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도에 따른 기온 차
지표면에서 100 미터 올라갈때마다 0.65 도씩 기온이 내려갑니다 오르기 전의 표고와 오르고자 하는 위치의 표고차를 0.65배를 해준 값을 오르기 전 위치의 온도에서 빼 주면 오르고자 하는 위치의 기온을 구 할 수 있다.
고도 300m위치의 출발 점에서 1400m급 산에 오르는데 오르기 전 출발 위치의 기온이 영상 5도라면 1400-300=1100m 1.100*0.65= 7.15도 5도- 7.15도= -2.15도 오르고자 하는 위치 1.400m에는 -2.2도가 된다.
2. 풍속에 따른 체감 온도
풍속이 초속 1m 당 체감온도는 1.6도씩 떨어진다. 풍속이 0 ~ 5 M/SEC 경우 9 도 떨어지고 풍속이 5 ~ 10 M/SEC 경우 15 도 정도 떨어진다 보통 바람이 조금 불면 풍속 5 M/SEC 정도이고 제법 많이 분다면 10 M/SEC 정도, 서 있기에 조금 힘이 든다면 15 M/SEC 정도 이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현재 미국과 캐나다 등 북아메리카 국가들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감온도’ 산출공식을 사용하고 있다. 체감온도(℃)=13.12+0.6215×T-11.37V0.16+0.3965V0.16×T이다. T는 기온, V는 지상 10m 지점의 풍속, 시속 몇 km의 속도로 부는 바람인지 공식에 대입하면 체감온도를 구 할수 있다.
보우퍼트 풍력 계급 (자연 현상을 보고 풍속, 풍향을 측정하는 기준)
3. 바람에 의한 체감온도 환산표
|
출처: 우산35 원문보기 글쓴이: 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