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에 HDTV를 연결해서 AV를 즐긴다면, 저렴한 비용에 만능 재주재주꾼로 활용할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HD영상 뿐만 아니라, HD방송 수신, 녹화, 재생, DVD, DviX, MP3, 디카사진, 인터넷, 기타
컴퓨터 작업등 거의 모든 것을 하나로 해결할수 있기 때문에 한번쯤은 사용을 권하고 싶습니다.
컴퓨터를 이용한 AV즐기기... 생각 보다 간단하고 쉽습니다.
<< HDTV와 PC간 영상 연결 >>
무엇보다 중요한것은 일단 HDTV에 컴퓨터 화면이 나와야 할것입니다.
HDTV는 화질이 좋아서 HD영상은 물론 컴퓨터 모니터로 활용하여도 충분한 성능이 발휘됩니다.
특히 최근 1년 전후로 구입한 PC이거나 HDTV라면 대부분 특별한 장비 없이 케이블 하나만 있으면
쉽게 연결이 가능합니다.
즉, HDTV에 RGB/DVI(HDMI)단자가 있고, PC에도 RGB/DVI단자만 있으면, PC에 모니터를
연결하듯 RGB(D-SUB) 또는 DVI(DVI-HDMI) 케이블만 구비해서 연결하면 됩니다.
<< PC와 HDTV간 연결 방법 >>
위의 그림이 다소 복잡하지만, 어짜피 연결은 한가지 방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①RGB(D-SUB) ②DVI(DVI-HDMI) ③컴퍼넌트(적, 청, 녹) 3가지 방법중 한가지로
연결하시면 되기 때문에 어렵고,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최근의 HDTV들은 HDMI만 내장한 제품이 많습니다. 이경우 PC는 DVI만 있기 때문에 DVI-HDMI변환
케이블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2번 연결 방법이 두가지로 그림을 그려 놓은 것입니다.
위 연결 방법에 있어 "어떤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제일 좋은가?" 라는 질문을 많이 하시는데,
이론적 순서는 DVI(HDMI)>RGB>컴퍼넌트 순서 이지만, 실제 동일 조건에서 단자를 바꾸어 가며
연결을 해보시면 보시는 분의 취향이나 느낌에 따라 견해 차이가 있어서인지, 어떤분은 오히려
컴퍼넌트가 더 좋다 하시는 분도 있고, 어떤 분은 RGB가 더 좋다고도 하십니다.
그러므로 그 기준은 자신이 3가지를 다 연결해 봐서 좋게 보이는 방식으로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연결 후 중요한것은 HDTV와 PC간 최초 연결시에는 PC에서 화면 해상도를 1024X768 로 해서
컴퓨터를 부팅하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해서 부팅을 하신 후 해상도 조정을 HDTV에 맞게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보통 42" PDP나 브라운관의 경우는 1024X768 이 최대 해상도 입니다.
LCD TV 나 50" 이상 PDP는 1360X768 또는 1280X720 으로 맞추어 주시면 됩니다.
자세한 해상도 지원은 HDTV 메뉴얼에 보시면 나와 있으므로 한번 차분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PDP/LCD TV중에는 패널 해상도는 1366X768 이지만, PC와의 연결은
1024X768밖에 안되는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특별히 해상도를 높이는 방법으론 "파워스크립"이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해상도를 높일수 있으나 권장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PC용 비디오 카드의 특성에 따라 1:1매칭(1366X768)이 되는
경우도 있고 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제 경험으로 봐서는 ATI계열 비디오 카드의 경우 해상도 지원이 안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지포스 계열 비디오 카드는 1:1매칭 지원이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일부 HDTV들은 RGB는 제대로된 해상도가 나오지만, DVI(HDMI)는 PC연결
자체가 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모든 원인은 HDTV에서 PC와의 연결은 의무가 아닙니다. TV는 가전이기 때문인데,
PC와의 연결을 고려하신다면 이 부분은 구입전 반드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HDTV들이 PC지원에는 다소 인색한 편입니다.
