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 등반신호 (Climbing Signal)
|
2.1 로프와 슬링
1) 로 프 (Rope;영, Seil;독)
① 로프의 발달
* 마닐라/자이잘삼 : 신축성이 없고, 약하며 무겁다.
* 나일론 꼰 로프 : 많이 늘어남, 뻗뻗함, 열에 약함.
* 나일론 직조로프 : 적당한 신축성, 부드러움, 우수한 강도
② 로프의 구조
* 속심(kern) 과 껍질(mantle)의 이중구조
* 외피는 로프 단면굵기의 25 - 30%를 차지하며 자외선이나 불순물로
부터 내피를 보호하고 로프를 부드럽게 함.
* 내피는 전체강도의 70% 이상을 차지.
* 로프 섬유다발의 절반은 시계방향으로 나머지 절반은 반 시계방향으로 짜 여져 있는데, 이러한 것은 등반중 로프가 꼬이는것을 방지하고 오버행에 매달려 있어도 몸이 회전하지 않도록 해준다.
③ 성능 검사
* 국제산악연맹(UIAA ; Union Internationale des Associations d’Alpin- isme)에서는 어떤 장비의 결함이 사람에 치명적인 결과를 줄 수 있는 장비 에 대해 성능검사를 실시하고 UIAA의 인증마크를 부여한다.
* 강도검사 : 직경 9.8 mm-12mm의 싱글로프에 80kg의 추를 매달아 5m를 자유낙하 시키고, 5번의 낙하에도 포르에 손상이 없어야 합격이다.
* 신장도 검사 : 로프가 늘어나는 정도를 말하며, 로프끝에 80킬로그램의 무 게를 매달아서 로프가 늘어나는 정도로 측정한다. 굵은 로프(9.8mm- 12mm)의 경우 8% 이상 늘어 나서는 안되고, 가는 로프(8mm-9mm)는 10 % 이상 늘어 나서는 안되는 것이 UIAA표준이다.
신장율이 낮은 로프는 대암벽등반이나, 동굴탐사시 유마링할때 편리하고, 신장율이 높은 로프는 자유등반등과 같이 추락이 잦은 경우에 충격을잘 흡수하면서 등반자를 보호할 수 있어 좋다. 따라서 좋은 로프는 자신의 등반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적정한 신장율을 갖고 있어야 하며 일반적인 암벽등반에서는 두가지 특성을 적절하게 포함하고 있는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④ 로프의 선택
* 로프의 무게 : 11mm로프의 경우 1m의 무게는 72g-79g정도이다.
* 싱글로프 : 가장 튼튼하며 많이 사용되는 로프로 10.5mm와 11mm를 주로 사용되며 길이는 45m-50m가 적당하다.
* 이중로프 : 매우 거친 루트에서 이중로프테크닉을 구사할 때 사용. 8.5mm 나 9mm가 많이 사용되고 길이는 80m - 90m를 주로 사용한다.
* 방수로프(dry rope) : 젖은 로프는 얼어 붙게 되고 약 30%의 강도가 저 하됨. 실리콘코팅이나 테플론코팅을 한 방수로프는 일반로프에 비해 약 33% 정도 마모가 적게 되고, 자외선도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 어떤 로프는 추락의 충격을 가장 많이 받는 로프의 양끝(10m정도)을 굵게 (10.5mm) 하고,로프중간 30m는 9.5mm로 하여 10mm정도의 무게로 10.5mm의 강도를 지니게한 특수 로프가 있는데, 최근 등반자들이 선호하 고 있다. 강도를 높이기 위해 속심에 세라믹선을 보강한 로프도 있는데, 날 카로운 암각에 강하다.
⑤ 로프 관리
* 로프를 밟거나 흙먼지에 오염되지 않게 할 것.
* 로프는 열에 매우 약하다. 특히 하강기에서 발생하는 마찰열 주의
* 한번 늘어난 로프는 강도가 심각하게 저하된다.
* 자외선에 매우 약하다.
* 로프는 가끔 세탁을 해야 한다. (연성세제,미지근한 물,세탁기,그늘건조)
* 로프 폐기의 지침
- 매일 사용된 로프는 1년 안에 폐기.
- 매 주말마다 사용된 로프는 2년 정도 사용.
- 가끔 사용된 로프는 4년후에 폐기.
