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조찬구 시인의 10번째 시집
“집”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에 대하여
거주와 마음, 관계에 대하여 들려준다
<출판사 서평>
조찬구 시인의 열 번째 시집<집 2>는 일반 서민이 가지고 있는 삶의 목적이자 목표를 상징하고 있지만 조금만 더 깊이 들어가 보면 “집”이 사는 “집”이 아니라 이번에 발간한 시집<집 2>를 명명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시집<집 2>의 전체 시편을 꼼꼼히 읽어보면 시집<집 2>와 생활하는 “집”은 서로 확실한 경계의 선을 그어 이쪽저쪽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서로 넘나드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조찬구 시인이 <집 2>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시 ‘집 2’에서 이야기하고 있듯이 평범한 이들이 꿈꾸는 ‘집’에 대한 꿈이자 환상이지만, 그 집이 지니고 있는 환상적인 갖가지 요소가 정말 환상적이 되기 위해서는 ‘밤낮으로 마누라 함께/가지치고 가꾸며/한 쌍 비익조 되어/오손도손 살아가리’라고 시의 말미에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말미는 일찍이 김소월이 <엄마야 누나야>에서 희망을 노래하면서 자신의 현 처지와 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듯이 조찬구 시인 역시 “집 2”에 등장하는 ‘집’을 갈망할 수밖에 없는 환경(마음)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김소월과 조찬구 시인이 다름 하지 않다는 것은 시집<집 2>에 수록되어 있는 ‘욕심 없이1~11’과 ‘아들 생각 1~8’에 이르면 더욱 확실해 진다.
<작가 소개>
·달성군 구지면 출생, 대구시 수성구 거주, 성지여자중학교 퇴임,
2008년 1월 한비문학 시 부문 신인상, 2008년 2월 한울문학 시 부문 신인상,
현 대구가톨릭 문인회 회원대구 문인협회 회원한국 문인협회 회원,
시집 ‘그날은’ 외 8권,
E-mail : gu5832@hanmail.net
<목차>
1부-영원히 꺼지지 않는
오지 않는 잠
청함 없이 맞고 보내는
칠월 초하룻날 오후 여섯 시경
입맞춤/감사할 일/저물 무렵/돼지털 기타/국어 현실/욕심 없이/재떨이/금왕심단/봉평메밀국수 가게/먹는다, 기타/꼴불견/한 우물 파기/희한한 일/목욕/집에서/욕심 없이 2/욕심 없이 3/이룬 일/칠월 초순/택배 하나/창살과 법정/생활 리듬/욕심 없이 4/
2부-파란 하늘에 걸린 흰 구름
소나무 푸르르고
파란 하늘에 걸린 흰 구름 아래
겹쳐진 능선 능선 욕심 없이 바라보네
길분식/제 위치에서/뿌리를 뽑는구나!/사과 깎아 먹기/집/집 2/욕심 없이 5/책장과 장롱/중요한 건 과정/의미, 무의미 넘어서며/배수진/임고서원에서/영가 결혼/배려/욕심 없이 6/욕심 없이 8/수입 다변화 요망/욕심 없이 9/욕심 없이 7/주님, 저의 피난처/79.12.12~80.5.18/
3부-무심한 마음결
들어도 듣지 못한 척
보아도 보지 않은 척
느껴도 느끼지 못한 척
욕심 없이 11/김 교수의 나날/이 교수/추억이야/한의원 진료/능소화 연가/욕심 없이 16-2/임 사장/관계 재정립/레인지 후드 교체/토요일에서 일요일로/안경/도시의 밤/복된 이/노래/은행나무
4부-용기 있고 용감한 대답
한 걸음 벗어남 없이
나란히 원앙 한 쌍으로
