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중 첫번째 메이저 대회인 호주오픈 개막
아래는 남녀 각각 128명씩 출전하는 단식선수중 아시아 국가 출전선수들임.
선수 이름앞에 " - " 표시는 3세트 경기 선수임.
=============================================================================================================
-韓國: 불출전 (한국의 과거 최고 전적: 언젠가 이형택이 3회전<32강>까지 오른 적이 한번 있었음)
----------------------------------------------------------------------------------------------
-印度:
남 Bopanna ,남복 3회전탈락 (@ Bhupathi와)X
여
Sania Mirza, 단식1회전탈락X ,
女複 2회전진출(결승에 못오름)X
혼복(@남 Bhupathi와 組 ) 준결승에서 패X
남 
Bhupathi,(여Mirza와) 混複 준결승에서 패X,(부파티와 미르자는 혼복랭킹 6위임),
남 Bopanna와남복 3회전탈락X
남
Paes, 남복식 우승O(미국의 브라이언 쌍둥이형제조에 7-6<7-1>,6-2승)
混複 준우승
----------------------------------------------------------------------------------------------
-泰國: (1명 남음)
여 tanasugarn, 단식1회전탈락X, 여복1회전탈락X
(- 남 Danai Udomchoko, 단식3회전 승리)
----------------------------------------------------------------------------------------------
-臺灣: 남 Yen-hsun Lu, 단식3회전탈락X,(32강,對前US오픈우승자 Del Potro에 2:6,3:6,0:6패)
<'83년생,180cm,79위>
-남 jimmy wang ,단식2회전탈락X
-남 tsung-hua yang ,단식1회전탈락X
여 Chia-jung Chang, 女複 1회전탈락X
여 Su-wei Hsieh, 女複 2회전진출, 혼복1회전
(-여 Kai-chen Chang, 단식3회 승리)
-----------------------------------------------------------------------------------------------
-中國: (2명 남음)
여
Na Li, 단식 4회전 탈락(16강, 對전우승자 킴클리처)X
<'82년생,173cm, 6위,작년 프랑스오픈 우승자>
여 Shuai Peng, 단식2회전탈락X, 혼복1회전탈락X
<씨드16번?,'86년생,173cm>
여 shuai zhang, 단식1회전탈락X,여복1회전탈락(@일본 date-krumm과 조)X
여
Jie Zheng, 단식 4회전 탈락(16강)X,
<'83년생, 165cm, 前호주오픈 4강진출 경력 有>
女複3회전 진출
-----------------------------------------------------------------------------------------------
-日本: (1명 남음)
-여 kurumi nara,3회전탈락X
남 tatsuma ito, 2회전탈락X
-남 Yuichi Suqita, 3회전탈락X
여
kirniko date-krumm, 단식1회전탈락X, 한국에도 온 40대 선수
(@중국 여 shuai zhang와 조) 여복 1회전탈락X,
남kei와 혼복1회
여 Ayumi Morita,1회전탈락X <'90년생,165cm>
<'90년생,165cm>
(@여 Fujiwara와 조, 女複 2회전진출)
여 Fujiwara 女複 2회전진출
남
Kei Nishikori <'89년생,178cm>,
단식5회전탈락(16강에서 쏭가에 이겼으나 8강에서 머레이에 3:6,3:6,1:6패 ),
여Date와 혼복1회전
-------------------------------------------------------------------------------------------------------------
이중 누가 아시아인의 자존심을 세워주게 되려는지, 가능성이라도 -----.
세계적 선수 조건: 나이 30세 이전, 신장 남180cm, 여170cm 이상, 성격외향적보다는내성적
경기는 인터넷으로 즐겨보시길!
--------------------기 사---------------------------------------------------------------
-호주오픈테니스- 페더러·나달 3회전 진출(종합)
'테니스 황제' 로저 페더러(3위·스위스)가 시즌 첫 메이저대회인 호주오픈(총상금 2천600만호주달러)에서 남자단식 3회전에 진출했다.
페더러는 18일 호주 멜버른에서 예정된 단식 2회전에 상대 선수 안드레아스 벡(93위·독일)가 허리 통증으로 불참해 힘들이지 않고 32강에 올랐다.
지난해 메이저대회에서 우승하지 못한 페더러는 "경기를 기대했던 팬들에게 미안하다. 다음 경기를 잘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1981년생으로 올해 31살인 페더러는 5세트 경기로 열리는 메이저 대회에서 체력 부담이 우려됐으나 한 경기를 쉬게 되면서 그만큼 체력을 아낄 수 있게 됐다.
