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렇기는 하지만 나는 그에게 내가 나의 육체의 요구가 나의 감성을 자주 흐트러뜨리는 그런 기질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가 엄마를 장사지낸 날, 나는 아주 피곤했고 졸렸다. 그래서 나는 일어나는 일을 이해하지 못했다.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 그것은 엄마가 죽지 않는 것을 더 좋아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 변호사는 만족스러운 것 같지 않았다. 그는 나에게 말했다: “그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아요.”
Cependant, je lui ai expliqué que j’avais une nature telle que mes besoins physiques dérangeaient souvent mes sentiments. Le jour où j’avais enterré maman, j’étais très fatigué, et j’avais sommeil. De sorte que je ne me suis pas rendu compte de ce qui se passait. Ce que je pouvais dire à coup sûr, c’est que j’aurais préféré que maman ne mourût pas. Mais mon avocat n’avait pas l’air content. Il m’a dit : « Ceci n’est pas assez. »
besoin : 필요, 요구, 필요한 것, 부족, 가난
déranger : (정리된 것을) 흐트러뜨리다, (신체·정신적인 기능을) 탈이 나게 하다
sentiment : 의식, 감성, 기분
de (telle) sorte que; 【문어】 en sorte que
1. (ind.와 함께) 그래서, 그 결과로, 따라서 (=si bien que)
2. (sub.와 함께) 하도록, 하기 좋게
se rendre compte de qc[que+ind] : ~을 이해하다, 납득하다
passer : 지나가다 (대명) (일·사건 따위가) 일어나다, 발생하다
à coup sûr : 확실하게
mourût 접속법, 반과거 √mourir : 죽다
préférer : 더 좋아하다, 선택하다
나는 내가 육체적 욕구 때문에 종종 감정이 교란되기도 하는 기질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그에게 설명하려 했다. 엄마 장례식 날만 해도 나는 너무 피곤한 나머지 자고 싶은 생각뿐이었다, 그래서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잘 파악하지 못했다, 어쨌든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엄마가 죽지 않았다면 더 좋았으리라 생각한다는 점이고……. 그러나 변호사는 그다지 만족한 눈치가 아니었다. 그는 내게 이렇게 말했다. 「그 정도로는 충분하지 않아요.」
I explained to him, however, that my nature was such that my physical needs often got in the way of my feelings. The day I buried Maman, I was very tired and sleepy, so much so that I wasn’t really aware of what was going on. What I can say for certain is that I would rather Maman hadn’t died. But my lawyer didn’t seem satisfied. He said, “That’s not enough.”
Ich erklärte ihm, bei mir sei es nun einmal so, daß meine körperlichen Bedürfnisse oft meine Gefühle verdrängten. An dem Tag von Mamas Beerdigung sei ich so erschöpft und müde gewesen, daß ich mir über das, was geschah, keine Rechenschaft habe geben können. Eins aber könne ich mit Bestimmtheit sagen, daß es mir lieber gewesen wäre, Mama wäre nicht gestorben. Aber mein Anwalt schien nicht sonderlich zufrieden zu sein. Er sagte: «Das genügt nicht.»
그는 곰곰이 생각했다. 그는 나에게 그 날 그가 나의 자연적인 감정을 억제했다고 말해도 되겠느냐고 물었다. 나는 그에게 말했다: “아니요, 그것이 틀렸기 때문입니다.” 그는 내가 그에게 다소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라도 한다는 듯이 나를 이상한 태도로 쳐다보았다. 그는 나에게 양로원의 원장과 직원이 어떻게 해서든지 목격자들로서 진술을 받게 될 것이고 “그것은 나를 아주 곤란하게 만들 수도 있다”고 거의 악의적으로 말했다. 나는 이 이야기는 나의 사건과 관련이 없다고 언급했지만 그는 나에게 내가 사법적 정의와 관련이 없어 보이는 것이 분명하다고만 대답했다.
