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불안
우리는 사람들에게 주목받거나 또는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데요. 이 때 긴장과 불안감이 올라오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반응이에요. 물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지요.
발표불안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현상이죠. 발표불안은 공개적으로 말하거나 특정 주제에 대해 발표할 때 불안감이나 긴장감을 경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발표자의 자신감을 흔들고, 발표를 준비하고 하는 동안 불안과 긴장을 초래할 수 있죠. 발표불안의 원인은 다양한데요.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느끼거나 자신의 발표 기술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발표불안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부정적인 자기염려는 자신의 역량에 대한 의심이나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어요. 발표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은 종종 자기염려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자기염려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나 불안감으로 특징지어지구요, 자기가 허용할 수 없는 실수를 저지를 것이라는 것에서 불안감을 느끼게 되죠. 이러한 부정적인 자기염려는 발표불안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어요.
발표불안과 부정적인 자기염려는 서로 악순환적인 관계를 형성합니다. 발표불안으로 인해 자기염려가 증가하면, 이는 발표에 대한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부정적인 생각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이러한 부정적인 생각은 더욱 더 발표불안을 강화시키고, 발표의 품질과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습니다. 이 악순환은 안타깝게도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됩니다.
발표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
1.충분한 준비로 자신감을 갖기 위해 노력한다.
발표불안을 줄이기 위해서는 발표를 위한 충분한 준비와 연습이 중요해요 이와 더불어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를 생각하고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2.자신의 실수를 허용하고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생각을 가져 보세요.
사람은 누구나 완벽하지 않죠. 자신에 대한 자비로운 태도를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이는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꿔줄 수 있답니다. 그리고 실제로 발표를 해 보는 경험을 통해서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3.발표 전에 긴장을 풀기 위해 몇 가지 심호흡이나 명상 기법을 활용합니다.
숨을 깊게 들이 마시고 천천히 내쉬는 것으로 자신의 몸에 대한 긴장을 풀어 줄 수 있으며 마음의 안정을 가져와 긴장과 불안을 낮춰줄 수 있습니다.
4.발표 연습을 합니다
주변 친구나 가족 앞에서 발표를 해보는 거예요 이렇게 하다보면 조금씩 불안감을 극복할 수 있어요. 또한 이렇게 연습을 하면서 발표에 대한 피드백을 받기도 하고 개선점을 찾아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게 될 수 있죠
5.심리상담센터를 방문합니다.
심리상담센터에서 심리검사를 해 보고 자신에 대해서 상담을 해 봄으로써 자신에 대해서 더 알아가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요. 왜 나는 극심한 발표불안이 있을까에 대해서 의문점을 가져 보세요. 그리고 상담을 통해 자신에 대해서 풀어간다면 좀 더 나은 삶이 눈앞에 펼쳐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초등 고학년 사회성 증진 집단 프로그램 종결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참고문헌
안다영외, 정서명명이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들의 발표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17. Vol. 17, No. 4, 533-545
박상민외, 성격요인과 발표능력의 관계에서 발표불안의 매개효과, 사고와 표현(2016), Vol.9,No.2
홍하나외. 부정적인 자기 속성에 대한 염려가 발표불안반응에 미치는 효과 : 발표관련 부
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15. Vol. 15, No. 3, 449-476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