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어증(Aphasia)에 대한 간단한 정의
-실어증은 입으로 소리를 내는 구음기관의 뚜렷한 기능 부전이나 의식의 혼탁 없이 언어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는 증상으로 흔히 뇌의 병적인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언어장애를 가리킨다. (네이버 백과사전)
2. 브로카 실어증(Broca's aphasia)
- 브로카(Broca)는 19세기 프랑스의 의사였다. 그는 그의 환자중 한명이 발화는 거의 할 수 없으나 언어를 이해하는데 크게 장애가 없는 것을 발견했다. 그 환자가 죽은 후 브로카는 그 환자의 뇌를 해부해보았다. 해부해본 결과 좌반구 하측 전두엽의 일부 영역이 손상되어있었으며 이 영역은 브로카 영역(Broca's area)라 명명된다.
브로카 영역은 언어의 생성 및 제어와 관련된 영역으로 이 부분의 손상으로 일어난 실어증을 브로카 실어증이라 한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은 언어의 이해에는 비교적 큰 문제가 없으나 언어의 발화에 있어서 문제증상을 보인다. 특히 브로카 실어증은 비문법성 실어증(agrammatic aphasia) 라고도 불리우는데 이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이 발화하는 언어에 문법적 요소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고 문장의 문법성 측면을 판단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을 겪기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예를 들어 기능어(function word)를 생략하는 경우가많은데 대표적인 예시로 'I will meet you in the airport lounge.'라는 문장을 'Meet you in air lounge'라고 표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의 언어는 문장의 주요성분을 빼먹고 핵심의미의 단어들만 있는 경우가 많아 마치 전보를 보낼때 쓰는 언어와 흡사하다해서 'telegraphic speech'라 불리우기도 한다. -ed, -s등의 inflection생략 또한 자주 발생하며 문법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수동태 문장에서 누가 행위의 주체이고 누가 행위의 대상인지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요약하자면 브로카 실어증 환자들은 문법적으로 단순한 언어의 이해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문법적으로 복잡한 구조의 문장 이해에 어려움을 겪으며 발화의 fluency 및 grammarticality 측면에 있어 치명적인 문제점을 보인다.
다음은 브로카 실어증 환자와 의사 사이의 대화이다.
Doctor: Could you tell me what you have been doing in the hospital?
Patient: Yes, sure. Me go, er uh, P.T.(physical therapy) none o'cot, speech ... two times ... read ... read ... r ... ripe ... rike ... uh.....write...practice...get....ting....better.
Doctor: And have you been going home on weekends?
Patient: Why, yes...... Thursday.....uh.....uh.......uh..........uh..........no.......Friday..........bar.......ba......ra.....wife....and oh
car ........ drive........ purpike..... you know.....rest......and TV.
3.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s aphasia)
- 칼 베르니케(Carl Wernicke)는 19세기 독일의 신경정신과 의사였다. 그는 보고서에서 브로카 영역의 손상과는 다른 유형의 실어증을 제시했는데 이는 좌반구 측두엽의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의 손상으로 오는 베르니케 실어증(Wernicke's aphasia)로서 브로카 실어증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베르니케 실어증 환자들은 유창한 발화를 할 수 있으며 억양도 자연스러우며 문법 규칙의 이해 및 적용에 문제점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해불가능한 무의미한 언어를 만들어낸다.
다음은 베르니케 실어증 환자가 그의 건강상태에 관한 질문에 대답한 내용이다.
I felt worse because I can no longer keep in mind from the mind of the minds to keep me from mind and up to the ear which can be to find among ourselves.
또한 베르니케 실어증 환자들은 어떤 주어진 물건이나 대상의 이름을 말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일반인들은 열쇠를 보여주면 바로 열쇠라고 대답하지만 베르니케 실어증 환자들은 정답을 바로 말하지 못하거나 cat과 같은 엉뚱한 답을 하게 된다.
4.브로카 실어증과 베르니케 실어증에 대한 요약
-브로카 실어증은 언어 발화상 문제를 보이며 베르니케 실어증은 언어 이해와 관련된 측면의 문제를 보인다.
브로카 실어증은 syntactic disorder, 베르니케 실어증은 semantic disorder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5.결론: 실어증과 뇌 편중화(lateralization) 와의 상관관계
- 언어기능에 있어 총체적 문제를 모이는 실어증 환자는 극히 드물며 대부분의 실어증 환자들은 브로카 영역이나 베르니케 영역 둘중 한부분의 손상을 보인다. 언어와 직결된 뇌의 두 영역은 모두 뇌의 좌반구에 위치해있으며 이는 뇌의 언어처리기능이 좌반구에 편재되어있음을 보여준다.
7.브로카 실어증과 베르니케 실어증에 관련된 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f2IiMEbMnPM (브로카 실어증)
http://www.youtube.com/watch?v=B-LD5jzXpLE (베르니케 실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