이번 대회 결승에 오를 경우 지미 코너스(미국)가 보유한 메이저대회 단식 최다승(233승) 기록을 넘어서는 페더러는 키 208㎝의 장신 선수 이보 카를로비치(57위·크로아티아)와 3회전에서 맞붙는다.
라파엘 나달(2위·스페인)도 토미 하스(190위·독일)를 3-0(6-4 6-3 6-4)으로 완파하고 3회전에 안착했다.
오른쪽 무릎에 보호대를 차고 나온 나달은 "무릎 상태는 생각보다 괜찮았다. 경기를 하는 데 별다른 지장이 없었다"고 말했다.
나달의 3회전 상대는 2009년 서울에서 열린 삼성증권배 챌린저 대회 단식 우승자 루카스 라츠코(119위·슬로바키아)로 정해졌다.
2010년 윔블던 8강에 올랐던 루옌순(79위·대만)은 플로랑 세라(156위·프랑스)를 3-0(7-5 6-2 6-2)으로 꺾고 3회전에 올라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11위·아르헨티나)와 32강에서 만난다.
여자부에서는 지난해 결승에서 맞붙었던 킴 클리스터스(14위·벨기에)와 리나(6위·중국)가 나란히 3회전에 올랐다.
지난해 챔피언 클리스터스는 스테파니 가콘(107위·프랑스)을 불과 47분 만에 2-0(6-0 6-1)으로 완파했고, 리나는 올리비아 로고브스카(168위·호주)를 역시 2-0(6-2 6-2)으로 따돌렸다.
클리스터스는 다니엘라 한투코바(21위·슬로바키아), 리나는 아나벨 메디나 가리게스(28위·스페인)와 3회전을 치른다. 둘 다 3회전을 통과하면 16강에서 맞붙는다.
아직 메이저대회 우승이 없는 세계 랭킹 1위 캐롤라인 워즈니아키(덴마크)는 안나 타티슈빌리(83위·조지아)를 2-0(6-1 7-6<4>)으로 꺾었다.
2세트 게임스코어 3-5로 뒤지던 워즈니아키는 이후 상대 서브 게임을 따내며 승부를 타이브레이크로 몰고 간 끝에 힘겹게 승부를 마무리했다.
워즈니아키의 3회전 상대는 모니카 니쿨레스쿠(32위·루마니아)다.
2010년 프랑스오픈 우승자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11위·이탈리아)는 2회전에서 로미나 오프란디(80위·이탈리아)에게 0-2(4-6 3-6)로 져 탈락했다.
첫댓글 한국은 골프때문에 테니스 비인기로 출전 선수가 단 한명도 없음!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애들이(교포포함) 외국에서 기량을 다지고 오렌지볼대회에서 우수한 성적도 거두고 난리 아닌 난리인데..그런걸루 아는데 어찌하여 그랜드슬램대회에서는 코빼기도 안보이니 웬일인지 궁금해요. *발 세월이흘러도 벌써 20년이 흘렀는데....
3회전진출 전적으로 단식을 비교하면 2000년대 후반에 남자의 경우 한국,대만,일본이 동률이고,
여자의 경우 중국이 단독 최상임 특히 중국의 여자 테니스는 메이저 대회에서 여자단식 우승
및 4강, 복식 우승 및 준우승등의 동양인으로서는 인도에 이어 실로 큰위업을 달성해서 현재 가장 잘 나가고 있는 상태이고 이번에도 Na Li 와 Jie Zheng의 경우 좋은 성적이 기대 됨.
-Jie Zheng는 3회전에서 프랑스 강호 바톨리를 꺽고 4회전(16강)진출,여복에서도 3회전 진출상태
-Na Li는 킴과 宿敵 관계로 4회전(16강)이 최대 고비
그 화려한 우리나라 선수들은 왜 하나도 없는지....
한국은 중.일 및 인도와 테니스 수준 대결에서 이제 밀림.
*과거 한국의 이형택이 3회전(32강)까지 진출한 것이 한국 최고 기록임. 참고로 인도는 남복,혼복에 강함. 대만은 여복이 강함.
-일본: 남단식 5회전에서 아깝게 탈락(16강에서 쏭가에 이겼으나 , 8강(5회전)에서 머레이에 3:6,3:6,1:6패 )--아시안 남자로서는 최고 성적,
-중국:기대주 Li Na와 Jie Zheng이 여단식 4회전에서 아깝게 탈락.
-인도:한국에도 왔던 남자2명과 여자1명이 복식에서 우승등 세계적으로 좋은 성적 올리며 명성도 어느 정도 있음.
