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한류열풍 사랑
 
 
 
카페 게시글
ㆍ외국에서 본 한국/국제 한국의 국민소득이 저평가된이유와 삼성의 운명
발키리 추천 0 조회 3,571 04.10.08 18:09 댓글 6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4.10.09 00:16

    드무님 정경유착은 사라졋습니다 지금까지는 회계의 투명성은 기업의투명성에 다름 아닙니다 기업이투명하면은 당연히회계가 투명하다는거지요 지정학적 불안정은 얘기하지만 그게주는아닙니다 이게 한국의기업가치를깍는도구로사용합니다 외평채나 기업의채권 발행할때 도구로사용합니다

  • 04.10.09 00:20

    문제는 노동의경직성이문제가아닐까하는데 이것은 서로에게문제이지 어는한쪽의 잘못으로 귀착되면 해결난망입니다 같이해결해야죠

  • 04.10.09 01:24

    그래도 외국인이 주식을 많이 가지면 sk같은 사태가 일어나죠 삼성도 그렇게 되지 말라는 보장이 없으니 시가수십조에 이르는 삼성을 불과 몇천억으로 좌지우지할수 있다는게 현실이니 기업은 그들을 의식하지 않을수 없고 수익의 상당부분을 이들 외국투자자들한테 줘야 합니다. 그럼 투자가 지연될거고기업경쟁력이떨어지

  • 04.10.09 03:21

    삼성은 직원들한테 자사주식을 사라고 종용하더니...음..

  • 04.10.09 06:31

    그리고 군사지기님, 좌/우 이념은 다분히 상대적인 겁니다. 님께서 그러한 뜻으로 현정부를 좌파정부라고 하신다면, 어느정도 이해가 될것도 같습니다만, 그게 아니라면, 참 난감합니다. 현정부의 정책들이 서유럽의 사민주의의 근처에라도 가는 것 같으면 모르겠습니다만, 대체 저런 정부에 무슨 수로 좌파꼬리표를 붙이시

  • 04.10.09 06:36

    려고 하시는지요? 님 말씀대로, r&d 투자는 쥐뿔도 안하고, 복지예산만 60%!! 씩 올려버린다면, 뭐 그럴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그런 일은 서유럽기준으로 '중도좌파'급정도에 불과한 민노당이 정권잡고 과반수를 잡아도 하지 않을텐데요? 더구나 기업들의 해외 수출을 위해, 현정부가 투입하고 있는 천문학적인 액수의 자

  • 04.10.09 06:44

    금이 환율을 방어하는데 쓰이는데, 한편으로는 원래 낮았던 복지예산 비율을 14.4%올린 걸 가지고 좌파정부라고 하시면, 참 난감합니다.그러시면서 국방비나 r&d투자 예산 10%증액건에 대해서는 물가상승등을 적극적으로 이야기하시겠지요? 4.5%정도의 차이가 그렇게 큰가 보군요. 저런 정부를 좌파정부로 몰만큼요. ㅡ.ㅡ

  • 04.10.09 06:49

    사람은 자기 중심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죠. 물론 저도 예외가 아니겠습니다만, 뭐 그래서인지, 이런 이념논쟁들도, 자신을 기준으로 모든 걸 생각하지요. 자신의 왼쪽에 있으면 좌파 오른쪽에 있으면 우파... 이 짓거리 계속해봐야 결판 안납니다. 각자 서있는 위치가 다른 걸요. 경제 토론이랍시고 정치인들 나오면

  • 04.10.09 06:54

    이념 논쟁하다가 끝나는 것도 그런 이유아니겠습니까? 이런 이념 논쟁이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 봅니다만, 참 우리나라는 이념의 과잉입니다. 정작 알멩이는 없는 말이죠. 좌파=친북이라는 생각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거죠. 쩝 여기저기서 자주 말하고 다닙니다만, 북한은 좌파가 아닙니다. 뇌충이가 락커라고 우기고 다닌다

  • 04.10.09 06:59

    고 그게 락커가 됩니까? 다른 락커들과 조금이라도 연관성이 있습니까? 지상 최악의 파쇼국을 좌파로 상정하고, 국내의 평등 복지를 주장하는 자들을 억눌러온 행태를 계속하려 하는 한, 이런 이야기는 끝이 날수가 없어요. 님께서는 그러지 않으리라고 믿고 싶습니다만, 다분히 좌파라는 단어를 부정적인 의미로 쓰시고

  • 04.10.09 07:00

    계시는 것만큼은 확실해 보이네요. 이젠 잘 안 먹힐텐데 말이죠.

  • 04.10.09 07:08

    발키리님 글 잘 읽었습니다. 하지만 군사지기님이나 다른 분들의 지적대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요인에 대한 언급은 저도 좀 이해하기 힘들었습니다. 당장, 남북관계가 긴장될때마다 주가가 그 영향을 받았던 예를 생각해보면 역시 기업의 지배구조만을 그 요인으로 한정할수는 없을 것같습니다만..

  • 04.10.09 07:13

    이후 이어진 발키리님의 댓글을 보고, 님의 의도를 어느정도 알 수 있었고, 다른분들의 말씀이 있었으니 더는 이야기를 꺼낼 필요가 없을 것 같군요. 하지만, '정치적'이라는것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저로서는 조금 안타까웠다고 할까요. 뭐 우리나라 사람들의 보편적인 정서에 가깝겠습니다만 말입니다.

  • 04.10.09 07:15

    앞으로도 좋은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__)

  • 04.10.10 13:30

    이룬...머리가 아파서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