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7년(인조 15) 무과합격자 5,506명 중 안씨(安氏) 120명의 본관을 살펴보니
1637년(인조 15) 8월 24일에 행해졌고, 당일로 합격 발표했던 별시(別試)로 치러진『정축 정시 문무과 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을 살펴보면, 문과는 장원 정지화(鄭知和) 등 10명이 급제를 한데 반해, 무과는 장원 최은(崔●) 등 무려 5,506명이 급제하였다.
인조가 직접 참관하여 정시(庭試)로 치러진 무과시험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호종(扈從)했던 무사들을 위로하기 위해 실시한 시험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 전까지 무과합격자는 보통 30~50명이었고 100명 넘게 뽑은 적도 있었지만, 같은 날 치러진 문과 합격자가 10명이라는 점을 굳이 비교하지 않더라도, 5,506명의 동시 합격은 전무후무한 것이었다.
1637년(인조 15)은 청나라가 조선을 두 번째로 침략한 병자호란(1636년 12월 ~ 1637년 1월)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로 국방을 튼튼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대량으로 무과 급제자를 뽑은 것으로 짐작된다.
임진왜란 이전 조선 전기의 무과 합격자들은 대개 양반 계층인데 반해서, 임진왜란 이후 무과 합격자들은 관노비·사노비 등 천민이 아니라면, 즉 양인이라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어서, 합격자 중에 양반도 일부 있었지만 중인 · 향리 · 상민 등 다양한 신분에서 배출되었고, 실제로 비양반 응시자가 다수 합격했다.
이 방목의 성씨와 본관을 보면, 비록 양반이 아닌 양인 출신 합격자들이지만, 이들의 100% 모두 성씨와 본관이 있었다는 것도 흥미로운 일이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알고 싶어하지만, 과거의 다른 자료가 거의 없는 현재로선 1637년의 본관성씨 자료가 귀한 자료임에 틀림이 없어 성씨 중에도 우리 안씨.. 그것도 본관을 비교하며 고찰해 보았다.
1637년 무과 합격자 5,506명 중에 안씨(安氏) 성을 쓰는 사람은 총 120명(2.17%)이다.
안씨 중에서 가장 많은 본관은 역시 순흥(順興)으로 43명(35%), 그 다음은 죽산(竹山)과 충주(忠州)가 12명(10%)이며, 수원(水原)이 11명(9.1%), 경주(慶州), 광주(廣州), 안동(安東)이 각 6명(5%), 서흥(瑞興), 수안(遂安), 순안(順安), 용인(龍仁), 원주(原州)가 각 2명, 금릉(金陵), 금산(金山), 밀양(密陽), 선산(善山), 순천(順天), 안산(安山), 안주(安州), 영동(永同), 이천(利川), 통진(通津), 풍기(豊基), 함안(咸安), 흥주(興州), 흥해(興海)가 각 1명으로 총120명이 합격했다.
1637년 무과 합격자 다수 배출 성씨를 1~5위까지 살펴보면,
김(金) 1252 명 (22.7 %) |
2000년 현재 김씨 인구 21.6 % |
이(李) 793 명 (14.4 %) |
2000년 현재 이씨 인구 14.8 % |
박(朴) 462 명 ( 8.4 %) |
2000년 현재 박씨 인구 8.6 % |
최(崔) 336 명 ( 6.1 %) |
2000년 현재 최씨 인구 4.7 % |
정(鄭) 179 명 ( 3.3 %) |
2000년 현재 정씨 인구 4.4 % |
현재 인구의 성씨 비율과 비교해봐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1637년 무과 합격자 다수 배출 본관별로 살펴보면
김해 김씨 390 명 (7.08 %) |
2000년 현재 김해 김씨 인구 8.96 % |
밀양 박씨 265 명 (4.81 %) |
2000년 현재 밀양 박씨 인구 6.59 % |
경주 김씨 191 명 (3.47 %) |
2000년 현재 경주 김씨 인구 3.76 % |
전주 이씨 168 명 (3.05 %) |
2000년 현재 전주 이씨 인구 5.68 % |
청주 한씨 89 명 (1.61 %) |
2000년 현재 청주 한씨 인구 1.39 % |
현재의 본관별 인구 비율을 비교해봐도 김해김씨, 밀양박씨, 경주김씨까지는 대체로 일치하고 전주이씨와 청주한씨가 현재 인구의 본관 순서와 비교해서 상위에 올라 있는 것은, 조선시대 전주이씨와 청주한씨가 남다른 대접을 받았다는 것을 생각할때 상쇄할만한 정도의 오차로 생각된다.
