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체 화장품 수입은 하락세…한국 화장품 수입은 증가세 -
- 한국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수입 증가세와 동시 한국 두발용 제품 수입도 급증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화장품
-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은 우리 기업의 수출이 유망한 상품 중 하나로 화장품을 선정함. 화장품 중 특히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관련 시장 동향을 분석함.
HS Code | 한글 설명 | 영문 설명 |
3304 | 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의약품을 제외하며, 썬스크린과 선탠 제품류를 포함한다) 및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류 | Beauty or make-up preparations and preparations for the care of the skin(other than medicaments), including sunscreen or sun tan preparations, 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자료원: 한국 관세청 및 한국 HS Code 조회 사이트
□ 선정 사유
ㅇ 몽골 관세청 통계에 의하면, 세계 화장품 시장을 점유하는 폴란드와 프랑스가 몽골 화장품 시장을 압도하며, 다음으로 한국 화장품이 3위를 차지하고 있음.
- 대한 수입 점유율은 지속 성장세를 보임(2015년 11.6%, 2016년 14.9%).
ㅇ 2016년 기준으로 HS Code 3304에 해당하는 화장품 몽골 전체 수입이 2.7% 감소했으나 대한 수입은 46.7% 증가함.
- 여기에 립제품과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증가율이 큰 영향을 미침.
□ 몽골 화장품 시장동향
ㅇ 화장품 시장 개요
- 몽골은 인구 310만 명에 불과한 작은 시장이지만, 국내 생산기반이 취약해 화장품의 80% 이상을 수입하며 소득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 중
- 2014년부터 경기침체 여파로 몽골 전체 수입이 감소됐으며 2017년부터 회복세로 화장품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2016년 몽골 화장품 수입 규모는 2800만 달러로 추산되며 화장품 전체 규모의 약 85%를 점유함. 국내 제조업체들은 약 15%를 점유한다는 비공식적인 통계가 있음.
□ 몽골 화장품 수입동향
ㅇ 수입 화장품 규모
- 2014년부터 몽골 화장품 수입은 하락세였으나 2017년부터 회복될 전망
- 2016년 몽골 화장품 수입 규모는 2800만 달러(HS Code 3303, 3304, 3305, 3307 기준)이며 전년대비 5.1% 감소
- 총 화장품 수입 중 메이크업 및 기초 화장품이 46%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두발용 제품, 향수 등 순임.
- 관세청 통계에 의하면, 한국 두발용 제품(HS Code 3305) 수입이 지속 증가세로 나타나고 있음.
몽골 화장품 수입 규모
(단위: 천 달러, %)
HS Code | 몽골 화장품 수입 규모(대한 수입 점유율) | |||
2014 | 2015 | 2016 | 2017~2018 | |
3303 | 4,126.6(0.1) | 2,931.0(0.16) | 2,919.1(0.08) | 2,060(0.2) |
3304 | 18,392.6(8.4) | 13,651.3(9.8) | 13,284(14.8) | 11,511.7(13.9) |
3305 | 13,342.3(20) | 10,939.4(15.2) | 9,953.7(17.2) | 8,288.7(15.7) |
3307 | 3,449.2(12) | 2,906.2(18) | 2,704.2(22.5) | 2,1699(21.5) |
합계 | 39,310.8(11.8) | 30,427.9(11.6) | 28,861(14.9) | 24,029.4(14) |
자료원: 몽골 관세청
ㅇ 주요 수입국 동향
- 몽골은 화장품을 약 50개국에서 수입하며 몽골 화장품 최대 수입 대상국은 폴란드임.
- 폴란드는 약 19%의 점유율을 차지하나 2014년부터 지속 하락세 유지
- 폴란드 다음으로 프랑스(18%), 한국(14.8%), 일본(11.2%), 독일(6.7%) 순이며 일본에서의 수입이 2016년부터 급증하기 시작
- 최대 수입국은 폴란드와 프랑스, 이탈리아 등 고가제품 수출국에서의 수입액은 감소하는 반면에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국가에서의 수입이 증가 추세
몽골 상위 10개 화장품 수입국 현황(HS Code3304기준)
(단위: 달러, %)
순위 | 국가명 | 수입액 | 증감률 '16/'15 | 2016년 비중 | |||
2014 | 2015 | 2016 | 2017~2018 | ||||
1 | 폴란드 | 6,674,543 | 3,432,257 | 2,573,268 | 1,555,250 | -25 | 19.4 |
2 | 프랑스 | 3,588,983 | 2,765,171 | 2,394,630 | 1,592,450 | -13.4 | 18 |
3 | 한국 | 1,551,346 | 1,338,536 | 1,964,363 | 1,598,356 | 46.7 | 14.8 |
4 | 일본 | 896,447 | 812,186 | 1,490,489 | 1,802,095 | 83.6 | 11.2 |
5 | 독일 | 1,068,099 | 810,421 | 889,078 | 617,338 | 9.7 | 6.7 |
6 | 러시아 | 749,740 | 629,700 | 788,635 | 1,016,843 | 25.2 | 5.9 |
7 | 이탈리아 | 1,255,445 | 976,309 | 545,645 | 425,751 | -44.1 | 4.1 |
8 | 말레이시아 | 301,025 | 227,829 | 311,956 | 215,730 | 36.9 | 2.4 |
9 | 중국 | 117,409 | 256,915 | 218,532 | 132,919 | -15 | 1.6 |
10 | 인도 | 246,091 | 255,569 | 187,398 | 188,626 | -26.7 | 1.4 |
11 | 기타 | 1,943,479 | 2,146,452 | 1,919,981 | 2,366,308 | -10.5 | 14.5 |
합계 | 18,392,607 | 13,651,345 | 13,283,975 | 11,511,665 | -2.7 | 100 |
자료원: 몽골 관세청/www.customs.gov.mn/
ㅇ 대한수입 규모 및 동향
- 2016년 한국 화장품 수입액은 196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용 제품류가 약 77%를 차지함.