Il a réfléchi. Il m’a demandé s’il pouvait dire que ce jour-là j’avais dominé mes sentiments naturels. Je lui ai dit : « Non, parce que c’est faux. » Il m’a regardé d’une façon bizarre, comme si je lui inspirais un peu de dégoût. Il m’a dit presque méchamment que dans tous les cas le directeur et le personnel de l’asile seraient entendus comme témoins et que « cela pouvait me jouer un très sale tour ». Je lui ai fait remarquer que cette histoire n’avait pas de rapport avec mon affaire, mais il m’a répondu seulement qu’il était visible que je n’avais jamais eu de rapports avec la justice.
réfléchir : 숙고하다, 곰곰이 생각하다
dominer : 지배하다, 억제하다, 굽어보다
inspirer : 계시를 주다, 영감을 주다, 불러 일으키다
dégoût : 싫증, 거부감, 혐오, 반감
méchamment : 심술궂게, 악의적으로
seraient entendus 조건법 과거, 수동태
témoin : 증인, 입회인, 목격자, 증거
jouer un sale tour : ~에게 장난쳐서 골탕먹이다
sale : 더러운, 몹시 기분 나쁜, 고약한, 야비한
rapport : 관계, 관련, 유사(점)
변호사는 잠시 생각에 잠겼다. 그러더니 그날 내가 자연스러운 감정을 잘 다스렸다고 말할 수 있느냐고 질문했다. 나는 〈아니요, 그렇게 말한다면 거짓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는 묘한 태도로 나를 바라보았다. 변호사에게는 내가 약간의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듯했다. 그는 거의 심술궂기까지 한 말투로, 어쨌거나 양로원의 원장과 직원들이 증인의 자격으로 청문을 거칠 테고 〈그렇게 되면 나는 아주 곤란한 처지에 몰리게 될 것〉이라 말했다. 나는 그에게 장례식 날의 일은 내가 저지른 살인 사건과 아무 관련이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내 말에 대해 그는 내가 사법의 정의와는 도대체 관련이 있어 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는 것이 눈에 훤히 보인다는 식으로만 대꾸했다.
He thought for a minute. He asked me if he could say that that day I had held back my natural feelings. I said, “No, because it’s not true.” He gave me a strange look, as if he found me slightly disgusting. He told me in an almost snide way that in any case the director and the staff of the home would be called as witnesses and that “things could get very nasty” for me. I pointed out to him that none of this had anything to do with my case, but all he said was that it was obvious I had never had any dealings with the law.
Er überlegte. Er fragte mich, ob er er sagen dürfe, ich hätte mich damals sehr zusammengenommen. Ich entgegnete: «Nein, das entspricht nicht der Wahrheit.» Er sah mich ganz seltsam an, als verabscheute er mich ein bißchen. Fast böse sagte er, auf alle Fälle würden der Direktor und das Personal des Heims als Zeugen vernommen werden, und das könnte «böse für mich ausgehen».
그는 화난 표정으로 갔다. 나는 그를 붙잡아 놓고 그에게 내가 더 잘 변호를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말하자면, 자연스러운 것으로서의 그의 공감을 원한다고 설명했어야 했다. 특히 내가 그를 불편하게 한 것을 알고 있었다. 그는 나를 이해하지 못했고 나를 원망하기도 했다. 나는 그에게 내가 모든 이들과 같다는 것, 절대적으로 모든 이들과 같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려는 바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은 사실상 큰 이익이 없었고 나는 게으름 때문에 그만두었다.
Il est parti avec un air fâché. J’aurais voulu le retenir, lui expliquer que je désirais sa sympathie, non pour être mieux défendu, mais, si je puis dire, naturellement. Surtout, je voyais que je le mettais mal à l’aise. Il ne me comprenait pas et il m’en voulait un peu. J’avais le désir de lui affirmer que j’étais comme tout le monde, absolument comme tout le monde. Mais tout cela, au fond, n’avait pas grande utilité et j’y ai renoncé par paresse.
fâché : 유감스럽게 생각하는, 불만스러운, 화난
aurais voulu 조건법 과거 J’aurais voulu rester ice. 여기 남아 있어야 했었는데.