결국 1637년 무과에 합격한 5,506명의 성씨와 본관을 살펴봤을때, 현재 우리의 성씨, 본관과 비슷한 인구 구성을 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을 정리해보면
1. 현재 안씨는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는데 반해, 1637년 무과급제자 중 안씨는 2.17%를 차지하여 약간 높은편이다.
2. 안씨(安氏) 성을 쓰는 합격자 120명의 본관을 비교 해 보면, 2000년 현재 안씨 중에 순흥(73.5%), 죽산(신죽산포함, 10.0%), 광주(6.8%), 탐진(강진포함, 3.7%) 순으로 되어있는 것과 다르게, 1637년 무과급제자 중 본관은 순흥(35%), 죽산(10%), 충주(10%), 수원(9.1%), 경주(5%), 광주(5%), 안동(5%)의 순서를 보이고 있어 특이할 만 하다.
전체 안씨 중에서 순흥안씨가 차지하는 비율이 1637년 35%에서 2000년 73.5%로 급격하게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죽산안씨와 광주안씨는 과거와 현재가 비슷한 인구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1637년 비교적 높은 인구 비율을 보였던 충주안씨, 수원안씨, 경주안씨, 안동안씨들은 오늘날 현저하게 적어졌으며, 탐진안씨는 안씨 중 본관 별 비율로 봤을때 2000년 3.7%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637년 무과급제자가 없었다.
1637년(인조 15) 8월 24일『정축 정시 문무과 방목(丁丑庭試文武科榜目)』중 안씨(安) 120명 자료
번호 |
성명 |
생졸년 |
본관 |
갑을병 |
순위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안개봉(安開奉)
안갯지(安㖋知)
안경기(安京己)
안경남(安京男)
안경남(安京男)
안경득(安京得)
안경득(安敬得)
안경례(安景禮)
안경인(安敬仁)
안계남(安戒男)
안계남(安繼男)
안계룡(安繼龍)
안계립(安繼立)
안계립(安繼立)
안계부(安戒富)
안계생(安繼生)
안계운(安繼雲)
안계원(安戒元)
안계홍(安繼弘)
안계회(安戒回)
안계회(安繼晦)
안광룡(安光龍)
안광수(安光秀)
안귀남(安貴男)
안귀생(安貴生)
안귀세(安貴世)
안금일(安今日)
안기(安己)
안기홍(安起弘)
안길남(安吉男)
안끝남(安唜男)
안끝년(安唜年)
안끝룡(安唜龍)
안남(安男)
안남(安男)
안녹(安祿)
안늣봄(安唜春)
안대인(安大仁)
안대진(安大進)
안대훈(安大訓)
안덕만(安德萬)
안돌무치(安乭無赤)
안동량(安東良)
안득길(安得吉)
안득생(安得生)
안막난(安莫難)
안막신(安莫信)
안명남(安命男)
안명복(安命福)
안명승(安命承)
안명신(安明信)
안몽길(安夢吉)
안몽표(安夢彪)
안무생(安武生)
안무생(安武生)
안무인(安武仁)
안바위쇠(安破回金)
안생(安生)
안성남(安成男)
안성립(安成立)
안수남(安水男)
안순(安順)
안순길(安順吉)
안순홍(安順弘)
안승길(安承吉)
안승남(安承男)
안승남(安承男)
안승복(安承福)
안승운(安承雲)
안승일(安昇逸)
안승중(安承重)
안애성(安愛成)
안예운(安禮雲)
안오륜(安五倫)
안용(安龍)
안용학(安龍鶴)
안운학(安雲鶴)
안원(安元)
안유관(安有寬)
안응남(安應男)
안응룡(安應龍)
안응립(安應立)
안응립(安應立)
안응민(安應敏)
안응선(安應先)
안응성(安應星)
안응신(安應信)
안응운(安應雲)
안응의(安應義)
안응창(安應昌)
안응천(安應天)
안응후(安應厚)
안의남(安儀男)
안의업(安義業)
안인건(安仁健)
안인국(安仁國)
안인립(安仁立)
안인삼(安仁參)
안인적(安仁迪)
안일남(安一男)
안입(安立)
안입신(安立身)
안자근쇠(安者斤金)
안정남(安正男)
안중남(安仲男)
안중원(安仲元)
안중원(安仲元)
안중흥(安仲興)
안천길(安天吉)
안춘길(安春吉)
안춘학(安春鶴)
안충남(安忠男)
안충립(安忠立)
안충선(安忠善)
안큰복(安大卜)
안태수(安太守)
안필면(安必勉)
안홍남(安弘男)
안효격(安孝格)
안희남(安希男) |
1584 ~ ?
