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영암 망호 원문보기 글쓴이: 망호정
소 재 지; | 경북 의성군(국립진주박물관 보관) |
---|
조선 선조 때 경상감사(慶尙監司)의 막하 참모였던 이탁영(李擢英)(1541∼1610)의 일기로 건(乾)·곤(坤)의 순서를 단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이탁영(李擢英) 본관(本貫)은 경주(慶州)이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찰사였던 김수(金睟)의 막하로 들어가 참모로 활동했으며, 1593년에는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의 막하에서 전쟁의 여러 전술을 건의하여 승리에 공헌한 바가 많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나라에서 내리는 상을 굳이 사양하였고, 후에 중추부사에 증직되었다. 이것은 1592∼1598년까지의 일기로 건권은 표지 뒷면에 임진왜란 당시 참전한 영상 이하 여러 관리들의 좌목(座目: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이 있고, 다음에 ‘임진변생후일록(壬辰變生後日錄)’이라는 제목 아래에 그날그날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고 있다. 다만 임진기사는 날마다 기록하였고, 1593년에서 1598년까지는 연월중심으로 중요한 사건만 적었다. 곤권은 임진왜란의 시작과 하루하루의 기록, 통문 등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적고, 이어 7년 동안에 있었던 중요한 교서, 통문, 격문 등을 고스란히 싣고 있다.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이 시작된 날로부터 시작하여 그해 연말까지는 약 10일간 기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면 완전하게 적혀있다. 이《정만록(征蠻錄)》은 원래 저자(著者)가 임란시(壬亂時) 진중(陣中)에서《임진변생후일록(壬辰變生後日錄)》이란 제목으로 초(草)하여 두었던 것이다. 난(亂)이 평정(平定)된 선조 34년(1601)에 도체찰사(都體察使) 이원익(李元翼)이 경상감사(慶尙監司) 이시발(李時發)을 시켜 도내(道內)의 사적을 채집케 하였는데 이 때 저자가 이 일록을 재정리하여 제출하였던 바, 이를 어람(御覽)한 왕은 정만록(征蠻錄)이라 명명하여 계하(啓下)하였다. 이 책은 임진왜란 연구의 매우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며, ‘정만록(征蠻錄)’이라는 책이름이 선조임금이 정해준 것이라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더해진다.
경북 의성 인물
이탁영:
임진란이 나자 51세로 종군, 경상도 순찰사 김수(金 ), 초유사 김성일(金誠一)과 같이 체찰사 유성룡(柳成龍) 체찰부에서 의병을 모집, 군량 조달, 전략 수립 등 군무찬획(軍務贊劃)에 진력 했다.
난 후 내리려는 벼슬자리도 사양하고 편모(偏母)를 효성을 다해 모셨으며 임진난이 발발하고부터 1599년 난이 평정될 때까지 장장 7년 동안의 전란일기를 종군한 이탁영이 전진(戰塵)의 틈틈이 기록하여 나라에 아뢰니 임금이 정만록(征蠻錄)이라 이름지어 보내왔다.
♣경북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上里) 직장공파 집성촌
▷ 연혁...
- 1914년3월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법정동이 되었음.
- 1955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상리1.2동으로 개편
- 조례 제1225호 (88. 5. 1)에 의거 동을 리로 변경
▷ 명칭유래...
- 어느 시대부터 불려 왔는지 알 수 없으나 구전되어 내려오는 유래로는 조문성(召文城)이 생긴 뒤 그성 위쪽에 위치한 동으로 판명되어 불린 이름인 상리(上里)로 전해오고 있음.
▷ 자연부락...
- 미지골(美之谷): 중종(中宗) 36년 (1541)에 이곳서 난 이탁영(李擢英)이란 분이 마을 북편 뒷산에 울창한 삼림과 남쪽에 위치한 수백 년 묵은 온갖 형상을 한 고목에 산새가 깃들어 지저귀고 맑은 시내 또한 흘러 그 주위경관이 너무 아름답다고 미지골(美之谷)이라 부른데서 동명(洞名)으로 일컬어 오고 있다.
- 웃골: 현 상리2리에 속하며 특별히 구전되어 오는 유래는 없으나 주민이 정착하여 농경지를 개간하여 살면서 읍 소재지 위쪽에 있다고 웃골이라 통상 불린다.
