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 웅 |
정 인승 |
류 제한 |
한 갑수 |
김 성배 |
김 계곤 |
이 응호 |
박 지홍 |
곽 상훈 |
백 낙준 |
주 요한 |
안 호상 |
이 은상 |
이 숙종 |
공 병우 |
이 장락 |
최 창식 |
문 제안 |
최 정호 |
손 세일 |
예 용해 |
최 재희 |
이 규호 |
정 병욱 |
장 덕순 |
김 선기 |
정 인섭 |
장 하일 |
김 용구 |
박 갑천 |
모 기윤 |
김 지용 |
서 정수 |
윤 석중 |
김 석득 |
한 봉흠 |
이 종은 |
장 세경 |
이 승화 |
이 상보 |
김 호 |
홍 웅선 |
박 준황 |
오 동춘 |
정 해수 |
이 강로 |
조 용란 |
박 영선 |
금 수현 |
이 영위 |
박 병호 |
정 재도 |
주 영하 |
최 기철 |
박 만규 |
박 대희 |
김 해성 |
박 종국 |
전 택부 |
강 신명 |
양 광석 |
홍 연호 |
이 관구 |
곽 종원 |
|
|
그리고, 그 다음 달(8월) 2일 운영 위원회를 열고, 임원을 선정하니 다음과 같다.
위 원 장: 주 영하
부위원장: 최 재희 정 병욱 전 택부 이 규호 이 종은 한 창기
이 조직을 전국적으로 펴서 대대적 운동을 전개하니, 지방의 호응이 불일 듯하여 지부가 연이어 결성되니, 대전․인천․부산․울산․진주․전북 등 지부가 그것이다.
그리고, 1974년 10월 8일 기독 청년 회관 강당에서 528돌 한글날 기념 대강연회를 열었는데 주제와 발표한 이는 다음과 같다.
한글과 기계: 주 요한 (해운 공사 사장)
한글과 문학: 이 어령 (이화 여대 교수)
한글과 자연 과학: 박 만규 (고려대 교수)
한글과 언론: 최 정호 (성균관대 교수)
토박이말과 기업: 한 창기 (한국 브리태니커 사장)
이 운동에 학생들의 호응이 대단하므로 1975년 2월 1일 ‘학생부’를 두기로 결정하고, 그 달 22일 전국 국어 운동 고등 학생 연합회를 결성하였다. (운동 업적은 ‘한글만 쓰기’ ‘국어 순화 운동’ 편에 있음)
그리고, 각 지방으로 돌아다니며, 대강연회를 열어 대성황을 이루었는데, 다음과 같다.
ㄱ. 부산 대강연회 (1975. 5. 30. 데레사 여자 고등 학교 강당)
한글 전용화와 한문 전문화: 안 호상 (재건 국민 운동 중앙회장)
우리말의 미적 관찰: 김 상옥 (시인)
한글과 언론: 주 요한 (해운 공사 사장)
ㄴ. 대전 대강연회 (1975. 6. 27. 대전 고등 학교 강당)
한글과 문학: 이 청준 (소설가)
한글과 신문: 김 용구 (한국일보 논설 위원)
한글 기계화: 주 요한 (해운 공사 사장)
ㄷ. 인천 대강연회 (1975. 6. 26. 인천 창영 국민학교 강당)
새 시대를 겨냥한 한글: 김 계곤 (한글 학회 이사)
정보 사회와 한글의 위치: 이 주근 (인하 공대 교수)
한글 문화 협회는 한글 전용 국민 실천회와 함께 1975년 10월 8일, 529돌 한글날 기념 대강연회를 서울 기독 청년회관 강당에서 열어 큰 성황을 이루었는데, 그 주제와 강사는 다음과 같다.
겨레의 생명선 우리 말과 글: 홍 종인 (언론인)
신문 언어의 반성: 손 세일 (동아일보 논설 위원)
한자의 본질과 한자 세대의 정체: 정 병욱 (서울대 교수)
한글과 글자 생활의 기계화: 문 제안 (수도 여사대 교수)
인천 지부 (지부장: 이 강로)는 1976년 2월 24일 한글 문화 강연회를 열었는데, 강사는 다음과 같다.
방 제세 (인천 교대 부속 국민학교 교사)
한 인희 (성남 양영 중학교 교사)
조 용란 (인하 공전 교수)
한글 전용 국민 실천회와 공동 주최로, 1976년 10월 8일, 530돌 한글날 기념 대강연회를 기독 청년 회관 강당에서 열어 큰 성황을 이루었다. (주제와 강사는 ‘강연회’항에 있음)
이 후의 일은 ‘강연회’항에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중복을 피한다.
<글쓴이: 류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