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 오천 君子里(善慶遺坊 流長百世)1
행서체로 쓴 입구의 글귀로 선경유방.유장백세(善慶遺坊 流長百世)는
선을 행하고 쌓음으로서 집안 경사가 있고, 그 가풍이 영원이 이어진다라는 뜻이다.
이곳은 조선초기 光山金氏 禮安派가 약20대에 걸쳐 600년간 세거하여 온 마을로 세칭
烏川 君子里라고 부른다.입향시조는 聾叟 金孝盧이며 1974년 안동댐건설로 수몰지역의
문화재를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탁청정.후조당(국가지정문화재).탁청정종가.광산김씨
재사및 사당.침략정(도문)등이 있다.

오천유적지(사인보드)2
1사당 2후조당 3재사 4설원당 5종택사랑채 6읍청정 7장판각 8숭원각
9탁청정종가 10탁청정 11낙운정 12지애정 13양정당 14재암정 15침략정

오천유적지(전경)3

오천유적지(전경)4

유물전시관(崇遠閣)5
오천칠군자의 고서.문집류.교지.호적.토지문서.노비문서.분재문서.각종서간문
등이 있으며, 이중 고문서7종 429점.전적13종 61점은 보물로 지정되어 보관된 곳이다.

근시재선생기념비를 보고있는 소요유적답사팀원6

의병대장 근시재선생 순국기념비(義兵大將 近始齋先生 殉國紀念碑)7
전란이 일어났을 때 사민이 합심해서 나라를 구했다.원래 군자리는 오천리(외내)
를 지칭하는 곳이었다.寒岡 鄭逑선생께서 오천1리는 무비군자라고하여 유래된
이름이다.광산김씨는 신라 왕자공 김흥광을 시조로 한다.고려조 형부상서 양간공
金璉을 중시조로 그후 참판공 김효노가 입향해서 두아들을 두었다.雲巖 金緣.濯淸亭
金綏.그 아래로 文純公 後彫堂 金富弼 비롯하여 내외손자 7군자를 배출했다.揖淸亭
金富儀.山南 金富仁.養正堂 金富信.雪月堂 金富倫.내외종간 봉화금씨 日休堂 琴應
來.勉進齋 琴應壎 등이다. 근시재 김해선생은 1555년 읍청정의 아들로 태어나 백부
후조당에게 출계했으며 경서.천문.지리에 통달했다.예안의병의 시초는 생원 금응훈
을 도총.전한림 金垓를 대장.전군수 조목.전현감 금응협.김부윤 등이 활약한 시초로
鄕兵日記에 나오는 경상좌도의 최초의병이다.이 때 일직현에 회맹하여 병호를 안동
열읍향병으로 지칭했으며 선생의 나이38세였다.부장 배용길의 기록을 보면 쥐처럼
숲속에 숨어서 죽을바에는 적과 싸워야함을 강조했다.그후 함창 당교전투에서 대승
하고 1593년 아내의 장례를 치르고 돌아갔으나 진중에 이르러 병을 얻어 39세로 순국
했다.그의 절명시 한수가 전한다.그의 저서로는 鄕兵逸記.行軍須知.西幸日記 등을
남겼고,서애 류성룡선생은 현풍인 곽재우.고령인 김면.합천인 정인홍.예안인 김해를
높이 평가했다.선생은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고 예문관검열을 지냈고 후에 선무일등
공신 자헌대부 이조판서겸 대제학 성균관 제주를 추증받고 현재까지 불천위로 춘추
향사를 하고 있다.4대후에는 조묘제를 지낸다.불천은 위패를 옮기지 않는다.
보통 불천위를 모시는 종손을 봉사손이라고 하고 그렇지 못한 봉사손은 주손이다.
近始齋 金垓先生 절명시
百年存社計(한마음 나라를 위해 살고자) 六月着戎衣(유월에 싸움터로 나섰다)
爲國身先死(나라위해 몸 먼저 죽으니) 思親魂獨歸(어버이 찾아 혼만 돌아가노라)

광산김씨(제사 및 사당)(유27호)(안동 와룡 오천리)8
이 건물은 광산김씨 金孝盧(1454년-1534년)를 모시기 위한 것이다.1536년(중종31년)
손자 김부필이 후손들과 함께 사당을 짓고 제향하였으며 후에 근시재 김해(1555년-
1593년)를 추향하였다.재사는 정면4칸.측면1칸인 ㅡ자형으로 앞마당이 있다.1972년
안동댐수몰로 탁청정과 함께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광산김씨(제사 및 사당)9

광산김씨(재사)10

광산김씨(신문과사당)11

後彫堂(민227호)(안동 와룡 오천리)12
광산김씨 예안파 종택에 딸린 별장이다.조선 선조 때 후조당 金富弼(1516년-1577년)이
건립하였으며,1972년 안동댐 건설로 현위치로 옮겼다.현관은 그의 스승인 퇴계 이황의
친필이다.정면4칸.측면2칸의 ㄱ자형건물로 왼쪽부터 6칸의 대청을 두었다.가구의 구성
수법이 고려말 조선초의 양식으로 매우 예스럽고 화려하다.