- 매우 심한 충격을 받은 로프는 폐기하는 것이 현명함.
- 새 로프는 다섯번의 충격에도 안전이 보장될 수 있지만,
헌 로프라면 다른 여러가지 요인들을 고려하여 폐기를 검토해야 함.
- 이 지침은 적절한 관리와 보관을 가정한 것이다.
⑥ 로프 사리기
* 원형사리기(mountaineer’s coil)
* 나비형사리기(butterfly coil)
* 등에 로프 묶기
(2) 슬 링
① 웨빙 : 보통 테이프슬링이라라고 불리우는 튜블러 웨빙(tubular webbing; 원통형태로 짠 것)과 플레이트 웨빙(flat webbing;통째로 짠 것)이 있으며 폭 9/16인치-1인치가 주로 사용되고 매우 강한 강도를 지니고 있다
② 코드 : 직조로프와 같은 구조와 형태를 지닌 코드슬링(Code Sling)은 직경이 3mm-9mm까지 다양하지만 8mm이하는 추락의 충격을 받거나 전달되는 곳 에 사용하면 안된다.
③ 퀵드로(Quick Draw) : (카라비너)+(퀵드로)+(카라비너)형태로 용도는 슬 링과 비슷하지만 한정된 용도에 쓰이며, 슬링에 비해 더 편리하고 안전한 런 너의 역할을 한다.
④ 슬링의 사용
* 30cm, 60cm, 80cm등 다양한 길이의 슬링을 휴대
*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주의 (수시로 점검)
* 로프의 관리지침과 같이 관리하고 정기적으로 폐기
* 기존암벽루트에 걸려있는 슬링은 자외선이나 추락충격으로 인해 매우 약해져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2 안전벨트
① 안전벨트의 종류
* 하단벨트 (Seat Harnesses) :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안전벨트
* 스와미 벨트 (swami belts) : 다리고리와 허리벨트가 분리된 형태
* 상하단벨트(Body Harnesses) : UIAA에서 인정하는 유일한 형태
- 보울라인 묶기 : 이 방법은 안전벨트가 없던 시절에 사용한 방법으로 추락시 몸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쉽고 짧은 구간을 신속하게 통과할때, 간혹 사용될 수 있다.
- 웨빙으로 간이 안전벨트 만들기
- 웨빙으로 상하단 벨트 만들기
② 안전벨트 선택
* 일반용 : 장기간 사용하여도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튼튼하게 만들어져 있으며, 허리벨트와 다리고리가 두껍고 장시간 매달려도 편하도록 스폰지 패드가 보강되어 있다.
* 빙/설벽용 : 허리벨트에 스폰지가 들어가지 않은 제품으로 눈이나 물이 베 어들어 얼어붙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고산등반이나 동계등반시 안전벨트 를 착용한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등산화나 아이젠 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 프리클라이밍용 : 가볍고 부피가 작아 착용감이 산뜻하고 몸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 시 불편하고 강도나 내구성이 떨어진다.
![]() | ||
a. 상하단 벨트 | b. 일반용 한단벨트 | c. 동계용 한단벨트 |
* 선택시 유의사항
- 구조가 필요이상 복잡하지는 않은가?
- 사용한 웨빙의 재질은 약한 것이 아닌가?
- 허리와 허벅지등 체중이 걸리는 부분이 부드럽게 처리되어 있는가?
- 재봉상태는 큰 충격을 견딜 만한 것인가?
- 허리벨트를 조여 주는 버클이나 장식들이 조악하지 않고 완전한가?
③ 안전벨트의 사용과 관리
* 몸에 잘 맞도록 착용할 것.(허리부분을 골반뼈보다 작게 조여 착용)
* 버클에 웨빙이 한번만 통과됐을 때는 300kg정도의 충격에도 빠져 버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반대방향으로
한번 더 통과시켜서 사용해야 하고 통과시킨 후의 웨빙끝은 최소한 5cm이상 여분이 있어야 한다.
* 안전벨트에 로프를 묶을 때는 다리고리와 허리벨트를 같이 묶어 줘야 한다.
* 5년정도 사용한 것이나 바느질부분이 낡은 것은 폐기하고, 자주 세탁한다.
