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사 |
특성 |
명사 |
•사물이나 사람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예) 이순신, 강, 나무, 사랑, 것, …… •지시 대상의 범위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나눔. 예) 이순신, 런던(고유 명사) / 책상, 우정(보통 명사) •자립적인지 여부에 따라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로 나눔. 예) 하늘, 구름(자립 명사) / 것, 따름(의존 명사) |
대명사 |
•사물이나 사람, 장소 등의 이름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단어 •사람 표시의 인칭 대명사와 사물이나 장소 표시의 지시 대명사가 있음. 예) 인칭 대명사: 나, 그녀, 우리, …… 지시 대명사: 이것, 저기, 그곳, …… •모르는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를 의문 대명사, 불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대명사를 부정 대명 사, 한 번 나온 명사나 대명사를 다시 가리키는 대명사를 재귀 대명사라 함. 예) 의문 대명사: 누구, 무엇, 몇, 어디, 언제, …… 부정 대명사: 누구, 무엇, 몇, 어디, 언제, 아무, …… 재귀 대명사: 자기, 저/제, 당신 ☞ 의문 대명사와 부정 대명사의 구분 부정 대명사는 의문문에서도 쓸 수 있고 평서문에서도 쓸 수 있음. 예) 서랍 속에서 뭐가 만져진다.(부정 대명사) 이게 뭐예요?(의문 대명사) |
수사 |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단어 •수량을 세는 양수사와 순서를 가리키는 서수사가 있음. •양수사에는 정확한 수와 대략의 수가 있음.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가 있음. 예) 양수사: 하나, 둘, 셋, 넷, 서넛, 일(一), 이(二), 삼(三), 오륙(五六), …… 서수사: 첫째, 둘째, 제일(第一), 제이(第二), 제삼(第三), …… |
*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 명사의 종류 - 고유/보통 명사, 자립/의존 명사 등
* 대명사의 종류 - 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의문 대 명사, 부정 대명사, 재귀 대명사
* 수사의 종류 - 양수사 / 서수사, 고유어 / 한자어 수사
○ 용언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 상태나 성질 등을 나타내는 단어로 동사와 형용사가 있음. ‘어찌하다’ 또는 ‘어떠하다’에 해당하는 말로서 주로 서술어로 사용되고 부사의 꾸밈을 받음. 용언은 어간에 어미가 결합하여 활용하는 대표적인 부류임.
품사 |
특성 |
동사 |
•사물이나 사람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 •타동사의 동작이나 작용이 미치는 대상은 목적어로 나타남. 목적어가 있는 동사를 타동사, 없는 동사를 자동사라고 함. 예) 자동사: 솟다, 일어나다, …… 타동사: 보다, 찾다, 먹다, …… |
형용사 |
•사물이나 사람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성질이나 상태를 직접 나타내는 성상 형용사와 성상 형용사의 의미를 대신 가리키는 지시 형용사가 있음. 예) 성상 형용사 : 아름답다, 붉다, 높다, 크다, …… 지시 형용사: 이러하다, 그러하다, 저러하다 등 |
☞ 본용언과 보조 용언
보조 용언은 혼자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다른 용언(본용언) 뒤에 붙어서 특수한 의미를 더해 주는 용언. 본용언과 보조 용언 사이에는 ‘-서’나 다른 문장 성분이 끼어들 수 없음.
예) 책을 사 읽다.(본용언) → 책을 사서 읽다. / 국수를 먹어 버리다.(보조 용언) → *국수를 먹어서 버리다.
* 용언 - 동사, 형용사
* 필수 기본 개념어
•어간: 용언의 활용에서 형태가 고정된 부분
•어미: 어간 뒤에 결합하여 여러 가지 문법적 의미를 더해 주는 요소
•어말 어미: 단어의 끝에 들어가 는 어미
•선어말 어미: 어말 어미의 앞자리에 들어가는 어미
예) -(으)시-, -았/었-, -겠-
•종결 어미: 문장을 끝맺어 주는 기능을 하는 어미
예) -다, -구나, -십시오
•연결 어미: 앞 문장과 뒤 문장을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는 어미
예) -고, -지만, -(으)면, -(으)니까
•전성 어미: 용언의 어간에 붙어 다른 품사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어미
예) -(으)ㅁ, -기, -(으)ㄴ, -는
* 동사의 종류 - 자동사, 타동사
* 형용사의 종류 - 성상 형용사, 지시 형용사
* 보조 용언의 특징
① 홀로 쓰이지 못함.
