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야권 200석'으로 개헌저지선 붕괴?‥여야가 보는 실제 판세는
입력2024.04.09. 오후 8:07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41682
https://youtu.be/RsrI0YlWbqg
이번 선거는 이른바 심판론이 거대 양당 모두의 구호로 등장했죠.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가 2년 동안 경제든 외교든 뭐 하나 제대로 한 거 있느냐? 그동안 참아온 국민들이 이 정부를 해고해야 한다"면서 '정권심판론'을 들고 나왔고, 선거 초반에 '운동권 청산론'을 들고 나왔던 국민의힘은 본격 선거전이 시작되면서는 "재판받고 있는 범죄자들이 국회로 들어오려고 한다." 이재명, 조국 대표를 겨냥해서 이른바 '이조심판론'을 제기했습니다.
내일 선거 결과, 양당은 어떻게 전망하고 있는지 국민의힘과 민주당 출입하고 있는 취재기자들에게 물어보겠습니다.
손하늘 기자, 김건휘 기자 나와 있습니다.
먼저 국민의힘 취재하는 손 기자, 어제오늘 한동훈 위원장이 "범야권 200석이면 나라가 망할 거다." 이런 얘기를 계속해서 하고 있는데 국민의힘이 실제로도 비례 합해서 100석 안 될 거다, 이런 위기감이 있는 겁니까?
◀ 기자 ▶
한동훈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연일 "범야권 200석만은 막아달라"고 호소하며 위기감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다만, 국민의힘은 지지율이 바닥을 치고 올라오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당 지도부에선 총선 전망치, 목표치로 120~140석이라는 수치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50~60석이나 되는 초박빙 지역구, 살얼음판이라고 하잖아요.
여기서 다 이긴다면 원내 1당도 불가능하지는 않다는 겁니다.
결국 접전 지역구 결과에 달렸지만, 희망적인 예측도 배제하지는 않고 있는 거죠.
한 위원장은 오늘 마지막 날 유세도 격전지라는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표라도 더 모아달라며 마지막 표심에 호소했습니다.
◀ 앵커 ▶
절박한 상황이다.
김건휘 기자는 민주당 취재하죠.
민주당은 공식적으로는 지역구 110석 우세, 그리고 비슷하네요.
50~60곳 정도를 경합으로 분석하는 것 같은데 내심 더 기대하는 분위기도 당내에서는 읽히는 것 같습니다.
판세 어떻게 보고 있나요?
◀ 기자 ▶
공식적으로는 이재명 대표도 언급했듯 말씀하신 대로 110곳 정도 우세, 50~60곳 경합이 맞습니다.
다만 보수적으로 잡은 수치라는 건데요.
민주당 핵심 관계자들에게 물어보면 좀 더 긍정적입니다.
"경합 지역 상승세를 고려하면 내심 지역구만으로 과반 의석 확보가 가능하다"는 이런 분위기도 읽히는데요.
경기·인천의 우세가 안정적이고 '험지'인 부산·울산·경남에서도 두 자릿수 의석까지 노려볼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선거 막판 일부 후보자들의 부동산과 막말 이슈가 불거지면서 수도권 등 경합 지역이 늘고 있다는 점은 우려하는 대목입니다.
사전 투표율이 총선 사상 최고로 나온 건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데요.
최종 투표율이 65% 이상이면 유리하고 70%에 가까워질수록 우세가 확실하다는 게 더불어민주당 분석입니다.
◀ 앵커 ▶
사전 투표율 많이 나온 것도 각 당이 다 자기가 우세하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손 기자, 다시 국민의힘 입장을 보면 이번 총선에서 이 정도면 선전했다, 잘 싸웠다고 이야기할 만한 기준이 있을까요?
◀ 기자 ▶
지난 총선으로 한번 되돌아가 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힘의 전신인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을 합쳐서 103석을 얻었습니다.
여기에 무소속 출마했다 돌아온 4명, 합당한 국민의당 소속 3석 등을 합치면, 현재 여권 의석인 110석 정도가 출발선이라고 볼 수 있을 겁니다.
사실 3주 전에는 100석도 위태롭다는 말이 돌기도 했었습니다.
당시 공천장 수여 행사가 있었는데요.
굉장히 기쁜 날인데도 불구하고 후보들이 굳은 표정으로 이종섭·황상무 논란을 성토하던 모습을 직접 봤었습니다.
만일 개헌선 100석이 무너진다면, 현 정부도 동력을 잃고, 여당에도 선거 패배 책임론이 불거지며 큰 후폭풍이 닥칠 수밖에 없을 겁니다.