retenir : 돌려주지 않다, 붙잡다, 만류하다
défendre : 지키다, 변호하다, 옹호하다
si je puis dire : 말하자면
aise : 편함, 안락 / mettre qn mal à l'aise : ~을 불편하게 하다
utilité : 유용성, 이익, 이점, 실리
renoncer : 포기하다, 그만두다
paresse : 나태, 게으름, 무기력
그러고서 그는 화난 표정으로 나가 버렸다. 나는 그를 붙들고 싶었다. 변호사를 붙들고 나는 당신과의 교감을 원한다고, 더 잘 변호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말하자면, 자연스럽게 그것을 원한다고 설명하고 싶었다. 무엇보다도 나는 내가 그를 불편하게 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는 나를 이해하지 못했고 또 어느 정도는 나를 탓하기까지 했다. 나는 그에게 나도 모든 사람과 같다고, 모든 사람과 절대적으로 똑같다고 분명히 말하고 싶었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결국 이 모든 것은 그다지 쓸모없는 짓이고, 그래서 그만 게을러진 나는 그렇게 하기를 포기했다.
He left, looking angry. I wished I could have made him stay, to explain that I wanted things between us to be good, not so that he’d defend me better but, if I can put it this way, good in a natural way. Mostly, I could tell, I made him feel uncomfortable. He didn’t understand me, and he was sort of holding it against me. I felt the urge to reassure him that I was like everybody else, just like everybody else. But really there wasn’t much point, and I gave up the idea out of laziness.
Mit bösem Gesicht verließ er mich. Am liebsten hätte ich ihn zurückgehalten und ihm gesagt, daß mir viel an seiner Sympathie liege, nicht etwa, um besser verteidigt zu werden, sondern aus ganz natürlichen Gründen, wenn ich es so ausdrücken dürfe. Vor allem merkte ich, daß er mit mir nicht ganz einverstanden war. Er verstand mich nicht und war irgendwie böse auf mich. Ich hätte ihm gern versichert, daß ich genauso sei wie jeder andere, ganz genauso. Aber im Grunde genommen hatte das alles nicht viel Sinn, und aus Trägheit verzichtete ich darauf.
얼마 후에, 나는 다시 예심판사 앞으로 인도되었다. 오후 2시였고 이번에는 그의 책상은 커튼의 막을 통해서 간신이 새어 나온 빛으로 가득했다. 매우 더웠다. 그는 나에게 앉게 하고 아주 예의바르게 나에게 나의 변호사가 “계속되는 난처한 일로 말미암아” 올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나는 그의 질문들에 답하지 않고 내 변호사가 나를 도와주기를 기다릴 권리가 있었다. 나는 혼자서도 대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책상 위의 단추를 손가락으로 눌렀다. 젊은 서기가 와서 거의 내 등 뒤에 자리를 잡았다.
Peu de temps après, j’étais conduit de nouveau devant le juge d’instruction. Il était deux heures de l’après-midi et cette fois, son bureau était plein d’une lumière à peine tamisée par un rideau de voile. Il faisait très chaud. Il m’a fait asseoir et, avec beaucoup de courtoisie, m’a déclaré que mon avocat, « par suite d’un contretemps », n’avait pu venir. Mais j’avais le droit de ne pas répondre à ses questions et d’attendre que mon avocat pût m’assister. J’ai dit que je pouvais répondre seul. Il a touché du doigt un bouton sur la table. Un jeune greffier est venu s’installer presque dans mon dos.
peu de temps après : 이윽고
tamiser : 체로 치다, 여과하다, 빛을 부드럽게[약하게] 새어들게 하다
courtoisie : 예의바름, 정중함
suite : 연속, 일련의 것
contretemps : 불의의 사고, 난처한 일
greffier : (재판소의) 서기
얼마 후 나는 또다시 예심 판사 앞에 불려 갔다. 오후 2시여서, 이번에 그의 방은 베일로 된 커튼을 그대로 뚫고 들어오다시피 하는 빛으로 가득 차 있었다. 방 안은 매우 더웠다. 예심 판사는 나를 자리에 앉힌 후 지극히 정중한 태도로 내 변호사가 〈뜻하지 않은 일이 생겨〉 올 수 없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려 주었다. 그렇지만 당신에게는 내 질문에 대답하지 않을 권리, 그리고 변호사가 당신을 배석할 때까지 기다릴 권리가 있으므로……. 그의 말에 나는 혼자서도 대답할 수 있다고 얘기했다. 그러자 예심 판사는 손가락으로 탁자 위의 단추를 건드렸다. 젊은 서기 한 명이 들어와 내 등 뒤에 바짝 붙어 앉았다.