후조당(현판은 퇴계 이황의 친필)13

후조당(굴둑과 담장)14

후조당15

후조당16

읍청정17
후조당 김부필의 동생인 김부의가 지은 건물로 장남인 김부필은 자식이 없었다.
읍청정 김부의가 자신의 아들을 양자로 입적시키고 바로옆에 살았다고 한다.

挹淸亭 현판과 藏板閣18

濯淸亭(중민226호)(안동 와룡 오천리)19
탁청정 김유(1491년-1555년) 1541년(중종31년)세운 것으로 종택에 딸린 정자이다.
1974년 안동댐 건설로 이곳으로 옮겼다.정면.측면2칸의 누각건물이다.매우 건실한
부재를 사용하여 당당하면서도 입체구성의 비례가 잘 잡혀진 것이 특징이다.

탁청정 현판(한석봉글씨)20

탁청정의 연못21

탁청정

연못에서 본 풍경22

洛雲亭23
山南公 金富仁이 건축한 정자로 중년에 퇴락한 것을 중건하여 낙운정이라 편액했으며
전면에 계자각 헌람이 있다.산남공 김부인은 증 참판공 김유의 아들이며 퇴계의 문인
으로 두번 향시에 장원하고 무과에 장원하여 선전관.낙안군수.호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무를 겸비한 명신으로 1512년생이다.

雪月堂24
이건물은 설월당 金富倫(1531년-1598년) 학문과 후진양성을 위해 지은 건물이다.
1974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이곳으로 옮겼다.정면4칸.측면1칸반의 겹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계자난간을 달아 누각처럼 느껴지도록 했다.임란시에는 가산을 털어 향병
을 지원하였다.저서로는 설월당집이 남아있다.
탁청 김유는 우리나라 최고 요리서인 허균이지은 도문대작(1611년)보다 100여년
전에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需雲雜方은 우리나라 전통요리법을 기록해 놓은 책이다.
수운은 격조를 지닌 음식문화를 말하며,잡방이란 갖가지 방법을 의미한다.
중국 고전인 역경에 구름 위 하늘나라에서는 먹고 마시게 하며 잔치와 풍류로 군자를
대접한다(雲上于天需君子以飮食宴樂)라고 적혀있다.이책의 소장처는 광산 예안파의
한갈래종가인 설월당이다.이책 수운잡방의 저자는 탁청정이다.즉 탁청정유묵이다.

枕洛亭(유40호)(안동 와룡 오천리)25
이 건물은 예문관 검열을 지낸 김해의 아들 梅園 金光繼가 1672년(현종13년)에
건립하여 의병출신의 선비들을 모아 회의를 열던 정자이다.매원은 광해군의 어
지러운 정치를 피해서 지냈다고 한다.정면4칸.측면2칸으로 중앙에 마루를 중심
으로 온돌방2칸이 배치되어 정자라기보다는 정사에 가까운 평면구조를 보인다.
대청뒤쪽에 운암정사라는 편액이 걸려있다.

침략정26

침략정27

溪巖亭28
양정당 뒤에 최근에 건립된 계암정이 있다.계암정은 설월당 김부륜의
아들인 계암 金坽을 추모하기 위해서 후손들이 건립한 정자이다.
정면3칸.측면2칸의
겹치마 팔작지붕으로 좌측2칸은 마루.우측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있다.

雅湖古庌29

雅湖古庌30

연자방아31

문정공 계암 김령선생 신도비(좌).김남수선생기적비(우)32
雨田 金南洙(1899년-1945년)선생은 외내 군자리 출신으로 일제식민지
체제하의 극한상황을 무릅쓰고 민족해방투쟁을 한 열사이다.
안동 예안파 탁청정 종손 김영도공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협동학교와
중동학교에 적을 둔적도 있었다.경술국치에 예안장터에서 시위를
주도해 선봉을 자처하였다.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2017.11.04)
첫댓글 안동군자마을을은 어느 모임에서 갔는지? 나도 이곳은 두 번이나 갔었는데 한 번은 이곳 고택 에서 1박 고택 체험을 하기도 하였다네. 그 때 본 기억이 새롭게 떠오르네.
선경유방 유장백세라는 글귀가 옛날에는 없었지만 있었다네.선을 행하고 쌓음으로서 집안 경사가 있고, 그 가풍이 영원이 이어진다라는 참 좋은 내용의 말일세...그리고 우전 김남수라는 독립운동가도 새롭게 만났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