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은하수와 백합
 
 
 
카페 게시글
자연 스크랩 제주도 여행... 황우지해안, 황우지 12동굴, 외돌개, 주상절리대
은하수 추천 0 조회 211 12.01.16 14:5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숙소가 있었던 표선리 앞 바다

올레길인 듯... 물질하다 나온 해녀가 발길을 멈추고 올레꾼들을 구경하신다

 

 

바다를 향해 떨어지는 정방폭포

 

 

 

황우지 해안은

'남주해금강(南州海金剛)'이라 불리우는 서귀포시 삼매봉 남쪽 바닷가에 위치해 있다.

시민과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는 외돌개의 동쪽 해안이기도 하다. '황우지'라는 지명은 이 해안의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물 설은 이름이다.

그냥 삼매봉 또는 외돌개 바닷가로 알려져 있다.

서귀포시 지명유래집(1999)에 의하면 지형이 황우도강형(黃牛渡江)이라 하여 '황우지(黃牛地)'라 부르게 됐다고 한다.

 

 

황우지 12동굴

 

 

 

 

 

 

 

 

 

 

 

 

 

 

 

 

 

 

 

 

 

 

 

외돌개

기다림을 지나 그리움은 돌이 되어버리고 뭍에서 아슬아슬하게 홀로 외롭게 바다에 서있다고 해서 붙여진 외돌개

남주의 해금강 서귀포 칠십리 해안가를 둘러싼 기암절벽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이 20m높이의 기둥 바위인 외돌개입니다.

서귀포 시내에서 약 2㎞쯤 서쪽에 삼매봉이 있고 그 산자락의 수려한 해안가에 우뚝 서 있는 외돌개는 약 150만년 전 화산이 폭발하여 용암이 섬의 모습을 바꿔놓을 때 생성되었습니다. 꼭대기에는 몇 그루의 소나무들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뭍과 떨어져 바다 가운데 외롭게 서있다 하여 외돌개란 이름이 붙여졌으며 고기잡이 나간 할아버지를 기다리다가 바위가 된 할머니의 애절한 전설이 깃들어 있어 `할망바위`라고도 불립니다.

바위끝에 사람의 머리처럼 나무와 풀들이 자라고 있고

그 왼편으로 할머니의 이마와 깊고 슬픈 눈망울과 콧등의 윤곽이 어렴풋이 보이고 쩍 벌어진 입모양은 할머니가 할아버지를 외치며 찾던 모습 그대로 입니다.

외돌개 바로 밑에는 물위에 떠있는 듯한 바위가 있는데 이는 할머니가 돌로 변한 후 할아버지의 시신이 떠올라 돌이 된것이라 합니다.

뒤로는 선녀바위라는 기암절벽이 돌이 되어버린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안스러운듯 병풍처럼 펼쳐서 감싸안고 있는 모습입니다.

또한 설화에 의하면 고려말 최영 장군이 제주도를 강점했던 목호(牧胡)의 난을 토벌할 때 외돌개 뒤에 있는 범섬이 최후의 격전장 이었는데

전술상 이 외돌개를 장대한 장수로 치장시켜 놓았습니다.

그러자 목호들이 이를 대장군이 진을 치고 있는 것으로 오인하여 모두 자결하였다합니다.

그래서 이 외돌개를 `장군석`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외돌개로 가는 왼쪽 길목에 소머리바위라고 하는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 위에는 넓은 잔디밭이 펼쳐지고

주변에는 천연적인 낚시포인트로서 휴식과 레저를 겸한 유원지가 되고 있습니다.

외돌개 뒤에 보이는 범섬에 석양이 어릴 때의 경관은 더없이 장엄합니다.

서귀포 체류시 아침이나 저녁에 삼매봉과 같이 산책코스로 좋습니다. 관련지식 약 150만 년전 화산이 폭발할 때 생성되었습니다.

외돌개는 파도의 침식작용에 의해 강한 암석만 남아 있은 것으로 시스텍이라 합니다.

인근 문섬및범섬천연보호구역은 천연기념물 제421호(2000. 7. 18)로 지정되었습니다.

 

 

 

 

 

 

주상절리대

이번 제주도 여행에서 가장 신비롭게 본 해안의 모습

자연적으로 어떻게 육각형 모양의 기둥이 만들어 질 수 있는지 신비롭기만 하다

 

 

 

 

 

 

 

 

 

 

 

 

주상절리

 용암이 흐르다가 바다와 만나면서 굳을 때 육각 기둥모양으로 굳어져 생긴 지형이다. 제주도 남부해변에서 볼 수 있다.

주상절리는 용암이 식으면서 기둥 모양으로 굳은 것인데, 기둥의 단면은 4각~6각형으로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용암류가 급격히 냉각되면 큰 부피변화와 함께 수축하게 된다. 이때 용암이 식으면서 최소한의 변의 길이와 최대의 넓이를 가지는 "육각기둥"의 모양으로 굳는 경향을 보인다.

(원은 선의 길이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같은 길이 대비, 다른 도형보다 넓이가 크지만 원으로는 빈틈 없이 조밀한 구조를 생성할 수 없다.)

수축이 진행되면서, 냉각중인 용암표면에서 수축이 일어나는 중심점들이 생기게 된다. 이런 지점들이 고르게 분포하면서, 그 점을 중심으로 냉각,수축이 진행되면 다각형의 규칙적인 균열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균열들이 수직으로 발달하여 현무암층은 수천 개의 기둥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이들은 용암의 두께, 냉각 속도 등에 따라 높이 수십 m, 지름 수십 cm의 다양한 모습으로 발달하게 된다.

 

 

 

 

 

 

 

 

 

 

 

 

 

 

 

 

 

 

 

 

 

 

 

 

 

 

 

 

 

아름다운 해안을 돌다 보니 어느새 이틀째 해가 기울었다

 

 

 

 

( 2011. 4. 2 )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