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장 솔로몬의 여러 가지 잠언(계속).
3절. 슬기로운 자는 재앙을 보면 숨어 피하여도 어리석은 자는 나가다가 해를 받느니라
“슬기로운 자”는 히브리어로“아룸”인데, 나쁜 의미에서“교활하다, 간사하다"를 뜻하는“아람”의 수동태 분사형으로“간교한, 간사한, 교활한”을 말하며,
좋은 의미로는“계교, 분별력이 있는 것”을 뜻한다.
“재앙”은 히브리어로“라”인데“학대하다, 징벌하다, 악행하다”를 뜻하는“라아”에서 유래한 것으로“나쁜, 사악한, 해로운, 유해한, 불의한 것”을 뜻한다.
“보면”은 히브리어로“라아”인데“보다”를 뜻한다,
즉 눈의 활동으로“나타나다, 조사하다, 경험하다, 바라보다, 주의깊게 보다, 조심스럽게 관찰하다”란 의미이다.
“숨어 피하여도”는 히브리어로“싸타르”인데“숨다, 숨겨지다(비밀), 가리우다, 감추다, 피하다, 떠나다”영어로는“secret”을 뜻한다.
즉 본문은 슬기로운 자는 미래에 있을 위험이나 함정 혹은 유혹 따위를 미리 내다보는 분별력이 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므로 슬기로운 자는 매사에 신중이 생각하고 살피며 분별한다,
이것은 슬기로운 자가 여러 가지 경험과 연단을 통하여 훈련 받은 결과적 산물이다.
사실 본서의 주요 목적 가운데 하나도 이런 슬기로운 자에게 이처럼 지식과 분별력을 주기 위한 것이다(1:4)
“어리석은 자는 나가다가 해를 받느니라”
“어리석은 자”는 히브리어로“페티”인데“어린아이처럼 단순하다, 유혹당하다, 설득당하다, 속임수에 빠지다, 미혹되다”를 뜻하는“파타”에서 유래한 것으로“어리석은, 미련한, 바보, 쉽게 설득되거나 유혹에 잘 넘어가는 사람, 단순한 사람들”을 뜻한다.(단수가 아니라 복수이다)
“나아가다”는 히브리어로“아바르”인데, “건너가다, 지나가다”를 뜻한다.
“해를 받느니라”는 히브리어로“아나쉬”인데“벌금을 물다, 벌금을 부과받다, 벌을 받다”를 뜻한다.
즉 “어리석은 자들은 슬기로운 자와는 달리 앞을 예견하지 못하고 분별력이 없는 자들로 어느 시대에나 많음을 시사한다. 이들은 실수를 범하며 해를 만나고 위험을 자초하여 생명을 잃기까지 한다는 것이다(잠27:12)
'슬기로운'(현명하게, 민첩하게) φρονίμως [프로니모스]~~~~~~~~~~~~~~~~~~~~
< 지혜 있게(눅16:8).지혜로운(마7:24, 고전4:10, 고후11:19), 지혜 있는(마24:45, 롬11:25, 고전10:15), 슬기 있는(마25:2,4,9).생각, 이해, 고전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