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와 조경기사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전 지금 전문대에서 조리학과를 재학중이며 2학기 졸업반입니다.
조리학 공부를 하면서 제가 요리사쪽은 아닌거 같아 무슨일을 할까 고민중에
어릴때부터 꾸미는것을 좋아했는데 친한누나의 아버지께서 조경사업을 하신다길래
그쪽으로 들어갈까 합니다. 그래서 조경기능사와 조경기사의 시험을 준비하려합니다.
확실히 조경에 대해 아는것이 없습니다. 정원을 꾸미는 정도? 라고 밖에는 모릅니다.
지금 조경쪽에 일하시는분 조경이 어떤일을 하는곳인지 시험은 어떤유형의 난이도는
어느정도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
우선 국가기술 자격 체계를 말씀 드리면
기술사 : 기사 + 실무경력 4년
산업기사 + 실무경력 6년
기능사 + 실무경력 8년
대졸(관련학과) + 실무경력 7년
대졸(비관련학과) + 실무경력 9년
실무경력 11년 등
기사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대졸(관련학과)
대졸(비관련학과) + 실무경력 2년
전문대졸(관련학과) + 실무경력 2년
전문대졸(비관련학과) + 실무경력 3년
실무경력 4년 등
산업기사 : 기능사 + 실무경력
대 졸
전문대졸(관련학과)
전문대졸(비관련학과) + 실무경력 1년
실무경력 2년
기능사 : 자격제한 없음
위에 나열 되어 있는 것이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는 자격 요건인데요.
질문자께서는 관련 실무경력이 없으시다면 기능사 만이 응시가 가능하십니다.
자격증이야 기능사 -> 산업기사 -> 기사 의 난이도로 이루어 지는데요
기능사 같은 경우는 초보분들이라도 조금노력하시고 주변(학원 등)도움을 받으신다면
취득하시기 어려운 정도는 아닙니다.
다만 산업기사, 기사 조경자격증은 다른 타 자격증보다 난이도가 높고 취득자들도 많지 않습니다.
보통 한해에 600명 정도 기사취득이 되는것을 본다면 어려운 난이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경이 무엇이냐....음...이건 너무 광범위 한데요 ㅎㅎ
물론 정원을 꾸미는 것들도 조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금 쉽게 설명을 해본다면 그냥 평지 위에 나무와 시설물들을 세워서 꾸며준다고 할 수 있겠네요 ㅎ
이 평지는 엄청난 범위(묘지공원 , 아파트 단지 및 시단위 계획)가 될 수 도 있고 작은범위(옥상)이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
어떤 일을 하느냐도...무척 광범위 하는데요....
조경의 큰 흐름을 본다면 계획 - > 설계 - > 시공 -> 관리 가 됩니다.
계획은 말그대로 계획을 하는 단계인거고요
설계는 그 계획을 토대로 공사를 위한 설계도면을 작성 하는 것이고요
시공은 설계된 도면을 가지고 그대로 공사를 하는 것이고요
관리는 식재된 수목들이나 설치된 시설물들을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
이 모든것이 조경쪽?! 에서 일을 하게 되는 부분입니다.(이것이 전부는 아니지만 대략적으로 말씀드립니다. ^^
도움이 되었음 하네요 ^^
출처 네이버 지식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