② 본용언 뒤에 붙음.
③ 특수한 의미를 더해 줌.
○ 수식언
문장에서 다른 말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단어로서 관형사와 부사가 있음.
품사 |
특성 |
관형사 |
•체언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단어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를 제한하는 성상 관형사,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관형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표시하는 수 관형사가 있음. 예) 성상 관형사: 새, 헌, 옛, 맨, …… 지시 관형사: 이, 그, 저, 요, 고, 조, 이런, 저런, 그런, …… 수 관형사: 한, 두, 세/서/석, 네/너/넉, 댓/다섯, 여러, 모든, …… |
부사 |
•용언이나 문장을 꾸며 주는 구실을 하는 단어 예) 너무, 활짝, 어찌, 매우, 설마, 비록, …… •관형사나 다른 부사를 꾸미기도 하고 드물게 명사를 꾸미기도 함. •어순이 비교적 자유로움. 예) 어서 학교에 가거라. / 학교에 어서 가거라. •특정 문장 성분을 꾸미는 성분 부사와 문장이나 절 전체를 꾸며 주는 문장 부사가 있음. 문장 부사에는 ‘그리고, 그러나’와 같은 접속 부사도 포함됨. 예) 성분 부사: 배가 너무 아파서 화장실로 빨리 뛰어갔다. 문장 부사: 과연 그게 사실일까? 만약 비가 오면 가지 않겠다. |
* 수식언 - 관형사, 부사
* 관형사의 종류 - 성상 관형사, 지시 관형사, 수 관형사
* 부사의 종류 - 성분 부사, 문장 부사
○ 관계언
다른 단어의 뒤에 붙어서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기능을 하는 단어로서 조사가 있음. 문장에서 자립적으로 쓰이지 않고 자립성이 있는 말(주로 체언) 뒤에 붙어서 나타남. 그러므로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는 유일한 품사임. 조사는 쓰임에 따라 격조사와 보조사, 접속 조사로 나뉨.
조사 |
격 조사 |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도록 하는 조사로서 주격 조사, 목적격 조사, 보격 조사, 서술격 조사, 관형격 조사, 부사격 조사, 호격 조사 등이 있음. 예) 이/가, 께서, 을/를, 이다, 의, 에, 에서, (으)로, 아/야 등 ☞ 주격 조사는 주어, 목적격 조사는 목적어, 보격 조사는 보어, 서술격 조사는 서술어, 관형격 조사는 관형어, 부사격 조사는 부사어, 호격 조사는 독립어에 쓰임. |
보조사 |
앞말에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로서 격 조사와 달리 생략되지 않으며, 다양한 문장 성분과 결합할 수 있음. 예) 은/는(대조), 만(단독), 도(포함) 등 | |
접속 조사 |
두 단어나 구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예) 와/과, 하고 등 |
* 관계언 - 조사
* 조사의종류 - 격 조사, 보조사, 접속 조사
○ 독립언
다른 문장 성분과 문법적인 관계를 맺지 않고 독립성을 가지는 단어로서 감탄사가 이에 속 함. 독립언은 다른 말과 떨어져 혼자서 쓰일 수 있음.
감탄사 |
•놀람, 느낌, 부름, 대답 등을 나타내는 말로서 다른 말과 떨어져 혼자서 쓰일 수 있음. 예) 앗, 와, 얼씨구, 오호, 야, 네, …… •문장의 다른 요소들과 특별한 관계를 맺지 않는 독립적인 요소임을 나타내기 위해 감탄사 뒤에는 흔히 반점( , )이나 느낌표( ! )를 찍음. ☞ 놀람, 느낌, 부름, 대답을 나타내는 단어라고 모두 감탄사인 것은 아님. 예) 엄마, 이것 좀 보세요.(‘엄마’는 명사) |
* 독립언 - 감탄사
☞ 품사의 분류
① 서술격 조사 ‘이다’는 동사, 형용사와 같은 가변어이다.
② ‘형’, ‘누나’와 같은 단어는 부름말로 쓰이므로 감탄사이다.
③ 문장과 문장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접속 부사는 문장 부사이다.
④ 명사, 대명사, 수사는 문법적으로 공통성이 있어 체언으로 묶인다.