그리고 모니터와 HDTV를 동시에 연결(듀얼 모니터) 하실수도 있는데, 이 때는 컴퓨터에 대한
기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신이 없으시면 도전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위의 DVI/RGB방식으로 HDTV와 연결하는것은 그리 복잡하지 않지만, 컴퍼넌트(적, 청, 녹)로
연결하는 경우는 PC에서 비디오카드 셋업이 다소 복잡 합니다.
예전 브라운관 방식의 HDTV들이 주로 컴퍼넌트 단자밖에 없기 때문에 컴퍼넌트로 연결 하게 되는데,
비디오 카드 종류도 다 다르기 때문에 여기서 구체적으로 일일히 설명이 쉽지 않기 때문에 비디오카드
메뉴얼을 보고 차분히 따라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한가지 유념하실것은 컴퍼넌트 츨력만 있는 HDTV들은 주로 브라운관 방식인데, 이경우에 TV종류에
따라 컴퓨터 화면이 좌우, 상하등이 잘려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는 조정을 할수 있지만, 딱 맞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일부 화면이 잘려서 나오는 문제는
감수를 하셔야 합니다.
끝으로 잘 모르시고, HDTV와 PC간을 RGB/DVI/컴퍼너트가 아닌, 일반 S-Video 단자나 컴퍼지트
(노랑)로 연결을 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아예 시도 자체를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래 그림은 S-Video / 컴퍼지트(노랑)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참조 하시기 바라빈다.
PC와 HDTV를 연결에 대해 어느정도 아셨다면, 과연 내 PC가 HD영상을 포함 AV를 하기에 적합한지
이제 점검에 들어 가겠습니다.
1.기존PC 활용하기
집에 사용중인 컴퓨터가 있으시다면 컴퓨터 사양을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HD영상을 보기위한 최소한의 사양은...
*P3-500Mhz/RAM-128MB/HDD-100GB(E-IDE 7200rpm)/비디오 카드 RGB단자 있는것.
===>최소 이 정도의 사양이시라면, HD영상을 자연스럽게 보기에는 사양이 부족합니다.
그렇다고 실망은 하지 마세요. 다소 가격은 비싸지만,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안
받고도 HD영상을 보실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하드웨어 방식의 HDTV수신카드로
HD방송을 녹화 재생해 보실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운드를 실감나게 듣기 위해서는 5.1Ch을 지원하는 사운드 카드가 필요한데,
사운드 부분은 아래에서 별도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P4-2GHz/RAM-256MB/HDD-100GB(E-IDE 7200rpm)/비디오카드 좀 괜찮은 성능의 PC
===>소포트웨어 방식의 HDTV수신카드로 가능한데, 비디오카드 성능이 다소 좋아야 합니다.
소포트웨어 방식의 HDTV수신카드는 말 그대로 시스템의 성능을 이용해 HD영상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CPU, 특히 비디오 카드의 성능이 무척 중요합니다.
CPU사양은 되는데, 화면 재생이 부자연스러운 경우 최근 출시 비디오 카드(7만원 내외)로
교체하시면 충분히 자연스럽게 시청이 가능합니다.
집에 컴퓨터가 있지만, 자주 다운되거나 오래된 구형 이라면, 차라리 새로이 구입을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조립형으로 하신다면 100만원 미만에 구입이 가능하지만, 컴퓨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다소 요구됩니다. 하지만,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시다면, 차라리 약간의 돈을 조금 더 주더라도
메이커 제품으로 새로 구입 하시면 AS및 기타 기능이 편리해서 쉽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2.PC 새로 마련하기
1)직접 조립하기(HTPC)
PC를 자신이 직접 조립해서 나만의 HTPC를 구성하면 자신만의 용도에 맞는 PC로 꾸미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이 될것입니다.