2.3 카라비너(Carabiners)
① UIAA규격
장축방향 2,000kg, 단축방향 400kg, 개폐구가 열린상태에서의 장축방향 600kg 이상의 강도를 지녀야 UIAA의 마크를
부착할 수 있다.
② 카라비너의 종류
* "O"형 : 매우 보편적인 좌우대칭 형태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D"형 : 여러가지 용도에 알맞고, 약점이 많은 개폐구쪽을 피해 장축쪽으로 하중이 쏠리게 되어 있어 "O"형 카라비너보다 강도가 높다.
* 변형"D" : 표준"D"형 카라비너의 강한 장점을 지니고 있고 개폐부분이 더 넓게 되어 있어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 밴트게이트(bent-gate)형 : 휘어진 개폐구를 지니고 있어 카라비너를 빨리 설치하고 회수해야 하는 어려운 루트에서 강점을 지니도록 특별히 설계 된 것이다. 이 카라비너는 보통 퀵드로와 함께 사용하며, 우연히 개폐구가 열릴 가능성이 다른 카라비너에 비해 높은 편이다.
* 잠금카라비너(locking carabiner) : 우연히 개폐구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강할 때, 확보를 볼 때, 로프를
고정시킬 때 등 완전성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된다. 변형"D"잠금 카라비너는 개폐구가 훨씬 더 크게 열릴 수 있어 편리하다. 일반카라비너에 클라이밍 테이프등을 이용하면 임시로 잠금 창치를 하여 급할 때 사용할 수 있다.
③ 카라비너를 사용/관리지침
* 항상 장축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한다. 특히 개폐구가 힘을 받아서는 안된다.
* 개폐구가 열린 상태에서는 장축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강도는 크게 약해진다.
* 우연히 개폐구가 열릴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로프가 개폐구의 바깥쪽에 걸쳐 힘을 받으면 로프는 쉽게
카라비너를 빠져 나온다.
* 매듭의 고리가 크면 우연히 개폐구가 열리는 확율을 높여 주는 꼴이 된다.
* 개폐구는 부드럽게 열려야 하고 특히 장축방향으로 큰 힘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자 유롭게 열려야 한다.
* 개폐구가 뻑뻑하거나 더러우면 기름, 석유, 화이트개솔린(혹은WD40)등으로 청소한 다 음 끓는 물에 20초 정도 담가 용제를 제거한다.
* 높은 곳에서 떨어진 카라비너는 폐기해야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균열이 숨어 있을 수 있다.
* 등반중 암벽에 걸려 있는 카라비너나 습득한 카라비너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4 암벽화 (Rock Shoes)
현재와 같은 형태의 암벽화는 피에르 알렝(Pierre Allain)과 에밀 보데나우(Emil Bordenau)가 1930년대 파리근교의 암장에서 처음으로 선을 보였고 ’EB 슈즈’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EB슈즈는 1980년대초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던 스페인의 보레알사(社)에서 만든 ’피레(Fire)’라는 암벽화에 의해 전세게적으로 크게 보급되었다. 암벽화의 고무창은 초기에 딱딱한 카본고무창이었으나 최근에는 마찰력이 우수한 부틸고무창을 사용하고 있다. 이 부틸고무창은 적당한 경도와 점력을 지니고 있어 바닥에 체중을 실어 딛을 경우 고무가 암벽의 미세한 요철사이로 공기를 빼내며 파고 들어가 마찰력을 높여 주게 된다.
암벽화는 용도에 따라 바위의 미세한 돌출부를 딛고 올라서는 엣징용과, 슬랩등반시 강한 마찰력을 얻기 위한 프릭션용, 그리고 오버행이나 크랙등반시 발의 전면을 사용할 수 있는 크랙등반용, 프리클라이밍이나 스포츠 클라이밍에 적합한 인공암장용으로 나눌 수 있다. 바닥창이 뻣뻣한 것은 마찰력은 떨어지는 반면 발끝으로 서는 엣징동작을 취하기가 용이하고,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는 신발은 강한 마찰력을 얻는 프릭션이나 스미어링 동작에 유리하다.
헬멧 (Helmet)
추락을 하면 중간에 이리저리 튕길 수도 있고 무사히 추락을 한 후에도 진자운동에 의해 좌우의 암벽에 충돌할 수 있다. 낙석의 위험은 등반중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등반 준비중이나 등반 완료후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머리에 낙석을 맞는 일도 발생된다.