다만,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사실상 지난 총선과 같은 110석 수준을 얻는다 하더라도 지난 선거가 워낙 여당이 참패했던 선거인만큼, 선방했다고 말하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좀 더 실무적으로 보면 120석 이상을 얻어야 야권의 법안 신속처리안건 지정, 즉 패스트트랙을 막을 수가 있어서 여당의 1차 저지선으로 꼽힙니다.
◀ 앵커 ▶
김건휘 기자, 민주당 이야기 다시 하겠습니다.
민주당은 공개적으론 지역구 110석 우세라고 했었죠.
조금 직접적으로 물어보겠습니다.
조국혁신당을 더해서 범야권이 "200석 확보가 가능하다", 이런 전망이 아까 조국혁신당에서도 나오고 있고 민주당에서도 나오고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국민의힘이 "개헌 저지가 필요하다"고 호소하는 배경도 200석 설, 이 부분이 조금 강하게 나오고 있기 때문 아니겠습니까?
야권에서는 지금 실제로 정말 가능하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까?
◀ 기자 ▶
물론 개표를 지켜봐야 알겠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쉬운 전망은 당연히 아닙니다.
공표 금지 기간 공개된 여론조사를 보면 조국혁신당은 목표로 잡은 비례 10석을 넘어 15석까지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있는데요.
그렇다 하더라도 200석은 민주당이 수십 곳의 경합 지역구에서 거의 모두 이겨야만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김부겸 민주당 상임 공동선대위원장도 "여당은 엄살이고, 야당은 지지자들의 분위기에 취한 것"이라며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진단했습니다.
야권에서 말하는 200석 관련 전망은 '정권심판론' 여론 확산을 위한 전략 또는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을 거부할 수 있다는 야권 지지층의 기대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 ▶
물론 내일 선거 결과를 봐야 알겠습니다만 여전히 민주당의 목표는 151석, 단독 과반 1당이라는 거죠?
그런데 민주당은 이미 지난 총선에서 위성정당을 더해 180석을 얻었단 말이죠.
그렇다면 이 정도를 가지고 이재명 대표의 이번 총선이 승리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까?
◀ 기자 ▶
"4년 전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게 민주당의 설명입니다.
여야의 위치가 바뀌었고요.
대통령실과 정부가 노골적으로 여당을 지원하는 상황에선 이것을 저지할 수 있는 특히 국회의장을 차지할 수 있는 '과반 의석의 1당'이 승패의 잣대라는 겁니다.
다만 여당이 반대하는 법안을 신속처리안건, 즉 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할 수 있는 180석을 범야권이 얻지 못한다면 4년 전 총선의 성적을 유지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고요.
만약 과반 의석 확보까지 실패한다면 공천 과정에서 불거졌던 민주당 내 계파 갈등이 다시 표면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앵커 ▶
총선 결과 관련해서 이재명 대표 입지까지 이어져서 이야기가 됐는데.
손 기자! 좀 섣부르긴 합니다만, 한동훈 위원장은 어떻습니까?
총선 전 여당의 구원투수로 등장했는데, 총선 후의 행보도 관심사 아니겠습니까?
총선 결과에 물론 좌우될 가능성이 커 보이긴 합니다?
◀ 기자 ▶
네, 한 위원장은 취임 초반에는 "4월 10일까지 완전히 소진되겠다, 이후의 삶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했습니다.
최근에는 "공적으로 공공선을 위해 살기로 결심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항간의 해외 유학설을 직접 반박하면서 정치 무대에 계속 있겠다는 걸 명확히 하고 있는데요.
선대위 관계자는 한 위원장이 결과와 무관하게 어떤 식으로든 역할을 하려 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만일 초접전 지역구를 다 이겨서 원내 1당이 된다면, 구원투수로 등장한 한 위원장은 명실상부한 대권 주자로 급부상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지금까지는 야권 우세라는 분석이 많은 상황이다 보니 결국 져도 얼마큼 지느냐에 따라서 행보가 달라질 거라고 당 관계자는 설명합니다.
◀ 앵커 ▶
결국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가 주목되지 않겠습니까?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총선 다음 날인 모레 아침부터 펼쳐질 당정 관계는 당장 국민의힘 출입 기자들이 가장 긴장을 하고 지켜보고 있는 부분입니다.
한 위원장은 선거 국면에서 이종섭·황상무 논란, 의정 갈등 등을 놓고 대통령실과 어느 정도 각을 세우면서 목소리를 내왔습니다.
때문에 총선 결과가 좋지 않으면 당정 사이에 책임 공방이 벌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반대로 여당의 목표대로 결과가 잘 나오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총선을 앞두고 노출됐던 이른바 윤-한 갈등이 아무 일 없었던 듯이 그냥 없던 일로 넘어가지는 않을 거란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어느 쪽이든 당정 간의 주도권 다툼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손하늘 기자, 김건휘 기자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