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Chris.B입니다.
간만에 해설본을 올려 봅니다. ㅡ,.ㅠ
우리나라 증시는 왜 미국발 그리스발 일본발 중국발... 모든 발에 영향을 받는지... ㅠ.ㅠ
Red 컬러의 의미는? 동서양이 완전히 다르죠잉? 그치요잉?
150826-해설-Stock markets are on high alert.docx
주식 시장은 높은 주의상태에 있다.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중국의 경제가 빠르게 둔화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주식 시장을 통해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보냈다. 2011 년 이후 최악의 주 - 다우 지수는 1,000 포인트 이상 지난 주에 걸쳐 급락했다.
주요 글로벌 인덱스(지표)는
극적인 감소를 기록하고 턴어라운드(실적 반전: 적자à흑자전환)의 흔적을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손실은 중국의 인덱스와 영국 주식
시장 모두 최근 고점에서 10 % 이상 떨어졌으며, 미국
외에서 훨씬 더 심했다.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 시장 역시 모두 빨간색이었다. (참고: 한국은 상승 시 빨간색,
하락 시 파란색 화살표 사용. VS 미, 유럽
주식은 이와 반대.)
데이터에 의한 우려는 중국의 제조업 활동이 77개월내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던 것을 보여줬다. 다음 주, 투자자들은 무역 파트너로서
중국에 의존하는 많은 국가들에 대한 중요한 잣대로, 중국 수입에 대해 면밀히 살펴 볼 것이다.
관련기사 : 중국 경제는 위기상태다. 그 상태가 얼마나 안 좋은가?
세 가지 요소는 시장을 계속 맴돌고 있다. :
1. 중국
경제가 정부가 발표한 것 보다 빠르게 둔화되고 있는 것을 주의하라.
2. 미국연방
준비제도 이사회(FRB)가 9월, 연방 기준 금리 인상 여부관련 불확실한 상태.
3. 저렴한
유가 효과로, 유가는 6 년 만에 최저점으로 떨어졌다
조정이 나쁜 것만이 아닐 수도 있다.
이 모든 것을 통해, 미국 주가 지수는 지난 3 년간 각각 두 자릿수 이익을 기록 한 후, 올해 초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는 것은 기억할 만한 가치가 있다.
틀림없이, 미국 주식 시장이 가열되었고, 약한 기업 실적이 높은 주가와 일치되지만은 않았다.
월스트리트의 많은 사람들이 보통의 조정은 나쁜 일이 되지 않을 것이라 믿는다. 그 생각은 과열되어 나중에 (6월 이후 35 % 하락했던 중국의 심천 증시같은) 훨씬 더 많이 다치는 것
보다 지금 10 %의 손실을 받는 것이 훨씬 더 낫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 중국 제조업
6년 하락세
중국의 경기 둔화는 얼마나 안좋은 상황인가?
정부가 지난 주 자국의 통화를 평가 절하 한 후, 월가는 중국의
경기 둔화에 대한 추가적인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 정부는 경제가 올해 초 7% 경제 성장이라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더 악화될 것이라 우려한다. 중국은 FactSet에 따라, 수요일에 최근 수출입에 관련 더 많은 데이터를
게시한다. 중국과 거래하는 월스트리와 많은 국가들은 면밀하게 관찰될 것이다.
관련기사 : 이번 주, 중국의
주식 11%가 휴지조각이 되었다. (망했다)
연준은 9월에 금리를 인상 할 것인가?
중국이 충분한 투자자를 걱정하지 않는 것처럼, 9월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초, 중앙 은행은 일부 회원들은 미국에서 세계 경제와
존재하지 않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반면에 다른 회원들은 금리 인상을 진행 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 낸 7 월 회의에서의 회의록을 발표했다.
중국을 따라 -- 회의록에 나타난 불확실성 -- 은 시장을 더 시장을 하락으로 몰고 가는 원-투 펀치였다.
"나는 여전히 Yes라고
말하지만, 훨씬 덜 확신을 가지고 있다." 라고, 보스턴 Ameriprise 금융 수석 이코노미스트, David Joy는 말한다.
관련기사 : 넷플릭스 주가는 이번 주에 15 % 급감하다.
유가는 6년 반만에 저가에 있다.
그리고 오일이 있다. 원유 가격은 지난해 2009 년 이후 처음으로 배럴 당 $40 이하로 떨어졌다. 1년 전 1배럴의 석유는 약 $100의 가격이었다.
오일은 또한 많은 개발 도상국에 대한 경제 성장의 생명줄 인데,
그 나라들은 또한 대중국 경제적 노출 때문에 자국 통화 평가 손해를 보고 있는 중이다.
브라질의 통화, 실제로, 그냥
지난 4 주 동안 대달러 대비 9% 하락했다. 콜롬비아, 칠레, 베트남, 인도네시아 또한 상당한 대달러 통화 하락이 보여지고 있다.
CNNMoney (뉴욕)
2015년 8월 22일 : 동부 표준시 오후 12시 12분
첫댓글 미연방 기준금리 인상이 시기만의 문제지... 언젠가는 닥쳐올 태풍입니다.
우리나라 금융권들이 대출 금리 바로 올릴것이고 그로인한 도미노 현상이 생기지 않았으면 합니다.
대출Risk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스스로 대출규모를 미리미리 줄여나가야 할 듯 합니당...
Th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