볼 수 있다.
손발과 아랫배를 따뜻하게 해준다.
입춘에 쑥죽 세 그릇을 먹으면 문지방을 넘기 힘들다는 옛말이 있다.
그만큼 살이 오르도록 도와준다는 뜻이다.
성격이 급하고 소변을 자주 보며 피로가 빨리 오는 사람은 구기자차가 적당하다.
입이 잘 마르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세가 있는 사람은 오미자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오미자는 간의 수렴작용이 있어 피로회복에 도움이 된다.
차가운 음료를 좋아하는 사람은 오미자 화채를 만들어 먹어도 좋다.
오미자 화채에 진달래를 띄워 먹는 것도 별미이다.
오미자 1컵에 끓여 식힌 물 2컵을 부어 우려낸 후, 만 하루 정도 지나 오미자 양의 8배 정도의 물을 부어 희석시킨 뒤 차게 해서 마신다.
오미자의 신맛이 피곤을 풀어주는 것처럼 피곤을 풀어주는 대표적인 맛은 신맛이다.
신맛에는 유산균이 많이 들어 있어 신진대사를 돕는다.
묵은 김치에도 바로 이런 유산균이 풍부하므로 겨우내 먹었던 신 김치로 김치찌개를 해먹는 것 또한 피곤을 해소하는 데 아주 좋다.
숙면에는 양파가 효과적이다.
양파 반쪽을 썰어서 칼집을 내고 머리맡에 두면 잠을 쉽게 이룰 수 있다.
또한 베갯속을 바꿔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솜 베개를 메밀로 채우면 머리를 차게 해주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게 해 준다.
냉온욕 또한 피로 회복과 숙면을 도와주기 때문에 춘곤증 해소에 아주 좋다.
3~5분 사우나를 하고 찬물에 1분 가량 들어가기를 5~6회 정도 반복하는 냉온욕은 온 몸을 산뜻하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심장이 약한 사람에게는 맞지 않으므로 대신 35~37도 정도의 미지근한 욕조물에 정종을 1컵 정도 붓고 청주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춘곤증을 이기기 위해서.
먼저 기상시간과 취침시간을 규칙적으로 한다.
아침에 일어나서는 가벼운 운동으로 몸을 풀자
아침식사는 반드시 하자,
운전 중에는 틈틈이 창을 열어 환기를 시키자.
졸리다고 지나치게 담배를 많이 피면 뇌의 산소 부족으로 더욱 나른해질 수 있으니 담배를 줄이자.
퇴근 후 과음으로 생체리듬을 깨는 일은 피하도록 하자
오전에는 머리를 많이 쓰는 일, 오후엔 사람 만나는 일을 하면 피곤을 줄일 수 있다.
춘곤증을 이기기 위해 커피를 너무 자주 마시는 것은 좋지 않다.
하루 한 두잔 정도가 좋다.
가벼운 식사와 함께 신선한 야채를 겯들이자.
춘곤증을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충분한 영양섭취
고단백질은 졸음을 쫓고 당분은 졸음을 부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낮에는 육류,야채,해조류,잡곡 등의 섭취도 필요함.규칙적인 생활자세 유지
쌓인 피로와 스트레스는 그날 그날 풀어 생리적인 부담을 덜어주어야 함.
밤잠을 제대로 못잔 경우에는 낮에 잠시 눈을 붙이는 것도 도움이 됨.
적당한 운동을 통해 폐활량을 증대시켜 신진대사 기능을 원활히 해주는 것이 좋음 (특히,봄철에 새로이 운동을 시작하는 경우,상당수가 춘곤증으로 고생하고 있으므로 무리하지 않게 운동량을 단계적으로 늘려야 함).
주로 섭취할 음식으로는 음식은 고단백질과 양질의 비타민을 많이 함유한 것이 좋은데 풋마늘, 쑥, 원추리, 들나물, 취나물,다래, 도라지, 두릅, 더덕 등 비타민이 풍부한 봄나물을 섭취하게 되면 원기를 회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꽁치 등 생선도 질이 높은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좋은 식품으로 꼽힌다.
커피나 청량음료를 마시는 것도 춘곤증 회복에는 도움이 안 된다.
봄이 되면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이 겨울보다 더 많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이들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해 주어야 한다.
특히 비타민 섭취에는 신경을 써야 한다.
잠이 충분하지 않으면 낮시간에라도 눈을 붙이는 것이 피로회복에 좋다.
20∼30분간의 낮잠은보약이 될 수 있다.
또 적당한 운동은 폐활량을 증대시켜 신진대사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여 춘곤증을 예방하며, 스트레스를 피하고, 조급한 마음보다 여유를 갖는 마음자세도 춘곤증을 극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춘곤증이 심하고 오래가는 경우, 또 겨우내 잠복해 있던 다른 질병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는 특별히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만큼 내몸에서의 균형이 맞지 않는다는 것으로 다른 질병이나 환경에 대해 이길 힘이 부족하다는 이야기이다.
우습게 여기다가 간혹 더 큰 병을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 춘곤증을 몰아내는 ''한방차 요법'', ''숙면 생활법''
졸음을 쫓는 한방차로는 녹차가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도 우전(雨前)이라는 이름의 차가 가장 뛰어난 효능을 갖고 있다.
두통 해소는 물론이고 농약 중독도 해소해주며 숙취 해소에 탁월하다.
우전은 머리를 맑게 해주어서 졸음을 쫓는 효과는 있지만 몸을 차게 하므로 너무 많이 마시면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입맛을 자주 잃는 사람은 원기를 돋우고 피로를 회복시키는 데 효과적인 인삼차나 생강차가 좋다.
인삼은 감기 등으로 인한 열이나 몸에 허열이 있을 때는 쓰지 않으며 소음인에게 잘 맞는다.
인삼과 함께 비타민 C가 풍부한 대추를 함께 달여 마셔도 좋다.
인삼 2뿌리, 대추 10개에 물 5컵을 붓고 뭉근히 끓여 마시면 좋다.
그러나 대추는 뚱뚱한 사람에게는 잘 맞지 않는 속성이 있다.
수삼 2뿌리와 우유 한 컵을 믹서에 갈아 먹어도 기운이 없고 몸이 늘어질 때 효과적이다.
흔히 감기 증상에 먹으면 좋은 것으로 알고 있는 생강차는 위를 보호하고 소화를 도와주며 오래 마시면 정력이 좋아지기도 한다.
생강 15g에 물 500cc를 넣고 끓여 마신다.
땀을 많이 흘리고 얼굴이 검은 편인 사람은 칡차를 마시면 피로 회복에 좋다.
칡뿌리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설사를 낫게 하며 갈증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 외에 이뇨작용을 돕기도 한다.
마른 칡뿌리 15g에 물 500cc를 넣고 중불에서 20분쯤 끓이면 된다.
봄의 기운을 갖고 있는 쑥차도 제철 차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