⑤ 수식언은 꾸며 주는 대상이 무엇인지에 따라 관형사와 부사로 나뉜다.
02 <보기>의 단어들이 속한 품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③ ㉢: 사물이나 사람, 장소 등의 이름을 직접 나타낸다.
⑤ ㉤: 다른 문장 성분과 문법적인 관계를 맺지 않는다.
04 <보기>에서 ㉠~㉢의 품사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01 밑줄 친 말 중 <보기>의 ㉠, ㉡의 특성을 모두 지닌 것은?
⑤ 우리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02 <보기>의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국어의 용언이 불규칙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 |
|
03 <보기 1>을 바탕으로 국어사전의 일부인 <보기 2>를 완성한다고 할 때, 빈칸에 들어갈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Ⅰ]「㉠」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 ¶ 오늘의 날씨/오늘이 첫 출근 날입니다./오늘부터 열심히 공부할 것이다.
[Ⅰ]「부사」(주로격 조사 ‘과’나 여럿임을 뜻하는 말 뒤에 쓰여)「1」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 이 함께. ¶ ㉢ .
[Ⅱ]「조사」( ㉣ 뒤에 붙어)「1」‘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 ㉤ .
① 제시된 뜻풀이와 용례로 보아 ㉠에 들어갈 품사는 ‘명사’이다.
② 제시된 뜻풀이와 품사로 보아 용례 ㉡에서 ‘오늘’ 뒤에는 조사 ‘에’가 있어야 한다.
③ 제시된 뜻풀이로 보아 ㉢에 “나와 같이 공원에 가자.”와 같은 예를 쓸 수 있다.
④ 제시된 품사와 뜻풀이로 보아 ㉣에 들어갈 말은 ‘체언’이다.
⑤ 제시된 품사로 보아 용례 ㉤에서 ‘같이’는 앞의 말에 붙여 써야 한다.
04 <보기>에서 밑줄 부분이 특정한 문장 성분을 꾸며 주는 부사인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① ㉠, ㉡ ② ㉠, ㉢ ③ ㉠, ㉡, ㉣ ④ ㉡, ㉢, ㉣ ⑤ ㉢, ㉣
도움자료
[2014 EBS 수능특강 A]
2강 품사
기본 문제 01 ② 02 ⑤ 03 ⑤ 04 ①
01 품사의 개념, 분류 기준 파악 답 ②
이 문제는 개별 품사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부름말이 곧 감탄사가 되는 것은 아님.
감탄사 중에는 부름말로 쓰이는 것이 있으나 모든 부름말이 감탄사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명사 ‘형’, ‘누나’와 같은 단어를 그대 로 부름말로 쓸 수도 있고 명사에 호격 조사 ‘아/야’를 붙여 ‘영숙 아’, ‘순희야’를 부름말로 쓸 수도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이다’는 동사, 형용사와 같이 ‘이다, 이고, 이니까, 입니다, 이 구나’등과 같이 어미 활용을 하므로 가변어이다.
③ 접속 부사는 그 뒤의 문장 전체를 꾸며 주는 문장 부사의 한 종류이다.
④ 체언은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격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명사, 대명사, 수사가 모두 이러한 특성이 있다.
⑤ 관형사와 부사는 둘 다 다른 말을 꾸며 주는 수식언 범주로 묶이지만 수식 대상이 다른 것으로 구분된다.
교육과정연계
문법Ⅰ (1) 국어와 앎 (나) 국어의 구조 ② 단어
㉯ 단어의 품사 분류를 이해하고 품사 지식이 국어사전에 활용되는 양상을 탐구한다.
02 각 품사의 기능 파악 답 ⑤
이 문제는 어떤 단어가 어떤 품사에 속하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고 각 품사의 개념 및 기능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앗, 얼씨구’는 모두 감탄사임.
감탄사는 독립언으로서 모든 감탄사는 문장 안의 다른 말과 문법적 관계를 맺지 않는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새, 옛’은 모두 관형사이다. 관형사는 뒤의 체언을 꾸며 주는 품사이다.
② ‘가다, 흐르다’는 모두 동사이다. 동사는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이다.
③ ‘무엇, 너’는 모두 대명사이다. 대명사는 사물, 사람, 장소 등의 이름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품사이다.
④ ‘빠르다, 급하다’는 모두 형용사이다. 형용사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다.