UIAA에서는 헬멧의 디자인,강도,탄력등을 평가해 인증을 하고 있으므로 UIAA의 인증표시가 있는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 구입시 착용하여 보아 뒤로 밀경우 이마가 노출되는지 검사해 보아야 한다. 해드램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된 헬멧이 더 유용하다.
3.1 Knot
(1) 옭매듭 (Overhand knot)
막매듭, 오버핸드매듭, 퓨러매듭등으로 불리며, 간단한 고리를 만들거나 다른 매듭을 한 후 풀리지 않도록 끝처리를 하는 매듭으로 많이 사용된다.
(2) 테이프매듭 (Tape knot)
테이프매듭은 링벤드(ring bend), 워터노트(water knot)로도 불리우고 있으며, 주로 웨빙(테이프슬링)을 묶는데 사용된다. 이 매듭의 단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쉽게 풀어지기 때문에 매듭을 할때 매우 단단히 조여주어야 하고, 매듭의 양쪽끝은 항상 4-5cm정도 여유를 남겨 놓아야 한다. 또한 사용하기 전과 사용중에도 수시로 매듭이 풀리지 않았나 점검해야 한다.
(3) 이중 피셔맨즈매듭(Double Fisherman’s knot)
이 매듭은 2개의 로프를 서로 연결할때 많이 선호되고 있으며, 또한 가장 확실한 매듭이다. 매듭의 크기도 작고 산뜻한 장점이 있지만, 강한 충격을 받은 후에는 풀기 어렵고, 특히 동계등반시 매듭이 얼어붙게 되면 더욱 풀기가 곤란해 진다. 매듭의 양쪽 끝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한다. 웨빙을 연결할때 이중피셔맨즈매듭을 사용하면 테이프매듭에 비해 단단한 매듭을 할 수 있다.
(4) 8자매듭 (Figure 8 loop)
8자매듭은 매듭중 가장 강한 강도를 지닌 매듭으로 강한 충격을 받은 후에도 쉽게 풀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등반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매듭이다.
① 고리 8자매듭 : 로프의 중간과 등반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된 잠금카라비너를 연결할 때 많이 쓰이는 매듭
② 되감기 8자매듭 : 되감기 8자매듭은 로프의 한 쪽 끝을 안전벨트에 직접 매듭하는 가장 확실한 매듭으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한다. 되감기 8자매듭을 한 후 로프의 끝은 반드시 1- 2회정도 옭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안전하다. 이 매듭은 또한 나무나 고정된 확보물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도 많이 쓰인다. 또한 2개의 로프를 연결할때도 자주 쓰이는데, 조여진 후나 얼어 붙었을 때에도 풀기 쉽다.
③ 이중 되감기 8자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등반자의 안전벨트에 8자매듭으로 연결할때 쓰이는 매듭으로 풀리지 않도록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끝을 옭매듭으로 처리하거나 카라비너를 걸어 두어야 한다.
④ 로프연결 8자매듭 : 로프를 서로 연결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매듭으로 강도가 높고, 충격을 받은 후에도 잘 불리는 장점이 있다. 로프?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마감해야 한다.
(5) 보울라인매듭 (Bowline)
① 보울라인매듭 : 보울라인매듭은 로프의 한쪽끝만으로 나무,고정확보물등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 안전벨트에 로프를 연결 할 때에 사용되는 매듭이다. 매듭이 헐거워져 뒤집힐 경우 로프가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로프의 끝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묶어야 한다.
② 되감기 보울라인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끝으로 안전벨트에 묶는 매듭중 되감기 8자매듭과 함께 가장 확실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③ 이중 보울라인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두줄로 하여 안전벨트에 직접 묶는 매듭으로 매듭의 끝은 풀림방지를 위하여 옭매듭이나 카라비너를 걸어서 마무리를 해야 한다.
④ 요세미테식 보울라인 : 로프의 끝을 안전벨트에 연결하는 매듭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하는 매듭으로 강도가 보완되며 끝이 잘 풀리지 않도록 처리한 매듭이다.
3.2 Hitch
클로브 히치 (Clove hitch)
우리나라에서 주로 까베스땅(cabestan)매듭으로 불리는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카라비너에 쉽고 빠르게 매듭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매듭이다. 매듭후에도 쉽게 앞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로프의 임시고정용, 등반자의 자기확보용 매듭으로 널리 쓰이는 매듭으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한다.