주의 하실건 PC의 팬소음이 영화 감상시 많이 시끄럽기 때문에 그러한 점을 감안해서
PC조립시 저소음 또는 무소음 팬을 사용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HTPC 권장 사양 >
CPU:P4-3GHz / RAM:512MB / HDD:250GB / DVD:멀티레코더 / 비디오 카드:15만원 내외
메인보드:Sound 5.1지원(광/동축), LAN, USB2.0, 1394 내장 메인보드
Case:HTPC Case(Power 350W이상) / 무선 키보드 마우스 / OS:한글Win XP
참고로 외장 HDD(USB/1394)는 1개 정도는 함께 구입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250GB이상).
<< H T P C >>
2)메이커 제품으로 구입하기
HTPC를 직접 조립할 자신이 없으면 차라리 메이커 완제품을 구입하셔도 괜찮습니다.
자신이 직접 조립하는것보다 다소 가격이 비싸기는 해도 AS나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초보시라면 차라리 메이커 제품이 낮다고 봅니다.
삼성, LG같은 국내외 제품이 많이 있지만, LG전자에서 나온 "AV센타"같은 AV전용 PC는
HD영상까지 녹화 재생이 되고, 가전 제품처럼 리모콘으로 작동할수 있어 아주 편리합니다.
LG전자 "AV센타" 제품에는 HDTV수신카드에 리모콘까지 제공이 됩니다.
LG전자 "AV센타" 사용기 보기===>LG전자 "AV센타" 사용기
3.HTPC의 필수-HDTV수신카드
PC에 HDTV수신카드를 간단히 꼽아 설치함으로써 가장 저렴하게 HD방송을 녹화 재생,
편집을 할수가 있는데, 이경우 PC에 다양한 HD영상을 저장(녹화)해서 재생해 보려면,
HD영상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HDD의 용량이 많아야 하는데, 이점이 가장 큰 단점입니다.
HDTV수신카드는 S/W(소프트웨어)방식과 H/W(하드웨어)방식 두가지가 있습니다.
1)S/W(소프트웨어)방식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입니다.
가격이 저렴하고(7만원 내외), 모델도 다양하게 나와 있고,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PC의 사양이 P4 이상이면 무난합니다. 특히 중요한것은 비디오카드의 성능이 다소 좋아야
합니다.
S/W방식 수신카드는 HD방송을 수신할수 있는 수신(튜너) 기능만 있기 때문에 영상 재생은
전적으로 비디오카드나 CPU 속도에 의존합니다.
S/W방식 HDTV수신카드는 PC에 꼽아 사용하는 내장형과 노트북과 같은데 적합한 휴대가
용이한 UBS(2.0)방식의 외장형이 있습니다. PC는 둘중 어느것을 구입하여도 무방 합니다.
2)H/W(하드웨어)방식
최근 컴퓨터 사양이 고급화 되면서 H/W방식의 HDTV수신카드는 단종추세로 가고 있기 때문에
현재로는 메크로영상기술에서 출시 되는 My-HD가 유일한 H/W방식의 HDTV수신카드 입니다.
가격이 25만원 이상으로 다소 부담이 되지만, CPU나 비디오카드의 고사양은 필요가 없습니다.
P3-500MHz 정도면 무난히 HD영상을 끊김 없이 보실수 있습니다.
HD방송(영상) 녹화 및 재생에는 가장 안정적 입니다.
4.HD영상을 PC에서 순수 S/W(소프트웨어)로만 재생해서 HDTV로 보기
이 방식은 공개용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HD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인데, 이경우는 위의 S/W방식의
HDTV수신카드처럼 컴퓨터 사양이 다소 좋아야하며, 특히 비디오 카드의 성능이 좋아야 합니다.
최근 1년 내외 구입한 P4 정도의 PC라면 충분합니다.
단, 이 경우는 HD방송을 직접 시청, 녹화는 하실수 없습니다. HDTV수신카드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는 HD영상을 공유(복사) 받아온 것이나 통신으로 Down받은 것(TP화일)을
재생해서 보는 방법입니다. 마치 DviX영화등을 Down받아 보는 것처럼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S/W재생프로그램은 요즘 나오는 DVD플레이어용 S/W나 공개용 영상 재생 전용프로그램
대부분이 지원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구해서 볼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Kmplay/곰플레이어등으로 보실수 있습니다.