교육과정연계
문법Ⅰ (1) 국어와 앎 (나) 국어의 구조 ② 단어
㉯ 단어의 품사 분류를 이해하고 품사 지식이 국어사전에 활용되는 양상을 탐구한다.
03 품사의 개념, 분류 기준 파악 답 ⑤
이 문제는 품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문장에서 쓰인 말의 품사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형용사가 쓰이지 않음.
“민희는 꽃잎을 손바닥에 놓고 한참 들여다보았다.”에서 ‘민희’ 는 명사, ‘는’은 조사, ‘꽃잎’은 명사, ‘을’은 조사, ‘손바닥’은 명사, ‘에’는 조사, ‘놓고’는 동사 ‘( 놓다’의 활용형), ‘한참’은 부사,
‘들여다보았다’는 동사 ‘( 들여다보다’의 활용형)이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민희’, ‘꽃잎’, ‘손바닥’이 명사이다.
② ‘놓고’, ‘들여다보았다’가 동사이다.
③ ‘한참’이 부사이다.
④ ‘는’, ‘을’, ‘에’가 조사이다.
교육과정연계
문법Ⅰ (1) 국어와 앎 (나) 국어의 구조 ② 단어
㉯ 단어의 품사 분류를 이해하고 품사 지식이 국어사전에 활용되는 양상을 탐구한다.
04 품사의 개념, 분류 기준 파악 답 ①
이 문제는 품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문장에서 쓰인 말의 품사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작은’은 형용사, ‘두’는 관형사, ‘즐겁게’는 형용사임.
㉠ ‘작은’: 뒤의 명사 ‘새’를 꾸며 주므로 관형사로 잘못 파악하기 쉬우나 형용사 ‘작다’에 관형사형 어미 ‘-은’이 붙어 이루어 진 말이다.
㉡ ‘두’: 수를 표현하는 말이므로 수사로 잘못 파악하기 쉬우나 뒤의 명사를 꾸며 주는 수 관형사이다.
㉢ ‘즐겁게’: 뒤의 서술어 ‘지저귀고 있습니다’를 꾸며 주므로 부 사로 잘못 파악하기 쉬우나 형용사 ‘즐겁다’에 부사형 어미 ‘-게’가 붙어 이루어진 말이다.
교육과정연계
문법Ⅰ (1) 국어와 앎 (나) 국어의 구조 ② 단어
㉯ 단어의 품사 분류를 이해하고 품사 지식이 국어사전에 활용되는 양상을 탐구한다.
심화 문제 01 ④ 2 ④ 03 ② 04 ②
01 품사의 세부 유형 분류, 적용 답 ④
이 문제는 명사의 하위 부류인 의존 명사의 특성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은 의존 명사의 개념 설명이고 ㉡은 일부 의존 명사의 조사 결합 제약을 언급한 것임.
‘따름’은 반드시 앞말의 꾸밈을 받아야 하는 의존 명사이고 뒤에 서술격 조사 ‘이다’만 붙을 수 있는 의존 명사이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책’은 수식어 없이도 쓰일 수 있는 자립 명사이다. 뒤에 올 수 있는 격 조사에도 제약이 없다.
② ‘것’은 수식어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의존 명사이다. 그러나 뒤 에 올 수 있는 격 조사에는 제약이 없는 의존 명사이다.
③ ‘입추’는 뒤에올 수 있는격 조사가 ‘의’로 제약되어 있으나 수 식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립 명사이다.
⑤ ‘미연’은 뒤에올 수 있는격 조사가 ‘에’로 제약되어 있으나 수 식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립 명사이다.
교육과정연계
문법Ⅰ (1) 국어와 앎 (나) 국어의 구조 ② 단어
㉯ 단어의 품사 분류를 이해하고 품사 지식이 국어사전에 활용되는 양상을 탐구한다.
02 각 품사의 특징 파악 답 ④
이 문제는 일부 용언이 불규칙적으로 활용하는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소리를) 지르러 (바다에 갔다)’에서의 ‘-러’가 원래 ‘-러’ 인지 ‘-어’가 바뀌어서 된 ‘-러’인지를 파악해야 함.