Shortly after that, I was taken before the examining magistrate again. It was two o’clock in the afternoon, and this time his office was filled with sunlight barely softened by a flimsy curtain. It was very hot. He had me sit down and very politely informed me that, “due to unforeseen circumstances,” my lawyer had been unable to come. But I had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to wait for my lawyer’s counsel. I said that I could answer for myself. He pressed a button on the table. A young clerk came in and sat down right behind me.
Bald danach wurde ich wieder dem Untersuchungsrichter vorgeführt. Es war zwei Uhr nachmittags, und dieses Mal war sein Zimmer voller Licht, das kaum durch einen Voile-Vorhang gedämpft wurde. Es war sehr heiß. Er ließ mich Platz nehmen und erklärte mir sehr höflich, mein Anwalt wäre «leider verhindert» und könnte nicht kommen.
우리 두 사람은 모두 우리의 소파에 편안하게 자리를 잡았다. 심문이 시작되었다. 그는 먼저 그들이 나를 과묵하고 폐쇄적인 성격인 것처럼 묘사했다고 나에게 말하고 그는 내가 그것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을 알고 싶어했다. 나는 대답했다: “그것은 내가 말할 정도로 대단한 일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입을 다뭅니다.” 그는 먼젓번처럼 웃고 그것이 이유들 가운데 제일 좋은 것이라고 인정하고 덧붙였다. “게다가 그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아요.”
Nous nous sommes tous les deux carrés dans nos fauteuils. L’interrogatoire a commencé. Il m’a d’abord dit qu’on me dépeignait comme étant d’un caractère taciturne et renfermé et il a voulu savoir ce que j’en pensais. J’ai répondu : « C’est que je n’ai jamais grand-chose à dire. Alors je me tais. » Il a souri comme la première fois, a reconnu que c’était la meilleure des raisons et a ajouté : « D’ailleurs, cela n’a aucune importance. »
carrer : 네모 모양으로 만들다 (대명) 편안하게 자리잡다[앉다]
interrogatoire : 심문
dépeignait 반과거 √dépeindre : 묘사하다, 표현하다, 이야기하다
étant : (현재분사) / 존재자
taciturne : 말이 적은, 과묵한, 과묵한 사람, 유머가 없는 사람
renfermé : 감추어진, 드러나지 않는, 틀어박혀 나오지 않는
taire : 말하지 않다 (대명) 침묵하고 있다, 입을 다물다
reconaitre : 알아보다, 인정하다, 승인하다
우리는 둘 다 소파에 깊숙이 기대 앉았다. 심문이 시작되었다. 예심 판사는 먼저 사람들이 나를 무뚝뚝하고 폐쇄적인 성격이라 묘사하더라고 운을 뗀 후, 그 점에 대한 나의 견해를 듣고자 했다. 나는 〈그 이유는, 제가 항상 별로 할 얘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그냥 입을 다뭅니다〉라고 대답했다. 예심 판사는 처음 대면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미소를 지으며, 생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유들 중 그것이 제일 훌륭한 것이라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덧붙였다. 「게다가, 그런 건 하나도 중요하지 않지요.」
The two of us leaned back in our chairs. The examination began. He started out by saying that people were describing me as a taciturn and withdrawn person and he wanted to know what I thought. I answered, “It’s just that I don’t have much to say. So I keep quiet.” He smiled the way he had the first time, agreed that that was the best reason of all, and added, “Besides, it’s not important.”
Wir machten es uns beide in unseren Sesseln bequem. Das Verhör begann. Er sagte mir, man halte mich für einen verschwiegenen und verschlossenen Menschen, und er wolle wissen, wie ich mich dazu stelle. Ich entgegnete: «Ich habe nie viel zu sagen. Da halte ich eben den Mund.» Er lächelte wie beim erstenmal, gab zu, daß das ein ganz ausgezeichneter Grund sei, und fügte hinzu: «Übrigens ist das auch ganz unwesentlic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