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시아 여행학교 ]
곶자왈작은학교 2015 아시아 평화여행 _ 베트남을 가다
- 베트남전쟁의 아픔을 나누고 사과하고 평화의 관계를 만든다 -
□ 목 적
- 베트남의 자연과 문화, 역사를 배운다.
- 베트남 전쟁의 아픔을 느끼고 나눈다.
- 베트남 전쟁 중에 벌어진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에 대해 사과한다.
- 베트남 미래세대와 만남과 교류를 통해 평화의 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 일 시 : 2015 1. 14(수) ~ 24(목) / 10박 11일(베트남 9박 10일)
□ 여행지 : 베트남(호치민시, 까마우성, 꽝아이성, 꽝남성, 호이안)
□ 주 최 : 곶자왈작은학교
□ 베트남 진행(코디네이터) : 베트남 사회적기업 <아맙>
□ 참가자 : 어린이, 청소년, 어른 18명
③ 전쟁증적박물관…"전쟁은 기념하는 게 아니라 잊지 않고 기억해야 하는 것"
# 여행 셋째 날 오전(1. 16)
- 일어나기(06:30)
- 아침식사, 씻기, 짐 꾸리기
- 호텔 체크 아웃(07:50)
- 이동(전세버스)
- 전쟁증적박물관 도착(08:10)
- 박물관 둘러보기(08:30~10:40 구수정-권현우 선생님 안내)







전쟁박물관에 갔다. 베트남 전쟁 당시와 후의 사진도 보고, 무기와 그래프도 봤다. 사진을 봤는데 고엽제인가 뭔가 때문에 피해를 입은 사람이 많았다. 미군이 쏜 화학무기 7200만 리터 중 4400만 리터가 고엽제였다고 하였다. 또 미군이 베트남 사람을 고문하는 사진도 봤는데 다른 나라에셔 왜 더러운 전쟁이라 했었는지 알 것 같았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돈 벌려고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을 도운 나라 중 군인도 가장 많이 보내고 UN이 베트남에서 60일 안에 철수하라 했을 때도 가장 마지막 날에 철수해서 가장 오래 주둔한 나라였다.(가정 먼저 전쟁에 참여한다고도 함.) 우리나라가 돕지 않았었으면 전쟁이 더 빨리 끝났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 '전쟁증적박물관', 조민우(초등 6학년), 2015. 1. 16
전쟁박물관은
나에게
베트남 전쟁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고
고엽제 등
화학무기에
무서움
전쟁에
피해를
알려주어서
선생님 같은
느낌이 났다.
-- '전쟁증적박물관은 선생님', 오륜규(초등 5학년), 2015. 1. 16









베트남 전쟁의
역사를 봤다.
아픈 기억,
전쟁 중 다친 기억,
하늘 나라로 돌아간 기억
그 기억들이
내 마음 속에
고스란히 담겨졌다.
언제까지
꼭꼭 잊지 말아야겠다.
-- '전쟁증적박물관', 양정아(초등 5학년), 2015. 1. 16
베트남 전쟁 박물관은
전쟁의 아픔을 담고 있다.
베트남 전쟁 박물관은
전쟁의 고통을 알리고 있다.
사진과 글, 모형들도
전쟁은 좋지 않고
미국의 잘못을 알린다.
우리나라에도
전쟁 박물관이 있다.
전쟁 기념 박물관…
전쟁은 과연 기념해야 되는 걸까?
문득 나한테 던지는 질문.
다시 한 번 전쟁을 기념해야 될까
생각을 한다.
-- '베트남 전쟁 박물관', 허선영(초등 5학년), 2015. 1. 16








제네바 협약을 맺은
전쟁 금지 무기
그러나 미국은 그 무기들을 사용함으로써
인간살상무기 실험전을 치른다.
그로 인해 사람들은 살이 타들어가고
뼈의 모양이 틀어지는 고통을 겪는다.
또한 고엽제의 피해를 입은 사람이
낳은 자식들은 기형아가 된다.
또 미국은 잔인하게 고문하고
사람을 죽이고 웃고 있다.
-- '미군의 범죄사실', 김소희(초등 6학년), 2015. 1. 16
베트남 전쟁
무차별 폭격을 한 전쟁
제네바 협정의 민간인 살상 금지 조약을 어기고
그 살상무기들을 더 실험한 전쟁
고엽제라는 화학약품을 사용한 전쟁
많은 사람이 고통받고 죽었다.
전쟁기자가 가장 많이 죽었다.
너무 마음이 아파 자꾸 고개를 숙이게 된다.
과거의 일을 잊어버리면 다시 반복되게 되버릴 수도 있다.
꼭 이 사건들을 기억할 것이다.
-- '전쟁박물관', 강예원(중 1학년), 2015. 1. 16











전쟁 하지 마세요
제발 하지 마세요
죄 없는 숲과 나무를
말라 죽게 하고
소중한 생명의 불씨를
하나하나 꺼뜨리고
참여하지 않은 후손들에게
큰 아픔을 남겨주고
모두의 가슴 속에
큰 못을 박아 놓는
전쟁 하지 마세요.
-- '전쟁', 전혜연(중 1학년), 2015. 1. 16
왜 미국은 베트남과 전쟁을 했을까.
왜 미군은 베트남 사람들을 그렇게도 참혹히 죽였을까.
왜 한국은 베트남에 파병을 했을까.
왜 베트남 사람들은 고통 속에서 죽어가야만 했을까.
왜 구찌땅굴은 만들어져야 했을까.
왜 아기들은 태어나기도 전에 죽어갔을까.
왜 그들은 그렇게 살아야만 했을까.
1975년, 전쟁이 끝난 직후 베트남 사람들은 기념관과 증오비를 가장 먼저 세웠다고 한다.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해, 그리고 그들이 살아왔던 전쟁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
100년 간의 식민지 지배와 30년의 전쟁 속에서 그들이 어떤 마음으로 살아왔을지 궁금해진다.
자유를 꿈꾸며 희망을 다잡았을까, 복수하리라는 일념 아래 증오심을 키웠을까.
적어도 그 순간을 잊지 않으려 노력했을 거라는 사실은 알 수 있다.
-- '전쟁 증적 박물관', 조유나(중 3학년), 2015. 1.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