주어진 정의에 맞는 예는 ‘(산 정상에) 이르러’와 같은 예이다. ‘이르다’의 어간 ‘이르-’에 ‘-어’가 붙을 때 ‘이르러’로 되어 ‘-어’ 가 ‘-러’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러’불규 칙이라 한다. ‘(소리를) 지르러’에서의 ‘지르러’의 기본형은 ‘지르다’이므로 어간 ‘지르-’에 어미 ‘-어’가 붙은 것이 아님을 파악 해야 한다. ‘지르-’에 ‘-어’가 붙으면 ‘질러’가 되고, ‘(소리를) 지르러’에서의 ‘지르러’는 ‘지르-+-러’로 분석된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돕다’의 어간 ‘돕-’에 ‘-아’가 결합하면 ‘ㅂ’이 ‘오’로 변해 ‘도오아→도와’가 된다. 이를 ‘ㅂ’불규칙이라 한다.
② ‘푸다’의 어간 ‘푸-’에 ‘-어’가 결합하면 ‘우’가 탈락해 ‘퍼’ 가 된다. 이를 ‘우’불규칙이라 한다.
③ ‘흐르다’의 어간 ‘흐르-’에 ‘-어’가 결합하면 ‘르’가 ‘ㄹㄹ’ 로 변해 ‘흘러’가 된다. 이를 ‘르’불규칙이라 한다.
⑤ ‘듣다’의 어간 ‘듣-’에 ‘-어’가 결합하면 ‘ㄷ’이 ‘ㄹ’로 변해 ‘들어’가 된다. 이를 ‘ㄷ’불규칙이라 한다.
교육과정연계
문법Ⅰ (1) 국어와 앎 (나) 국어의 구조 ② 단어
㉯ 단어의 품사 분류를 이해하고 품사 지식이 국어사전에 활용되는 양상을 탐구한다.
03 각 품사의 기능 파악 답 ②
이 문제는 품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국어사전에서 기술한 품사 정보, 뜻풀이 내용, 예문의 적절성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제시된 품사 ‘부사’와 뜻풀이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에’에서 쓰인 부사격 조사 ‘에’ 품사가 부사이기 때문에 부사격 조사가 붙을 수 없다. 격 조사가 붙는 것은 체언의 특성이기 때문이다. 또 뜻풀이에 이미 부사격 조사 ‘에’가 붙어 있으므로 또 부사격 조사 ‘에’가 나오면 비문법적인 말이 된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제시된 뜻풀이와 용례는 체언의 특징을 보여 준다. 곧 ‘오늘’은 체언이고 용례에서 다양한 조사와 결합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오늘’은 특정 시간에 이름을 붙인 것이므로 체언 중 명사이다.
③ 제시된 뜻풀이에 따라 ‘같이’가 적절하게 쓰였다. 또한 ‘같이’ 가 ‘공원에 가자’를 꾸며 주어 부사의 꾸밈 기능도 잘 보여 준다.
④ 조사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체언 뒤에 붙어’여러 가지 문법적, 의미적 기능을 하는 것이다.
⑤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는 유일한 품사이다.
교육과정연계
문법Ⅰ (1) 국어와 앎 (나) 국어의 구조 ② 단어
㉯ 단어의 품사 분류를 이해하고 품사 지식이 국어사전에 활용되는 양상을 탐구한다.
04 품사의 세부 유형 분류, 적용 답 ②
이 문제는 부사의 하위 부류인 성분 부사의 특성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정답이 정답인 이유]
‘길이’는 성분 부사, ‘아마도’는 문장 부사, ‘더욱’은 성분 부사, ‘만약’은 문장 부사임.
‘길이’, ‘더욱’: 뒷말만을 꾸며 주는 성분 부사이다. 여기에서는 각각 ‘빛날’, ‘힘들다’를 꾸며 주고 있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 ‘아마도’: 문장 전체의 내용이 추측한 것임을 보여 주므로 문 장 전체를 꾸며 주는 문장 부사이다. 문장 부사라도 문장 맨 앞이 아닌 다른 자리로 옮길 수 있다.
㉣ ‘만약’: ‘조건/가정’의 뜻을 지닌 종속절 ‘내가 너라면’전체 를 꾸며 주는 문장 부사이다. 이 역시 절 맨 앞이 아닌 중간으로 자 리를 옮길 수 있다.
교육과정연계
문법Ⅰ (1) 국어와 앎 (나) 국어의 구조 ② 단어
㉯ 단어의 품사 분류를 이해하고 품사 지식이 국어사전에 활용되는 양상을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