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이조 (移調 조옮김 - Transposing instruments) 악기’란 무엇인가요?
A) 실음(實音)과 기음(記音)이 틀리는 악기들을 이조악기(조옮김) 라고 합니다.
즉, 악보에 기보 된 음과 소리 나는 음이 서로 다른 것입니다.
[Bb조 악기] - 클라리넷, 베이스클라리넷, 소프라노색소폰, 테너색소폰,
베이스색소폰, 트럼펫
[F 조 악기] - 잉글리시 호른, 호른(프랜치 호른)
[Eb조 악기] - 알토 색소폰, 바리톤 색소폰
[Db조 악기] - 피콜로, Flute [A 조 악기] - 클라리넷
Q2) ‘이조(移調)이조 악보’는 무엇인가요?
A) Eb음이 으뜸음으로(계이름-도) 나오는 알토색소폰을 위해 원조(Original Key, 원키)보다 단3도(세 키) 내려 이조 시킨 악보를 말합니다.
Q2 -3) 코드와 선율의 조성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반주는 원조(Original Key, 원키)로 연주를 하고 이조 악기는 선율을 이조시켜서 연주를 해야만 같은 음높이(Pitch)를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원키가 C Major인 곡을 피아노와 테너색소폰이 연주한다면 피아노의 코드진행이 C – Am – F - G7 – C 인 경우
테너색소폰은 Bb이 으뜸음(계이름-도) 이므로 피아노와의 음 높이를 맞추기 위해 D Major로 이조 시켜 연주를 해야만 합니다.
Q3) ‘Easy Key 악보’는 무엇인가요?
A) 조표가 많이 붙어서 연주하기 힘든 원조(Original Key, 원키)의 곡들을 연주하기 쉽게 조표가 적은 Key로 이조 시켜서 만든 악보입니다.
저희 Mutopia의 악보는 관악기 연주자들의 편의를 중점으로 두고 제작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Easy Key 악보 는 반주자 보다는 ‘이조 악기’ 연주자가 연주하기 쉬운 쪽으로 키를 바꾸었습니다.
Q4) 반복 기호를 사용한 노래 진행 순서는 어떻게 되나요?
A) 다음은 저희 Mutopia 악보에 가장 많이 쓰이는 기호들입니다.
설명을 보시고 연주에 참고하세요.
(달세뇨) : (세뇨)로 가서 연주합니다.
(코다마크) : 연주 때 거의 같이 쓰이며, 코다가 나타난 마디에서 다음 코다가 나타난 마디로 건너뛰어 연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