*참조 : HD영상 화일의 확장명은 TP화일로 되어 있습니다.
<< PC와 홈씨어터간 사운드 연결 >>
이제, PC와 HDTV간 연결은 성공을 하셨다면, 좀더 의미 있는 연결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아무리 좋은 영상도 사운드가 따라 주지 않는다면 흥미가 덜할것입니다.
물론 사운드를 HDTV에 곧바로 연결(스테레오)하셔도 되지만, 좀더 웅장하고 박진감 넘치는
극장식 사운드(5.1채널)로 연결을 원하신다면, 홈씨어터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제 완벽한 AV시스템이 되는것입니다..
PC를 5.1Ch로 구축하시려면 기본적으로 나의 PC에 Coaxial(SPDIF)이나 Optical(광) 출력
단자가 있는 사운드 카드여야 합니다. 둘중 하나만 지원이 되면 되는데, 모양(생김새)을 잘 모르시면,
아래 그림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PC에 아래의 모양과 같은 단자가 있는 사운드카드라면, 이제 홈씨어터에도 Coaxial
(SPDIF) &Optical(광) 입력단자가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홈씨어터와 PC간 연결하는 Coaxial(SPDIF) & Optical(광) 단자 및 케이블 모양
위의 모양과 같이 같이 생긴 단자가 사운드 카드에 있고, 홈씨어터에도 있다면, 따루 추가 하실것은
없고 우측의 케이블(1만원 내외)만 구입해서 꼽으시면 됩니다. 즉,
위 그림의 ①Coaxial(SPDIF) ②Optical(광) 두가지 중 한가지로만 연결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홈씨어터와의 5.1Ch연결은 끝난것입니다. 의예로 간단합니다.
아, 물론 홈씨어터는 기본적으로 5.1Ch로 스피커까지 구성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일 홈씨어터에 Coaxial(SPDIF)이나 Optical(광) 단자가 없다면, 홈씨어터를 Coaxial(SPDIF) &
Optical(광) 단자가 있는것으로 교체 하셔야 합니다.
이는 방법이 없으며, 보통 50만원 미만대의 홈씨어터의 경우 대부분 이러한 입력 단자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PC에도 Coaxial(SPDIF)이나 Optical(광) 단자가 없다면 할수없이 사운드 카드를 추가로
설치 하셔야 합니다. 광출력 지원 사운드 카드는 보통 3~5만원 내외면 충분합니다.
참고로 홈씨어터의 경우도 2가지 유형으로 분류 할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올인원
홈씨어터와 음질과 각종 부가 기능이 좋은 리시버 앰프를 사용한 홈씨어터가 있을수 있습니다.
성능은 리시버를 이용한 제품이 좋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올인원 홈씨어터로도 충분한 감상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선택은 자신의 용도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올인원 홈씨어터와 리시버 앰프를 사용한 홈씨어터 구성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올인원 홈씨어터 시스템
리시버 앰프로 구성한 홈씨어터 시스템
위의 그림을 참조로해서 이제 올인원 홈씨어터이든 리시버 앰프를 이용한 홈씨어터이든 기본적인 연결
구성 방법은 비슷하기 때문에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홈씨어터의 5.1Ch 스피커 구성 방법
위 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이 홈씨어터는 극장과 사운드 구조를 같기 때문에 5개의 스피커에서 각각
다른 소리가 나옵니다. 그리고 1개의 우퍼 소리는 별도로 나는 소리는 아니지만, 전체적인 소리를
합산해서 울려주는(쿵쿵) 역활만 합니다. 그래서 5개의 채널에 우퍼를 포함해서 5.1채널(Ch)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5.1Ch 스피커의 구성에 있어서 스피커의 위치와 각도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스피커의 각도 위치는 쇼파를 중심으로 향하게 해주고, 높이는 TV를 보는 귀의 높이에 맞추어 주면
적당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실등과의 분위기상 각도나 높이는 조정을 하여도 무방하나
놓여지는 기본적인 위치는 바뀌시면 안됩니다.
