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혈액형에 대한 우리의 상식에 따르면 부모가 모두 O형이면 아기도 O형이어야 하지만 이 상식도 예외가 있다. O형 부모 사이에서도 A형이나 B형 자녀가 태어날 수 있는 것이다. 부모의 어느 한쪽 혈액형이 ‘봄베이(Bombay) O’형인 경우다. 그리고 부모가 모두 봄베이 O형이라면 AB형 아기도 가능하다. 봄베이 O형은 처음 발견된 인도의 봄베이 지역을 따서 이름을 붙였다.
봄베이 O형이란 무엇일까? 봄베이 혈액형을 이해하려면 ‘유전자형’과 ‘표현형’에 대해 알아야 한다. 유전자형은 유전인자에 의해서 생물 내부적으로 결정되는 형질을 말하며, 그것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이 표현형이다. ABO 혈액형에서 우리가 흔히 일컫는 A, B, AB, O형은 혈액형을 표현형으로 부르는 명칭이다. 표현형으로는 같은 A형일지라도 유전자형은 AA와 AO가 있을 수 있다. 봄베이 O형은 분명히 A형 또는 B형 ‘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적혈구에는 A형 또는 B형 ‘항원’이 없는 경우다. 따라서 유전자형은 A 또는 B형이지만 표현형은 O형이 되는 것이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질까? 항원의 구조를 살펴보면 적혈구 표면에 H 항원이 먼저 만들어진 뒤에야 A, B 항원이 붙어 있을 수 있다. 봄베이 O형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어떤 이유로 인해 H 항원이 만들어지지 않아 다음에 만들어져야 할 A 항원이나 B 항원이 만들어지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A 항원 또는 B 항원을 만드는 유전자가 있으니 자식에게 유전자는 그대로 이어져 부모의 혈액형이 표현형으로 O형인 경우에도 자식은A형이나 B형, 또는 AB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A] [봄베이 O형의 경우 수혈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먼저 혈액의 구성 성분을 살펴보자. 혈액을 가만히 두면 혈구와 혈청으로 나누어지는데, 혈구는 적혈구와 백혈구 같은 고체 성분이고 혈청은 맑은 노란색 액체다. 혈구는 항원(응집원)으로, 혈청은 항체(응집소)로 작용해 수혈에 적합하지 않은 피를 받게 되면 혈구와 혈청이 한 덩어리가 되어 굳어지게 된다. A형 적혈구에는 A 항원이, B형 적혈구에는 B 항원이, 그리고 AB형 적혈구에는 A, B 항원이 모두 있으며, O형 적혈구에는 A, B 항원이 모두 없다. 한편 A형 혈청과 B형 혈청에는 각각 anti-B 항체와 anti-A 항체가 있고, AB형 혈청은 anti-A 항체와 anti-B 항체를 모두 가지지 않으며, O형의 경우 anti-A 항체와 anti-B 항체를 모두 가진다. ABO식 혈액형끼리 수혈을 할 때 A 항원과 anti-A 항체가 만나거나, B 항원과 anti-B 항체가 만나면 항원과 항체가 서로 엉겨 굳어지게 된다. 봄베이 O형의 경우 A, B, H 항원이 모두 없기 때문에 anti-A, anti-B, anti-H 항체를 가진다. 따라서 봄베이 O형은 ㉮
8.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봄베이 O형의 경우 H 항원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② A 항원과 anti-A 항체가 만나면 서로 엉기게 된다.
③ O형과 봄베이 O형은 표현형은 다르지만 유전자형은 서로 같다.
④ 혈액은 고체 성분의 혈구와 액체 성분의 혈청으로 구성되어 있다.
⑤ 봄베이 O형에서 A 또는 B 항원을 만드는 유전자는 자식에게 전달된다.
9. 윗글을 참고하여 <보기>에 대해 반응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3점)
<보기>
(부) -- (모)
O형 -- O형
┊
(자식)
A형
* 단 혈액형은 모두 표현형임.
①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봄베이 O형일 것이다.
②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A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③ 부와 모는 모두 혈액형의 유전자형과 표현형이 일치할 것이다.
④ 부와 모는 모두 A형 항원이나 B형 항원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것이다.
⑤ 자식의 적혈구에는 H 항원이 만들어진 후 A 항원이 붙게 될 것이다.
10. [A]의 내용을 고려할 때,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① O형으로부터만 수혈을 받을 수 있다.
② AB형으로부터만 수혈을 받을 수 있다.
③ 모든 혈액형으로부터 수혈을 받을 수 있다.
④ 봄베이 O형으로부터만 수혈을 받을 수 있다.
⑤ O형과 봄베이 O형으로부터 모두 수혈을 받을 수 있다.
