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7월 7일
박원순 前 서울 시장이 정비한 「마을 센터」 인건비 267억원, 시민단체 일자리 만들기.
박원순 前서울 시장은 「시민이 참가하는 지역 생태계를 만든다」 면서 서울시에 「마을 센터」
설치를 추진했다. 행정과 민간의 가교 역할을 한다는 취지였다.
2012년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설치에 이어 지난해까지 자치구 24개소에
「마을자치센터」 가 개설됐다.
마을종합센터와 자치구센터는 마을 공동체 공모사업, 마을 박람회와 이벤트 개최 등에 관여해왔다.
그러나 그 효과를 체감할 수 없었다는 시민도 많다.
뜨개질이나 자전거 타기 등 소수의 취미생활을 지원한 것에 머물렀다는 지적도 있다.
그런 마을센터에 과거 10년간 인건비만 267억원의 세금이 투입된 것으로 5일 알려졌다.
김소양 서울시의원 (국민의힘) 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에 10억원대이던 연간 인건비가
지난해에는 56억원까지 크게 늘어났다.
2016년쯤부터 자치구에 마을센터가 본격적으로 생긴 결과다.
오세훈 現 시장은 최근 마을센터의 예산 사용을 검증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마을센터 중 마을종합센터는 박 前 시장 측근이 설립을 주도한 「사단법인 마을」 이 市에서 위탁 받아
운영한다. 다른 마을센터 상당수도 사단법인과 사회적 협동조합 등 민간이 운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마을센터의 급속한 규모 확대를 둘러싸고 시민 단체 출신자의 일자리 늘리기
목적이 아니였나는 의심의 소리가 있다.
직원수도 계속 늘어났다.
지난해 11월 기준 자치구센터 직원은 상근직 105명, 비상근직 173명으로 총 278명에 달한다.
상근직 센터장 연봉은 4,680~ 5,100만원이고 사무국장은 4,200~ 4680만원이다.
센터장은 「관련분야에서 경력 혹은 상응의 활동 경력」 이 8년 이상, 사무국장도 6-8년 지나지 안으면
지원할 수 없다.
한 자치구센터는 2019년 채용 때 「관련 분야」 를 「마을공동체, 주민자치, 사회복지, 도시재생 비영리
민간단체 등 비영리 공익 활동」 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김 시의원은 「이른바 『지역 활동가』 와 시민단체 출신자를 우대하려는 정치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면서 「인건비 증가 속도를 보면 사업 목적이 시민단체용 고용창출인지 공동체 활성화인지 알 수
없을 정도」 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소속의 의원도 2019년 행정 감사에서 「중간 지원 조직을 구성하는 대부분이 시민사회에서 들어오신
분들」 이라며 「문어발식 대기업을 경영하는 것처럼 확장만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고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에서 마을 사업을 담당하는 지역공동체 담당관실의 관계자는 「시민과 소통해왔던 여러 민간
분야에서 일해 왔던 사람들을 뽑는 것인데 시민단체의 일자리 만들기라는 것은 편협한 생각」 면서 「채용은
민감한 사안이라 특정 단체 출신자를 우대하지 않고 엄정하게 선발했다」 고 설명했다.
마을센터 등에 쏟아 넣은 예산에 비해 시민들의 체감 효과는 적다는 지적이 잇다르고 있다.
서울시 의회사무처에 의하면 2017년 서울시민 12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앙케트에 「자신은 지역의 이웃을
신뢰하고 있는 편이다」 라는 답변은 59.5%였다.
그런데 지난해 조사 (시민 1,000명 대상) 에서는 신뢰도가 38.9% 로 떨어졌다.
시의회의 예산정책 담당관은 「마을 공동체 사업이 공동체 회복에 얼마나 플러스 효과를 가져왔는지 의문이다」
고 말했다.
익명의 서울시 국장급 직원은 「각종 주민 모임과 활동을 공무원이 지원해도 되는데 굳이 마을센터를 만들어
「옥상옥 (屋上屋) 구조를 만든 것이 문제다.
각종 예산안과 조례에 박 前 시장의 마을 사업이 포함돼 있어 민주당이 시의회 다수를 점하는 상황에서는 사업
재검토는 쉽지 않다」 고 말했다.
* 懸け橋にする (かけはしにする) 사다리 역할을 하다, 가교 역할을 하다.
見なさざる 간주하다, 가정하다.
注ぎ込む (つぎこむ) 부어 넣다, 투입하다, 쏟아 넣다.
見直し (みなおし) 다시 보다, 재검토.
* 사람에게는 運이 따라붙는 때가 있는데 우린 항상 運이 있는 줄 알고 그때를 놓치고서야 후회를 합니다.
2011년도인가요? 50% 지지율을 보이던 안철수 씨가 5% 지지율도 안되는 박원순씨에게 서울 시장 자리를
양보한 것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그때 양보를 안했다면 박원순 서울시장의 죽음도 없었을까요.
세상일이란 아무도 알 수 없는 것이기에 지나고 나서야 사람들은 "그때 그랬더라면" 하고 뒤돌아 보게 됩니다.
국민의 세금이 들어가는 곳에는 행정감사와 감독이 철저히 이뤄져야 하는데 제대로 하는 곳이 있을까요.
최재형 감사원장이 압력을 받을 정도면 다른 곳은 채 말 해 무엇하리요.
거대 서울시에서 오세훈 시장의 정책도 시의회에 막혀 제 구실을 못한다는 뉴스를 몇 번이나 본 적이 있네요.
그런데 박원순 前 시장 1주기가 돌아오지 않았나요.
새삼 죽음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첫댓글 썩을 넘들.
끼리끼리 모이게 됩니다.
그런 모든것을 놔두고 유명을 달리 하였으니 그 순간이 얼마나 안타까웠겠습니까.
실력도 없이 음지에서 떠 돌다가 순간을 잘 포착 하여 그런 일을 하게 된 사람들에게는 박 시장의 정책이
생명의 은인이었을지도 모르겠지요.그런 사업을 하더라도 공표를 하고 특정 사람이 아닌 모든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내가 낸 세금이 그런 곳에 쓰였다는 생각을 하면은..
진짜 熱 받을 일이죠. 장문의 내용 해석 하시느라 고생 하셨습니다.
권력의 맛을 보니 20년 장기집권하겠다고 하는 거죠.
아이패드 충전기 사러 가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