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에서 단양으로 향했다
단양읍내 들어서기 전 도담삼봉이 먼저 맞는다
도담삼봉은 단양팔경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곳이다. 단양시내에서 제천 방향으로 3km 정도 남한강을 따라가면 맑은 물이 굽이치는 강 한가운데에 세 개의 봉우리가 우뚝 솟아 있다. 바로 도담삼봉이다.
가장 높은 가운데 봉우리를 장군봉, 북쪽 봉우리를 처봉, 남쪽 봉우리를 첩봉이라 한다. 장군봉은 처봉을 등지고 첩봉을 바라보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전설에 따르면 남편이 아들을 얻고자 첩을 들여 아내가 돌아앉은 것이라고 한다. 각각 아버지봉, 아들봉, 딸봉이라고도 한다.
중봉에는 현재 삼도정(三嶋亭)이라는 육각정자가 서 있다. 삼도정은 세 봉우리와 어울려 한층 더 경관미를 돋보이게 한다.
1766년(영조 42) 단양군수로 부임했던 조정세(趙靖世)가 처음으로 이곳에 정자를 짓고 능영정(凌瀛亭)이라 이름 지었다. 이후 1900년대에 김도성(金道成)에 의해 사각정자가 목조건물로 지어진 후 빼어난 모습을 간직해왔는데 안타깝게도 1972년 대홍수로 유실되었다. 이후 1976년 콘크리트로 다시 지은 정자가 삼도정이다.
퇴계 이황은 단양을 무척 사랑했다. 단양의 빼어난 경치 때문에 스스로 청해서 단양군수로 부임하기도 했다. 단양군 내에는 명승지가 많았는데 이황은 그중에서도 도담삼봉을 가장 으뜸이라 했으며 아름다운 경승지를 보고 많은 시를 남겼다.
조선왕조의 이념적 기반을 구축한 개국공신 정도전은 도담삼봉을 즐겨 찾았다. 태조 이성계의 장자방 역할을 했던 정도전은 도담의 경치를 좋아하여 젊은 시절 이곳에서 오랫동안 청유했고 자신의 호를 삼봉이라 한 것도 도담삼봉에서 연유한 것이라 한다.
또 정도전과 관련된 전설이 있다 강원도 정선군의 삼봉산이 홍수 때 떠내려와 지금의 도담삼봉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단양에서는 정선군에 매년 세금을 내고 있었는데 어린 정도전이 “우리가 삼봉을 정선에서 가져온 것도 아니요, 오히려 물길을 막아 피해를 보고 있어 아무 쓸데없는 봉우리에 세금을 낼 이유가 없으니 필요하면 도로 가져가라”고 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후에는 세금을 내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泛島潭 二首(도담삼봉에 배 띄우고) - 오상렴
강가의 나무 쓸쓸하니 잎이 모두 떨어졌는데 江木蕭森葉盡零
물 속엔 오리 하늘엔 백로새 가득히 물가로 돌아오네 浴鳬飛鷺滿回汀
호수 속에 돌이 갈라져 세 봉우리 하얗게 湖心石斷三峰白
바위 위에 하늘이 둥글어 한 구멍이 푸르러라 巖項天圍一竅靑
해가 저무니 蛟龍들은 굴 속의 집에서 의지하고 歲暮蛟龍依窟宅
산이 깊으니 藥草는 仙靈스럽게 감추었네 山深藥草悶仙靈
난초 櫓 저어 배 돌이켜 늦게나마 마름 물가로 돌아오니 蘭橈却轉蘋洲晩
근심스레 湘潭을 향해서 홀로 깨었는가 묻고 있네 愁向湘潭問獨醒
其二
萬古滄波 한 조각 낚시배 萬古滄波一釣舟
세 산에 싸여 푸른 빛 中流에 떠 있네 三山積翠在中流
하늘이 차고 물이 떨어지는 것은 자라와 악어의 굴이요 天寒水落黿鼊?窟
해 따습고 모래 밝은 것은 기러기와 따오기의 물가일세 日暖沙明鴈鷘?洲
魚海(호수 이름)의 使君은 부질없이 슬피 바라보고 魚海使君空悵望
학정의 돌아가던 손님도 잠시 머물러 구경하네 鶴亭歸容暫遲留
하늘을 찌를 듯 빼어난 빛깔은 응당 비교할 만한게 없으니 嵌空秀色應無比
米老(宋나라때 米芾를 말함, 金石 古器奇石을 좋아하고 글씨와 그림에 유명했음)가 미칠듯이 좋아해서 찾을만도 하다네 米老顚狂不解求
島潭作(도담에서 지음) - 오상렴
강가 정자에 낮이 되니 돌아오는 말에게 꼴을 먹이네 江干亭午秣歸驂
어이 차마 詩 없이 도담을 지날 수 있으리 可忍無詩過島潭
물 형세는 평평하여 비단 띠를 두른 것 같고 水勢平鋪羅帶一
구름의 근원은 높다랗게 창 가지 셋 달린 듯 하네 雲近高並戟支三
나무하는 배 키를 돌려 순한 바람 만나게 하고 樵舡捩柁乘風便
쇠 벽이 하늘을 이웃해 태양을 먹을까 두렵네 鐵壁隣天畏日䘖
두 번 다시 와서 옛 길을 미혹치 않고 莫遣重來迷舊路
가득한 갈매기와 백로가 모여 서로 낚시를 하네 滿磯鷗鷺許相參
도담삼봉 주차장에서 올려다보면 산 위에 이향정이라는 정자가 있는데 이곳에 오르면 도담삼봉과 주변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석문으로 오르는 등산로에서 바라보는 모습 또한 매우 아름답다.
도담삼봉은 아름다운 산수를 지극히 사랑한 우리 선조들의 인문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승화된 팔경문화를 나타내고 있는 대표적 절승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