1573 ~ ?
1596 ~ ?
1600 ~ ?
1602 ~ ?
1598 ~ ?
1606 ~ ?
1608 ~ ?
1603 ~ ?
1598 ~ ?
1603 ~ ?
1613 ~ ?
1601 ~ ?
1614 ~ ?
1601 ~ ?
1601 ~ ?
1611 ~ ?
1603 ~ ?
1611 ~ ?
1593 ~ ?
1599 ~ ?
1618 ~ ?
1566 ~ ?
1617 ~ ?
1610 ~ ?
1608 ~ ?
1608 ~ ?
1596 ~ ?
1609 ~ ?
1591 ~ ?
1600 ~ ?
1604 ~ ?
1608 ~ ?
1573 ~ ?
1603 ~ ?
1594 ~ ?
1603 ~ ?
1579 ~ ?
1608 ~ ?
1598 ~ ?
1600 ~ ?
1603 ~ ?
1593 ~ ?
1609 ~ ?
1611 ~ ?
1601 ~ ?
1601 ~ ?
1610 ~ ?
1598 ~ ?
1615 ~ ?
1608 ~ ?
1593 ~ ?
1606 ~ ?
1590 ~ ?
1598 ~ ?
1600 ~ ?
1609 ~ ?
1608 ~ ?
1596 ~ ?
1603 ~ ?
1605 ~ ?
1607 ~ ?
1598 ~ ?
1587 ~ ?
1590 ~ ?
1598 ~ ?
1611 ~ ?
1594 ~ ?
1598 ~ ?
1601 ~ ?
1596 ~ ?
1602 ~ ?
1615 ~ ?
1600 ~ ?
1609 ~ ?
1598 ~ ?
1608 ~ ?
1601 ~ ?
1602 ~ ?
1601 ~ ?
1581 ~ ?
1598 ~ ?
1605 ~ ?
1596 ~ ?
1604 ~ ?
1600 ~ ?
1611 ~ ?
1609 ~ ?
1600 ~ ?
1598 ~ ?
1608 ~ ?
1573 ~ ?
1606 ~ ?
1616 ~ ?
1603 ~ ?
1598 ~ ?
1589 ~ ?
1598 ~ ?
1580 ~ ?
1592 ~ ?
1593 ~ ?
1583 ~ ?
1586 ~ ?
1613 ~ ?
1593 ~ ?
1598 ~ ?
1608 ~ ?
1606 ~ ?
1608 ~ ?
1607 ~ ?
1603 ~ ?
1588 ~ ?
1598 ~ ?
1608 ~ ?
1614 ~ ?
1602 ~ ?
1604 ~ ?
1598 ~ ?
1611 ~ ?
