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그래프 상에서 MR을 구하는 것과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수업에서 MR을 첫번째 사진의 A-B로 구하면 안되고, 두번째 사진의 MR곡선 아래의 넓이로 구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두번째 사진의 MR곡선 아래의 넓이로 MR을 구하는 논리는 이해를 했습니다만, 왜 첫번째 사진처럼 A-B로 구하면 안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2. 또한 선생님께서 MR의 크기는 첫번째 사진처럼 A-B로 구하면 안된다고 하셨는데, 마인드 교재에서 MR=A-B임을 이용하여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데, 이를 어떻게 이해를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첫댓글 Q의 변화가 매우 큰 경우에는 MR값대로 총수입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MR은 아주 작은 Q의 변화에서 유용한 개념이거든요. 그래서 총수입의 변화를 계산할 때에는 MR곡선의 아래 면적으로 도출합니다.
"그 MR곡선 아래의 면적의 크기는 +A-B와 같습니다."
그러니 반대로 현재 Q에서 MR값 자체를 구할 때에는 +A-B, 또는 MR곡선 아래의 면적으로 계산할 수 없습니다. MR값은 MC와 비교하기 위한 개념이지 +A-B와 같이 '정말로 변화한 총수입'을 의미하지는 않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