하프 클로브 히치(Half clove hitch)
이 매듭은 보통 반까베스땅, 뮨터히치로 불리며, 선등자와 후등자를 손쉽게 빌레이할 수 있는데, 매듭이 뒤집히며 선.후등자의 등반로프를 풀어주고 당겨주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쉽게 제동도 할 수있다. 또한 하강에도 이용할 수 있다.
하프 클로브히치를 사용할 때에는 개폐부분이 넓은 잠금카라비너를 사용해야 매듭설치와 사용이 안전하며 편리하다. 일반카라비너를 사용할 경우, 간혹 매듭이 카라비너를 이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빌레이기구가 없거나 등반중 분실했을 때, 이 하프 클로브히치에 의한 빌레이방법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거스히치(Girth hitch), 오버핸드슬립 (Overhand slip
거스히치, 오버핸드슬립, 클로브히치등은 피톤(하켄)이나 아이스스크류등이 완전히 박히지 않았을 때 사용되는 간단한 매듭들이다. 특히 거스히치는 매우 자주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매듭이다. 나무에 슬링을 두를때, 슬링을 안전벨트에 걸때, 두개의 슬링을 연결할 때등 등반외에도 그 용도는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3.3 Friction
마찰을 이용하는 매듭은 등반용 로프를 이용하여 오르 내리거나 여러가지 조난에 대비한 보호장치, 추락자의 임시고정용등 특수한 상황에서 요긴하게 쓰이는 매듭이므로 반드시 숙달시켜야 하는 매듭이다. 이 매듭들은 매듭끝의 고리에 하중을 걸어주면 매듭이 주로프를 조여주어 움직이지 않고, 하중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는 매듭이 주로프의 아래 위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① 프루지크 매듭 (Prusik knot) : 프루지크매듭에 사용하는 슬링은 반드시 코드슬링으로 주로프보다 가는 5- 7mm의 코드슬링을 사용해야 한다.(웨빙으로 프루지매듭을 할 수 없다) 로프가 얼어 있거나 무거운 하중이 걸릴 때는 슬링을 3-4회이상 돌려야 한다. 코드슬링의 굵기가 주로프보다 가늘면 가늘수록 더 안미끄러 지게 된다. 이 프루지크매듭은 초보자나 위험한 곳을 하강할 때 보호장치, 추락자 고정시, 구조등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므로 반드시 숙달시켜야 한다.
② 바흐만 매듭(Bachmann knot) : 바흐만매듭은 프루지크 매듭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이 매듭은 카라비너에 코드슬링이나 웨빙슬링을 걸어 주로프에 돌려주면 되는데, 프루지크매듭보다 매듭의 상하이동이 매끄럽고 하중이 걸린 후에도 매듭이 쉽게 느슨해 진다. 그래서 이 매듭은 부상당한 등반자가 스스로 자기확보를 하며 오를때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는 점과 웨빙슬링을 사용할 수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③ 클렘하이스트매듭(Klemheist knot) : 이 매듭도 역시 프루지크매듭이나 바흐만매듭과 같은 용도로 쓰이나 마찰로 인한 슬링의 손상이 매우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매듭 역시 바흐만매듭과 같이 프루지크매듭보다 상하작동이 용이하고 좋은 손잡이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3.4 매듭의 주의사항
매듭의 강도
매듭을 하지 않은 상태 100 %
8자 매듭 75-80 %
보울라인매듭 70-75 %
이중 피셔맨즈매듭 65-70 %
테이프매듭 60-70 %
클로브히치 60-65 %
피셔맨즈매듭 60-65 %
옭매듭 60-65 %
* 단단하게 조여서 매듭을 만들어야 한다.
* 고리는 가급적 꼭 필요한 크기만 하게 만들어야 한다.
* 매듭은 보통 두줄이 함께 돌아가게 되는데 서로 엇갈리거나 겹치지 말고 나란히 돌아 가야 한다.
- 겹친 부분에서 강도 저하
* 매듭의 크기를 가급적 작게 해야 한다.
* 매듭의 끝은 항상 옭매듭으로 마무리 한다.
* 사용중에도 수시로 점검한다.
* 다른 등반자에게도 매듭을 해 줄수 있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