-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수입이 전년대비 45.6% 증가한 150만 달러로 약 76.8% 비중을 차지함.
- 그 뒤로 파우더(20만 달러, 10.4%), 눈화장용 제품(11만 달러, 6%), 입술화장용 제품(10만 달러, 5.3%), 매니큐어 및 패디큐어 제품(3만 달러, 1.5%) 순임.
몽골 대한 화장품 수입 현황
(단위: 달러, %)
제품류(HS Code) | 2014 | 2015 | 2016 | 2017~2018 | 증감률 ('16/'15) | 2016년 비중 |
입술화장용 제품류(3304.10) | 56,942 | 38,207 | 103.803 | 42,093 | 171.7 | 5.3 |
눈화장용 제품류(3304.20) | 103,804 | 87,722 | 118,328 | 97,584 | 34.9 | 6 |
매니큐어·패디큐어용 제품류(3304.30) | 76,654 | 35,567 | 28,863 | 17,130 | -18.8 | 1.5 |
파우더, 분말상의제품류(3304.91) | 272,104 | 140,963 | 204,436 | 158,064 | 45 | 10.4 |
메이크업·기초화장용제품류(3304.99) | 1,041,842 | 1,036,077 | 1,508,932 | 1,283,288 | 45.6 | 76.8 |
합계 | 1,551,346 | 1,338,536 | 1,964,363 | 1,598,356 | 46.7 | 100 |
자료원: 몽골 관세청
□ 몽골 화장품 인증 및 통관절차
ㅇ 관련 인증
- 현재 화장품 수입에 대한 특별한 규제는 존재하지 않고, 세관에 수출품 신고와 샘플 검사 결과를 기타 필요서류와 제출하면 됨.
- 수출하기 전에 샘플 검사를 미리 해야 하며 현지 신임연구원에서 실시해야 함.
- 화장품 샘플 검사를 6개월에 한 번 해야 하며, 6개월 이내 동일한 제품을 수시로 수출 가능함.
검사 종류별 샘플 검사 시 필요한 용량
제품명 | 세균학적 검사 | parazitology | 화학성 | 방사선 | 보관용 | 합계 |
립제품 | 10ml | 10ml | 10ml | - | 10ml | 40ml |
파우더, 섀도 | 15ml | 15ml | 20ml | - | 15ml | 65ml |
크림 | 50ml | 50ml | 100ml | 250ml | 50ml | 500ml |
토닉 및 알코올 함유 제품 | 50ml | 50ml | 100ml | - | 50ml | 250ml |
향수, 데오도란트 | 30ml | 30ml | 100ml | - | 30ml | 190ml |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 10m; | 10ml | 15ml | - | 10ml | 45ml |
아이브로우 펜슬, 립 라이너 | 1개 | 2개 | 4개 | - | 1개 | 8개 |
염색약 | 1개/60ml | 1개/60ml | 1개/60ml | - | 1개/60ml | 4개/240ml |
매니큐어 제품 | - | 1개 | 2개 | - | 1개 | 4개 |
아세톤 | - | 30ml | 60ml | - | 30ml | 120ml |
자료원: 몽골 전문감독청(www.inspection.gov.mn)
ㅇ 화장품 통관 절차
- 화장품의 경우 인증과 등록이 필요없으며 세관에 신고해야 함. 세관 통관절차는 다음과 같음.
① 통관신고
② 통관 서류 검토
③ 물품 및 운송 수단 확인
④ 관세 및 기타 세금을 책정한 후 납부 확인
⑤ 신고자에게 허가 발급 또는 수출항 허가 발급
- (참고) '신고'는 국가 관세구역을 통과하는 물품과 차량에 관한 정보를 통관신고서 양식에 따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를 첨부한 후 관세청에 제출하는 것을 의미
- 또한 화장품은 샘플 검사 결과서를 다른 필요 서류와 함께 세관에 제출해야 통관 가능
ㅇ 화장품 관세율
- 수입하는 화장품에 대한 관세율은 5%, 부가세는 10%이며 통상적으로 관세 및 부가세를 수입자가 지불함.