=해제=
혈액형에 대한 우리의 상식을 뒤엎는 경우로 봄베이 O형을 언급하고 있는 글이다. 봄베이 O형은 부모가 모두 O형이어도 자식의 혈액형이 O형이 아닌 다른 혈액형일 경우를 설명해 줄 수 있는 혈액형인데, 봄베이 O형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H 항원이 형성되지 않아서 이후 만들어져야 할 A 항원이나 B 항원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이다. 봄베이 O형은 (A형 또는 B형)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표현형은 O형이 되는 경우로, H 항원이 없기 때문에 anti-H 항체를 가지고, 이로 인해 H 항원을 가지고 있는 혈액형의 피를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봄베이 O형은 (봄베이 O형)으로부터만 수혈받을 수 있다.
주제: 부모가 모두 O형이어도 다른 혈액형의 자식이 나올 수 있는 봄베이 O형
내용 흐름
1문단: 혈액형에 대한 상식을 뒤엎는 봄베이 O형
2문단: 유전자형과 표현형
3문단: 봄베이 O형의 (항원의 구조)
4문단: 봄베이 O형의 (수혈)
제목: (봄베이 O형)
문제의식: (혈액형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자.)
=
해제: 혈액형에 대한 우리의 상식을 뒤엎는 경우로 봄베이 O형을 언급하고 있는 글이다. 봄베이 O형은 부모가 모두 O형이어도 자식의 혈액형이 O형이 아닌 다른 혈액형일 경우를 설명해 줄 수 있는 혈액형인데, 봄베이 O형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H 항원이 형성되지 않아서 이후 만들어져야 할 A 항원이나 B 항원이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이다. 봄베이 O형은 A형 또는 B형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표현형은 O형이 되는 경우로, H 항원이 없기 때문에 anti-H 항체를 가지고, 이로 인해 H 항원을 가지고 있는 혈액형의 피를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봄베이 O형은 봄베이 O형으로부터만 수혈받을 수 있다.
주제: 부모가 모두 O형이어도 다른 혈액형의 자식이 나올 수 있는 봄베이 O형
내용 흐름
1문단: 혈액형에 대한 상식을 뒤엎는 봄베이 O형
2문단: 유전자형과 표현형
3문단: 봄베이 O형의 항원의 구조
4문단: 봄베이 O형의 수혈
8 세부 정보, 핵심 정보 파악 ③
| 정답이 정답인 이유 |
③ 유전자형과 표현형
O형은 유전자형이 OO일 수밖에 없지만, 봄베이 O형은 A형 또는 B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O형과 봄베이 O형의 유전자형이 서로 같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또한 봄베이 O형의 표현형은 O형이므로 둘의 표현형은 서로 같다.
| 오답이 오답인 이유 |
① 봄베이 O형과 H 항원
봄베이 O형의 경우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이유로 H 항원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내용을 3문단을 통해 알 수 있다.
② 항원과 항체
anti-A 항체는 B형 혈청에 있는데 A형 적혈구, 즉 A형 항원과 만나게 되면 서로 엉기게 된다는 것을 4문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④ 혈액의 구성
혈액을 가만히 두면 혈구와 혈청으로 분리되는데, 혈구는 적혈구나 백혈구와 같은 고체 성분이고, 혈청은 맑은 노란색 액체라는 것을 4문단을 통해 알 수 있다.
⑤ 유전자의 전달
봄베이 O형은 표현형과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데, 표현형은 O형일지라도 A 또는 B 항원을 만드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 유전자는 자식에게 전달된다는 것을 3문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9 구체적 상황에 적용하기 ③
| 정답이 정답인 이유 |
③ 혈액형의 유전자형과 표현형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봄베이 O형이기 때문에 자식의 혈액형이 A형인 것인데, 봄베이 O형의 경우 혈액형의 표현형과 유전자형이 다르다는 것을 2문단을 통해 알 수 있다.
| 오답이 오답인 이유 |
① 부모의 혈액형
부모 모두 O형인데, 자식이 다른 혈액형이 나왔다면 부모 중에 한 명 이상이 봄베이 O형일 것임을 알 수 있다.
② 봄베이 O형과 유전자
자식이 A형이므로, 부모 중 한 명 이상은 봄베이 O형 중에서 A형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④ 혈액형의 표현형과 항원의 존재 여부
부모는 모두 표현형으로서의 혈액형이 O형이므로 적혈구에 A형 또는 B형 항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
⑤ A 항원 형성의 조건
자식은 혈액형이 A형이므로 H 항원이 만들어진 후 A 항원이 붙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10 생략된 정보 추론 ④
| 정답이 정답인 이유 |
④ 봄베이 O형과 수혈
봄베이 O형은 anti-A, anti-B, anti-H 항체를 가지기 때문에 A, B, H 항원을 가지고 있는 혈액형과 만나면 엉기게 된다. 따라서 A, B, H 항원을 가지고 있는 혈액형, 즉 A, B, AB, O형의 혈액을 수혈받을 수 없고, 오로지 봄베이 O형으로부터만 혈액을 수혈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O형의 경우 H 항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역시 봄베이 O형에 혈액을 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