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공포증이란?
공포증은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 혹은 개념에 대해 과도하고 지속적인 불안감을 강하게 느끼는 경우를 의미하며,
그 대상과 상황에 따라 특정공포증, 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으로 구분됩니다.
그 중 특정 공포증(Specific Phobia)이란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심한 공포를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범불안장애보다 불안과 두려움의 강도가 크고, 대상이나 상황이 한정되며, 회피행동을 유발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특정공포증의 증상 (DSM-5 기반)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굉장한 공포와 불안을 즉각적으로 경험합니다.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이러한 공포심이 울기, 떼쓰기, 칭얼거리기 등으로 표현될 수있습니다.
▶그러한 대상이나 상황을 회피하려고 하는 시도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공포와 회피반응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 사회적 활동에 방해를 받게 됩니다.
특정공포증의 종류
공포심을 느끼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특정공포증이 있는데,
DSM-5에서는 특정공포증의 종류를 크게 4가지로 구분합니다.
1) 동물형 (animal type)
뱀, 바퀴벌레, 거미 등과 같은 동물이나 곤충에게서 두려움을 느끼는 경우로 어린 아동기에 많이 나타납니다.
2) 자연환경형 (natural environment type)
높은 장소, 물, 천둥, 번개와 같이 자연에 대해 공포심을 느끼는 경우입니다.
3) 혈액-주사-상처형 (blood-injection-injury type)
주사나 상처를 입는 신체적 상해나 고통에 공포심을 느끼는 경우로 초등학교 아동기에 많이 발생합니다.
4) 상황형 (situational type)
비행기, 엘리베이터, 좁은 닫힌 공간 등을 두려워하는 경우로 20대 중반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정공포증의 치료
■체계적 둔감법 (systematic desencitization)
특정공포증 치료에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는 치료법으로,
환자가 이완된 상태에서 약한 공포자극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강도를 높여 강한 공포자극에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노출치료 (exposure therapy)
-실제적 노출법 (in vivo exposure) 실제 공포자극에 노출시키는 방법
-심상적 노출법 (imaginal exposure) 공포자극을 상상하게 하여 노출시키는 방법
-점진적 노출법 (graded exposure) 공포자극에 점진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
-홍수법 (flooding) 한번에 강한 공포자극에 직면시키는 방법
■참여적 모방학습법(participant modeling)
자신이 두려워하는 공포대상을 다른 사람이 불안을 느끼지 않고 아무렇지 않게 대하는 모습을 관찰함으로써 공포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접촉 둔감법(contact desensitization)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정신분석적 치료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특정공포증은 무의식적 갈등이 외부 대상으로 투사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합니다. 특정공포증을 치료하기 위해 특정 공포증 이면에 자리 잡고 있는 무의식적 갈등을 마주하고,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어린이 동산 2022년 03월호 새학기 증후군, 이렇게 극복하세요!
[상담후기] >> 새로운 환경에 경계심이 많고 불안했던 아동치료후기
[온라인상담하러가기]
*사진출처: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단솔
한국 아동 청소년 심리상담센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76길 7 4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