- 충렬사(忠烈祠): 의성여자중학교 뒤 사당골에 위치해있고 의성 김씨들이 매년 춘향(春享)을 치른다. 여기는 김홍술(金洪術)을 기리는 사당으로 조선 숙종(肅宗)때 김석겸(金錫兼) 등 읍민들이 현령의 지원을 받아 이룩하고 그 옆에 순절비(殉節碑)도 세워 신숭겸(申崇謙) 한신(韓信)에 비유된다고 빗글에 그의 인물됨과 공적을 적고 있음.
- 충효사(忠孝祠): 나라에 충성하고 편모 봉양에도 지극했던 이 마을 태생 이탁영(李擢英)을 기리기 위한 전사(典祀)청을 비롯한 충효(忠孝)사 건물은 그 후손들이 1801년 (순조원년) 신유에 세웠다가 대원군(大院君)때 일시 훼철 1923년 계해년 유림(儒林)의 발기로 재건되어 춘추(春秋) 2회 재향한다 그의 태어난 집이기도한 효사당(孝思堂)은 1957년에 원형대로 개축 되었다.
- 정만록(征蠻錄): 임진란이 발발하고부터 1599년 난이 평정 될 때까지 장장 7년동안의 전란일기를 종군한 이탁영(李擢英) 전진 틈틈이 기록하여 나라에 아뢰니 임금이 "정만록"(征蠻錄)이라 이름 지어 보내 왔었다.
- 이 책은 임진난의 사료로서 귀중한 가치가 있다고 보여져 1986년 보물 제880호로 지정하였다.
- 모시골: 모시를 수입으로 하던 사람들이 살던 곳이라 하여 모시골이라 정함
- 서당골(書堂谷): 서당이 있었던 곳이라 해서 정함
- 절골: 절이 있던 골이라 해서 절골이라 정함
충효사 :
○ 충효사(忠孝祠).
효사재공(孝思齋公) 휘 탁영(擢英)을 기리는 사우
1781년에 건립하였다.
소재지 : 경북 의성군 의성읍
- 충효사(忠孝祠): 나라에 충성하고 편모 봉양에도 지극했던 이 마을 태생 이탁영(李擢英)을 기리기 위한 전사(典祀)청을 비롯한 충효(忠孝)사 건물은 그 후손들이 1801년 (순조원년) 신유에 세웠다가 대원군(大院君)때 일시 훼철 1923년 계해년 유림(儒林)의 발기로 재건되어 춘추(春秋) 2회 재향한다 그의 태어난 집이기도한 효사당(孝思堂)은 1957년에 원형대로 개축 되었다.
첫댓글 자료감사 함니다, 세분이 좋아 하시겠슴니다.
이런 자료를 바탕으로 더 많이 관심을 가져주신다면 좋겠습니다.
단 한분이라도 관심을 가져 주신다면 한두시간 시간을 투자해서 자료를 모아 올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장이 뿌리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면 그 여파는 집안 전체로 퍼집니다.
비록 한분 두분 이지만 이런 작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많은 분들이 뿌리에 대해관심을 가져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애많이 쓰심니다. ^^ 참으로 뜻있는일 하시는것임니다, 감사 드림니다.
자세한자료 감사합니다 근데 직장공파 세보에는 공민왕때 경기 여주에살았고 휘양오의가족이 몰살당여 휘존오가 학인하였고
석탄공이신돈의 횡포를 왕에게 여러차례 소척하여 신돈이 앙심을품고 부모님은 안계시고 존오는 제거할수없어 형인 양오를제거 하였으리라 생각함은 일가족을 무참함이 일반 도적이 아닐것이고 신돈이 한것이라 생각된다고 적혀있습니다
그 와중에독자 휘 봉이 의성으로 스며들어 의성에 직장공파가 번성하고 있다고 적혀있습입니다 혹 이흡한점이 있다면 좋은 고견 부탁드립니다
승주님은 계시는곳이 어느시군에 계시는지요
저는 전라남도 광주입니다.
고향은 영암이구요 익재공후 청호공파 입니다.
간신 신돈과 충신 석탄공과의 관계를 비추어 보면 충분히 신돈이 계획적으로 했을 가능성이 보입니다.
석탄공은 죽는 순간까지도 신돈이 그자리에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씀하시고 돌아가셨습니다.
석탄공만큼 나라를 걱정하면서 자기 목숨을 바친분은 아마 없을것 입니다.
혹시 전해지는 야사가 있는가 다시한번 살펴 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공부 잘 했습니다
좋은 자료을 올려주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