1594 ~ ? |
금산(金山)
풍기(豊基)
수원(水原)
경주(慶州)
순흥(順興)
광주(廣州)
순흥(順興)
안동(安東)
수원(水原)
순흥(順興)
서흥(瑞興)
죽산(竹山)
서흥(瑞興)
충주(忠州)
순흥(順興)
광주(廣州)
순흥(順興)
안주(安州)
충주(忠州)
죽산(竹山)
순흥(順興)
용인(龍仁)
광주(廣州)
순흥(順興)
순흥(順興)
경주(慶州)
선산(善山)
순흥(順興)
충주(忠州)
광주(廣州)
순흥(順興)
순안(順安)
수원(水原)
순흥(順興)
수원(水原)
안동(安東)
순흥(順興)
충주(忠州)
순흥(順興)
충주(忠州)
안동(安東)
수원(水原)
순흥(順興)
충주(忠州)
수원(水原)
순흥(順興)
수원(水原)
금릉(金陵)
순흥(順興)
함안(咸安)
순흥(順興)
순흥(順興)
죽산(竹山)
경주(慶州)
순흥(順興)
경주(慶州)
순천(順天)
순흥(順興)
광주(廣州)
순흥(順興)
용인(龍仁)
수원(水原)
죽산(竹山)
죽산(竹山)
순흥(順興)
광주(廣州)
안동(安東)
충주(忠州)
충주(忠州)
순흥(順興)
경주(慶州)
순흥(順興)
밀양(密陽)
순흥(順興)
죽산(竹山)
순흥(順興)
수원(水原)
안동(安東)
원주(原州)
순흥(順興)
죽산(竹山)
순흥(順興)
영동(永同)
안산(安山)
원주(原州)
죽산(竹山)
순안(順安)
순흥(順興)
순흥(順興)
안동(安東)
흥해(興海)
통진(通津)
수안(遂安)
충주(忠州)
순흥(順興)
순흥(順興)
죽산(竹山)
죽산(竹山)
순흥(順興)
죽산(竹山)
순흥(順興)
순흥(順興)
죽산(竹山)
수원(水原)
충주(忠州)
수안(遂安)
충주(忠州)
순흥(順興)
순흥(順興)
순흥(順興)
수원(水原)
흥주(興州)
순흥(順興)
순흥(順興)
충주(忠州)
순흥(順興)
이천(利川)
순흥(順興)
순흥(順興)
경주(慶州) |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을과(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을과(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을과(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병과(丙科) |
4258위
5009위
3184위
3098위
2055위
4169위
2332위
3860위
1632위
1618위
84위
3635위
4620위
2829위
4349위
3653위
2175위
799위
4950위
1464위
5361위
4760위
4355위
4461위
4592위
881위
1998위
2205위
2914위
4841위
40위
4105위
3978위
2707위
1539위
873위
11위
4847위
1017위
3355위
3524위
285위
1028위
688위
3241위
2480위
3337위
5240위
535위
1276위
5303위
3986위
194위
556위
942위
1402위
2311위
2383위
2124위
4073위
927위
3096위
249위
1887위
432위
2125위
497위
1312위
1666위
1153위
4226위
717위
2953위
1111위
4624위
3675위
1405위
2851위
4124위
2779위
2270위
5251위
676위
4505위
3947위
2782위
3175위
131위
1528위
2위
3014위
699위
2671위
4564위
1051위
4832위
3726위
1957위
3345위
1432위
975위
5266위
2666위
1910위
176위
50위
434위
679위
2951위
3417위
3125위
4821위
3938위
193위
3080위
4672위
4655위
2204위
2864위
1921위 |
첫댓글 처음 본 본관도 많습니다. 우리 신 죽산은 거의 없는거 같고요?
우리 신죽산안씨 문중에서 3분이 확인되었습니다.
전라도 장흥을 주소지로 적고있는
제학공파/장흥좌랑공종중/고흥파 죽산안씨 10세 안자근쇠(安者斤金1586~?), 죽산안씨 11세 안계룡(安繼龍,1613~?)과 장흥좌랑공종중/운곡공파 죽산안씨 12세 안순홍(安順弘,1587~?)이 그 분들입니다.
다른 분들은 아직 확인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