-대만: 한국과 비슷한 수준,
-태국: 전반적으로 한국과 비슷한 수준
-한국: 현재는 아시아 5개국중 최하위 수준
단식 결승은 예상대로 시드배정 상위 랭커들이 결승에서 만남으로서 이변은 없었음.
-남자: 페더러(3번) vs 나달(2번)의 준결승전은 31세의 페더러(81년생)가 체력의 열세에 따른 범실로 패.
조코비치(1번)vs 머레이(4번)의 준결승 승자와 먼저 올라와 기다리고 있는 나달과의 결승전이 될 것임.
-여자: 재기의 사라포바(4번) vs 신예 아자렌카(3번)의 결승임. 사라포바의 상승세 vs 아자렌카의 퍠기.(준결에서 사라포바는 크비토바(2번)를 아자렌카는 전 챔피언 아줌마 클리지스터(7번)를 누르고 결승에 진출)
결승전의 승자를 예상해봅시다.
-남자는 상승세의 조코비치가 변화 없는 경기 운영과 신장열세 및 다리부상의 나달보다 유리할 것으로 보이고,
-여자는 퍠기의 아자렌카가 감정의 기복이 있는 사라포바보다 약간 유리할 것 같음.
남자 2번째 준결승인 Serbia의 戰士 노박 조코비치 vs 영국(정확히는 Scotland)의 希望 앤디 머레이 전은
6:3, 3:6, 6<4>:7<7>, 6:1, 7:5로 조코비치가 결승에 진출, 나달과 한판 승부를 겨룰 예정.
접전 끝에 역시 조코비치가 머레이를 누르고 결승에 진출, 나달과 한판을 남겨 놓고 있음.
6-3,3-6.6-7<4-7>,6-1,7-5, 정말 대접전이었고 머레이가 모처럼 좋은 경기를 펼쳐 현 랭킹1위인 조코비치를 혼내주긴 했으나 아쉬운 한판이었음.
女單決勝: 아자렌카의 완승! 우승! 6-3,6-0승
男單決勝: 조코 승리, 나달의 아쉬운 패.
조코vs나달 스코어: 5-7,6-4,6-2,6-7(5),7-5
女複優勝:쿠스네트소바&즈보나레바. 러시아女들임.이태리 선수들에.우승조는 둘다 단식 상위 랭커들이어서 강팀으로 구성된 러시안들임. 단.복 양쪽을 다 뛰는 체력이 대단함.
男複決勝:인도 Leander Paes+체코 Radek Stepanek(힝기스 남편) vs 미국의 쌍둥이 Bryan 형제(Bob과 Mike).
브라이언 형제가 너무 강해 무난히 우승 예상. 인도의 파에스는 부파티(특이한 서브 폼을 갖고 있음)와 한국에서
이형택등과 시합도 했던 선수들인데 꾸준히 성장해 둘다 아시아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복식 선수들이 되어 있음.
결과는 예상을 빗나가고 아시아의 자존심 Paes組가 드디어 優勝! 그것도 그 유명한 미국의 쌍둥이형제조에! 둘다 아시안은 아니니 아시안의 절반의 승리!
(파에스는 루마니아 테카우와 混複조를 이루어 결승에 진출했으나 아깝게 준우승에 머무름)
스테파넥하고 파에스의 호흡이 척척 잘 맞더군요. 양키쉐키를 깨버리니깐 속이 다 후련합디다.
난 영상을 보진 못했는데 브라이언 형제들이 상대를 얏잡아 보다 코다친 것 아닐까. 파에스의 경우 키는 크질 않아도 대신 몸과 판단이 빠른데 이런 걸 간과한 것 같은디---. 질 녀석들이 아닌데----. 테니스에서 방심은 금물.
Paes, 루마니아 테카우와 조를 이룬 混複에서는 準優勝(6-3,5-7[10-3]). 복식 전문 선수인 셈.
금년 호주오픈에서 아시아 선수들중 이름 값을 한 나라는 역시 印度: 남자 파에스,부파티, 여자 미르자, 그 다음은 日本:남자 니시코리, 여자 다테(42세), 그리고 中國: 역시 여자 나 리, 지에 젱, 그리고 臺滿 남자 Yen-hsun Lu(단식 3회전에서 델 포트로에 패), 마지막이 泰國 : 여자 타나수가른(단식 1회전 탈락). 한국은 불출전인데 역대 전적 비교하면 대만수준.
앞으로 남자 랭킹은 당분간 쪼코비치, 나달, 페더러, 머레이가 엎치락 뒤치락 하는 한 해가 될 것이고, 여자쪽은 사라포바,아자렌카, 크비토바, 클리지스터,워즈니아가 그럴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