□ 경쟁동향
ㅇ 몽골 화장품 시장 주요 브랜드
- 몽골 화장품 시장을 1순위로 점유하고 있는 브랜드는 ORIFLAME로 2016년 기준 약18% 점유율을 보임.
- 현재 몽골 화장품 시장에는 유명 브랜드들이 다 진출됐으며, 몽골 유명 아티스트의 '몽골 화장품 시장은 이미 세계 수준에 달했다'라는 말이 현실적임.
2016년 몽골 화장품 시장 주요 브랜드 점유율
№ | 브랜드명 | 국가명 | 현지 수입업체명 | 시장점유율(%) |
1 | Oriflame | 스웨덴 | Oriflame Mongol | 18.4 |
2 | Biomon, Mandukhai, Ichcream, Goo 등 국내 제조 화장품 | 몽골 | - | 15 |
3 | Yves Rocher | 프랑스 | Naran beauty world | 4.7 |
4 | L’Oréal | 프랑스 | Nomin Trading, Nano International, Naran beauty world | 4.3 |
5 | Shiseido | 일본 | Bishrelt International | 1.9 |
6 | Clarins | 프랑스 | Tushig Prestige | 1.8 |
7 | Tony Moly | 한국 | Amar stars | 1.8 |
8 | Chanel | 프랑스 | Tushig Prestige, Ulaanbaatar Department Store | 1.18 |
9 | Estee Lauder | 미국 | Tushig Prestige | 1.1 |
10 | The Face Shop | 한국 | Amoon, Eco holiday | 1.1 |
11 | L’Occitane | 프랑스 | Tavanbogd Trade | 0.6 |
12 | Dior | 프랑스 | Perfumelux | 0.4 |
13 | Ohui, Whoo | 한국 | Eco Cosmetics | 0.3 |
14 | Coty | 미국 | Bishrelt International | 0.2 |
15 | Lancôme | 프랑스 | Tushig Prestige | 0.18 |
16 | Missha | 한국 | Uliastain Tenger | 0.15 |
- | Others |
|
| 46.89 |
- | Total |
|
| 100.0 |
자료원: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 자체 조사
ㅇ 몽골 화장품 제조업체
- 몽골에는 몇 년 전만 해도 화장품 제조업체가 3~4개 정도만 존재했으나 최근 들어 급증하는 추세이며, 현지 특수 식물 및 원료를 이용해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이 현지 소비자와 해외 소비자 관심을 끌고 있음.
몽골 내 화장품 제조업체 개요
순위 | 기업명 | 브랜드 | 이미지 |
1 | ㅇ Monos Cosmetic(Монос косметик) - 설립연도: 1990 - 제조품목: 여성 및 남성 기초 화장품, 핸드케어, 풋케어, 샴푸, 린스 등 - 홈페이지: www.monoscosmetics.mn | Biomo (Биомон) | |
2 | ㅇ Mandukhai Khatan(Мандухай Хатан) - 설립연도: 1990 - 제조품목: 기초화장품, 핸드크림, 베이비 크림 등 - 홈페이지: www.mandukhai-khatan.mn | Mandukhai (Мандухай) | |
3 | ㅇ Ich Cream(Ич Крем) - 설립연도: 2003 - 제조품목: 기초 화장품 | Ich Cream (Ич Крем) | |
4 | ㅇ Goo Mongol(Гоо Монгол) - 설립연도: 2014 - 제조품목: 보디로션, 비누, 스크럽 제품, 기초화장품,마스크 등 - 홈페이지: www.goo.mn | Goo (Гоо) |
자료원: 각 업체 홈페이지
□ 시사점
ㅇ 몽골 기후 환경에 적합한 고미백, 고탄력 제품 위주로 마케팅 전개 필요
- 몽골은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극히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며, 고지대의 강한 햇볕으로 인해 피부에 빨리 노화가 옴. 또한 기미나 주근깨가 생기기 쉬운 특성기후임.
- 따라서 여성들이 기능성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특히 미백과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품이 인기가 있음. 우리 국내업체들은 미백과 주름개선 효과 있는 제품으로부터 진출하는 것이 유망적임.
ㅇ 몽골 수입상들은 자국 시장이 협소하다는 이유로 독점권을 요구하는 경향이 보편적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 및 협상 전략이 필요함.
- 한국 화장품 브랜드 Missha(2013), Etude house(2014), The Faceshop(2014), Tony Moly(2014), Its skin(2014), Skinfood(2015), Nature Republic(2017) 등이 이미 진출됨.
- 상기 한국 브랜드들은 매년 매장수를 확대하는 등 성공적으로 사업을 해 한국 화장품 시장점유율이 상승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따라서 몽골 화장품 수입업체 및 소비자 성향은 화장품 프랜차이즈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화장품 프랜차이즈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한국 관세청 및 한국 HS Code 조회 사이트, 몽골 보건개발센터, 몽골 법률 사이트, 몽골 관세청, 몽골 전문감독청,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