스피커와 홈씨어터간 연결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마지막으로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었는지
Test를 해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확인 방법은 홈씨어터 리모콘에 보시면 스피커를 Test 할수있는 "Test"버튼을 누르시면
"찌익"하는 소리가 2~3초간 스피커를 돌아가며 나게 됩니다. 이때 쇼파(본인)를 기준으로
위 그림에서 보면 "프론트 왼쪽①-->센타②-->③프론트 오른쪽-->④리어 오른쪽-->
⑤리어왼쪽-->⑥우퍼 순으로 "찌익"하는 소리가 2~3초간 들리면 정상적인 설치가 된것입니다.
만일 Test순서시 지적한대로 소리가 나지 않는다면 스피커 연결상태를 다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스피커의 연결 상태에 따라 서라운드의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위의 순서대로 Test시 소리가
나야 정상적인 연결이 된것입니다.
참고로 홈씨어터의 구성에 있어 스피커선의 역활도 중요합니다.
보통 올인원 홈씨어터의 경우 번들로 제공된 스피커선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아래와 같은 좀더 나은
선을 사용하면 더욱 좋습니다(리시버 앰프 사용자는 반드시 아래와 같은 선을 사용 하세요).
최근 올인원 홈씨어터의 경우 무선도 있어 설치가 다소 편리하지만, 스피커에 사용되는 밧데리가 쉽게
소모가 되어 수시로 확인 체크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거실 배선 공사가 쉽지 않으신 분들만
선택 하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설치 시공이 어렵지 않다면, 일부러 무선으로 하는 것은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주로 사용되는 스피커선
이제 PC와 HDTV, 홈씨어터를 결합한 완벽한 AV시스템이 구축된 것입니다.
이렇게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완료되었다면, 5.1Ch로 제작된 HD영상 소스를 가지고 실제
5.1Ch로 소리가 나는지를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PC에서 Kmplay/곰플레이어등으로 HD영상을 재생해 보거나, HDTV수신카드가 있으신 분들은
제공된 프로그램을 재생하시면 되는데, 이때 프로그램 환경설정에서 오디오 출력을 "SPDIF"로
셋업을 해주셔야 하며, 재생되는 영상 소스도 반드시 5.1Ch로 제작된 것이어야 5.1Ch로 나옵니다.
이상 PC를 이용한 AV 즐기기 방법을 알아 보았으나, PC를 이용한 방법은 자신의 취향이나 용도에
따라 그 방법이 다 다를수 있고, 장비 종류도 다 다를수 있기 때문에 디소 복잡해 보이지만, 연결하는
방법은 간단 하기 때문에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나씩 도전해 보세요. 배우며 하나씩 해나가는 재미 또한 진정한 마니아의 길이 아닐까 합니다.
이 글은 HD영상을 중심으로 보편적인 부분을 언급한 글입니다.
그래서 일부는 다소 연결 방법이나 정황이 다를수 있습니다.
정확한것은 해당 제품 메뉴얼을 참조 하시고, 잘 연결하셔서 즐감하셨으면 합니다.
작성 : 2006년 4월 28일(7차 수정)
좋은내용 입니다. 좀 가져갑니다. ㄳ
tom9184님! 저희 카페는 실명제 입니다. 실명을 사용하지 않으시면, 카페 활동에 지장이 많습니다. 아울러 실명을 사용하지않으시면, 카페 강퇴 사유가 됩니다. 그러므로 실명으로 전환을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자료는 얼마든지 사용하셔도 됩니다. 다만, 상업적 목적은 허용이 안되며, 다른 곳에 게시할때는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이런 정보는 유니크!^^
님 좀 짱인듯...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정보입니다
차근차근공부해야되겠습니다.하드를묶는다 깔끔해질것같습니다1테라6개라 지름신이...
