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저는 甲건설회사에서 시공하는 건축공사장에 인부로 취업하여 작업하던 중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부상을 입었습니다. 산재보험에서 휴업보상금과 장해보상금을 수령하였으
나 너무 적은 것 같은데, 소송을 통하여 추가로 청구할 수 있는지요?
답변
근로자가 사업장에서 일을 하던 중 부상·질병·신체장해 또는 사망 등 업무상의 재 해를 당한 경우에 치료는 물론 각종 보상금(휴업급여, 상병보상연금, 장해급여, 유족 급여, 장의비 등)을 받게 하는 제도를 산업재해보상보험이라고 하는데,「산업재해보 상보험법」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위 법에 따른 보험급여는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로 재해를 당한 경우 사업주의 고 의·과실여부에 관계없이 보험급여를 해주는 것이며, 근로자가 산재보상금을 수령하 였더라도 그 재해가 사업자의 고의·과실로 인한 경우에는 민사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산업재해보험급여액이 예상한 손해배상 청구액 보다 적을 때에는 사업자를 상대로 민사상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여 부 족한 만큼 더 지급하라는 판결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그 소송과정을 통하 여 사고발생에 있어서 사용자측에 고의·과실이 있었음이 입증되어야 한다는 점, 사 고발생에 관하여 근로자 본인의 과실이 있었다면 과실상계라고 하여 손해배상금액이 적당한 비율로 감축될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 내에 청구를 하여야 한다는 점등에 주의하셔야 할 것입 니다. 그리고 동일한 업무상 재해에 대하여 민법 기타 법령에 의한 상당한 금품을 받은 때 에는 그 한도에서 근로복지공단은 산업재해보험급여를 지급하지 않으며, 근로자가 업 무상 재해로 인하여 산업재해보상금을 받았거나 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보험가입자 인 사업자는 동일한 사유에 대하여「근로기준법」에 의한 재해보상책임이 면제됩니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80조, 민법 제750조). 이와 관련한 판례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8조(현행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80 조) 제2항은 ‘수급권자가 동일한 사유에 대하여 이 법에 의한 보험급여를 받은 경우 에는 보험가입자는 그 금액의 한도 안에서 민법 기타 법령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이 면 제되고, 이 경우 장해보상연금 또는 유족보상연금을 받고 있는 자는 장해보상일시금 또는 유족보상일시금을 받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러한 규정을 구 산 업재해보상보험법(1999. 12. 31. 법률 제610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2조 제1항, 제2항, 같은 법시행령 제31조 제5항의 규정에 비추어 보면, 수급권자가 장해보상연금 을 지급받고 있는 경우에는 같은 법 제42조(현행 제57조) 제1항 [별표 1]에 정하여 진 장해보상일시금액을 수급권자에게 배상할 손해액에서 공제하여야 한다.”라고 하 였습니다(대법원 2000. 5. 26. 선고 99다31100 판결). 따라서 귀하는 작업 중 부상에 대한 사용자의 고의·과실을 입증하여 전체 손해액에 서 이미 수령한 산재보상금을 제한 나머지 금액을 소송을 통해 청구할 수 있을 것입 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