감사 합니다
하지만 웅장한 사운드를 위해선 AV리시버가 필수인데 최신형 AV리시버라면 저렇게 영상선과 오디오선을 따로 할필요가 전혀 없죠 그냥 PC -(HDMI)- 리시버 -(HDMI)- HD viewr(TV,프로젝터등) 이구성이 최고로 좋은 구성이죠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좋은 자료 잘보고 갑니다.
잘 보았습니다. 감사 합니다.
소중한정보감사합니다
이 카페에 너무 늦게 가입했나봅니다. 이렇게 상세하게 설명을 해주시는데....헤맸답니다.
그간 H/W사양도 많이 업 된거 같습니다 ...
자세한 안내 감사드리며 업된 정보 계속 부탁드려도 될런지요
예. 그러겠습니다.
요즈음 제가 고민한걸 상세하게 가르쳐줘 아주 유익하게 봤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저 내용을 제가 충분히 이해 못할만하다는 겁니다,
어려워요~,
나이가 많아서(67세) 그 주된 원인이 되겠지요,
기회가 되면 시연같은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덧부치자면 좁은 공간에서도 즐길수 있는 영화나 음악같은 것도 극장이나 볼수 있는 수준의 시연장 있다면
꼭 가보겠다라는 의지가 불탑니다, 그런 기회가 있을까요?
그런 기회가 있다면 그 장소에서 특별공구 분양상품도 볼수있도록 해주신다면 금상첨화란 생각이 듭니다,
길게 여러가지 부탁 드려서 미안했습니다, 꾸~~뻑!!
1년전까지만 해도 카페 전용 "AV연구소&시연장"을 운영을 하였습니다. 바로 이준영닌 같은 분을 위해서 였조. 그때는 AV관련 시연회를 자주하기도 하였지만, 요즘은 시연장이 없으니... / 2월 말쯤에 AV관련, 즉 차세대TV와 스미트폰과의 연동 시연회를 함 준비헤 볼까 합니다. 아직 구체적인 일정과 사안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조만간 잡아서 준비를 해보겠습니다.
그러게요, 그런 모임을 갖는 게시물을 지난날에는 봤는데 그뒤 그러한게 도통~ 안보여 조심스럽게 의견을 올려보았든겁니다, 혹여~ 저의 어쭙잖은 의견으로 카페 이끌어 가는데도 어렵고 복잡할텐데 시연회를 준비하신다는 답글 보고 송구스럽고 짐을 얹어주는거 같아 미안함과 고마움 마음이 동시에 듭니다, 고맙습니다, 그리고 기대 해보겠습니다, 특히 카페에 올린 댓글 하나 하나 모두 성실히 답변해주신 이군배 님에게 무한한 존경과 감사 말씀 올리겠습니다,
아닙니다. 그런 연유로 이번 시연회를 준비하는건 아닙니다. 아실진 모르겠으나, 그동안 HDTV가 수년째 큰 변화없이, 좀 단조롭게 흘러 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디스플레이가 큰 변환디를 맞고 있습니다. 즉, HDTV의 화질이 UDTV로 변화되는 변환기를 맞고 있고, 10년 넘게 유지해온 LCD(LED) TV가 OLED TV라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변화를 맞고 있고, 최근 2~3년 사이 스마트폰이 우리 생활에 필수 기기로 사용이 되면서, AV기기로도 많이 활용이 되던차에, 그 스마트폰의 화질(해상도)이 Full HD급으로 향상이 되면서, 이젠 HDTV(스마트TV)와도 연동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즉, 마트폰의 Full HD는 콘텐츠 측면에서 상호 연동성도 있지만
작은 디스플레이의 획기적 변화라는 점에서 최근의 디스플레이 변화는 AV마니아 들에겐, 10여년 만에 큰 변화를 맞고 있기에, 그 어느때보다도 많은 회원님들이 그 변화에 관심이 높으실것 같아서, 이번 시연회 계획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시연회를 저 혼자선 할수가 없기 때문에, 한달전부터 이미 업체랑 논의 중입니다. 논의가 어는정도 구체화 되면, 조만간 카페를 통해 관련 내용을 공지하고, 2월중에는 가능한 시연회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해보려고 했던 것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