한 걸음 두 걸음 나아갑시다
말씀 읽기 이어지고/흡연/흡연 2/장보기/삼위일체 신비/한 곡조/현재 진행형/감사드리며/좋은 작품 요망/싸워야죠/아킬레스건/체육대회/바람 선선한데/진료, 주님은?/10.26
5부-가슴에 묻은 네 모습
너 가야 하는데
무어 그리 급하여
너 먼저 갔단 말이냐
‘이사야서’를 읽고/티비 리모컨/습관 차이/멸망과 번영/묶음 사진 기타
/에제키엘서 중반부/대구미술관/삼청교육대/아들 생각 3/아들 생각 4/아들 생각 5/아들 생각 6/아들 생각 7/자정지나/아들 생각 8/태풍 속 나들잇길/쓰여지길 기다리는 여분 여분들/이명현상/운행/생활비 기타/벽걸이 장식품 하나/컴퓨터 책상/낙은/데스크탑 수리
6부-미소 안으로 간직한
욕심 내려놓으며
남들이야 뭐라든 신경 끄고
생각 흐르는 대로
정호용 장군/노태우 전 대통령/전두환 전 대통령/논산훈련소/아킬레스건 2/아킬레스건 3/그물망/썩은 개XX물/시와 정치/나무 한 그루/말씀 요약/접시꽃 꽃잎에 실어/한 작품/정형외과 진료/치자 꽃 한 송이/암반수 작품/열쇠 소동/정형외과 진료 2
*작품해설_김영태
<작품 소개>
애비, 애미 가고 난 뒤
너 가야 하는데
무어 그리 급하여
너 먼저 갔단 말이냐
네 사놓은 식탁
의자에 앉아
네 애비, 애미 삼시 세끼
식사하고
네 내게 사준 은단 두
통 남아있고
너 쓰라고 사놓은 노트북
그대로 있는데
네 좋아하던 프로야구
여전히 성황리에 치러지고
네 사놓은 정장 한 벌
좋은 겨울옷 예닐곱
네 사놓은 장롱 속
걸려있는데
무어 그리 급하여
못난 애비, 애미 앞질러
이 세상 좋은 거 다 마다하고
홀로 먼저 먼 길 떠났단 말이냐
가슴에 묻은 네 모습
내 휴대폰, 지갑,
액자 속 고요한데
-아들 생각 4-
지하 1층 지상 2층
총평수 150평에 건평 50평
거실 천장은 유리창으로
100평 앞뜰엔
공작새 2마리
새장엔 파랑새 한 쌍
연못에는 자유로이 유영하는
잉어 잉어 떼
하얀 진돗개 두 마리
잉잉거리는 꿀벌통 대여섯 개
붙어있는 200평 텃밭엔
사과나무 홍매실 복숭아
라일락 무화과 앵두나무
감나무 명자나무 시비 1개
상추 고추 호박 가지
오이 도라지 열무 심어
밤낮으로 마누라 함께
가지 치고 가꾸며
한 쌍 비익조 되어
오손도손 살아가리
-집 2-
지저귀는 새소리 감사할 일
맘 편히 잘 수 있는 일
홀로 걷는 새벽 산책
내리고 내리는 빗줄기 고마운 일
싱그러운 회양나무 측백
배롱나무 무궁화 은행나무
느티나무 감사할 일
동료와 주고받는 사진 동영상
가마솥더위 시원히
불어오는 바람 바람
"말씀" 읽고 되새겨 생각하는 일
감사할 일
돈나무 새 가지 돋아나는 일
고무나무 새잎 뻗어나는 일
울릉도 바위틈
보랏빛 줄기 뻗어가는 일
내자 함께 사과 깎아 먹는 일
싱그러이 지저귀는 새소리
감사할 일
-감사할 일-
관계 재정립
순수했던 시절 남기고
때 묻은 세월 과감히 잘라
쓰레기통에 던져버리고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관계 재정립
받은 사진 한 장 그 누구와 공유한 적 없고
인터넷에 올리지 않았네
허나, 손수건엔 얼룩이 지고
관계 재정립 오늘부터 새로이
한 걸음 두 걸음 이루어지네
-관계 재정립-
연속극은 이어지고
피곤한 몸 눈은 감기는데
이리저리 날아다니는 날파리
여기저기 옮겨 다니는 모기
잠드는 시간 가까워오고
아파트 건물 밖
바람도 잠을 자고
간간이 불 밝힌 유리창 유리창
이중조명 아래 흐르고 흐르는
행과 행
왼손 앉은 날파리 서넛
저승길 보내고
집 밖엔 일찍 나온
귀뚜라미 귀뚜라미
서너 마리 고양이
자정 지나 움직이네
연속극은 이어 이어지고
피곤한 몸과 마음
눈은 감기고 또 감기네
-자정 지나-
<작품 해설>
집이 가진 유한성과 환상에 대한 고찰에 붙여
김영태(시인·전_한국문학비평가협회 부회장)
조찬구 시인의 열 번째 시집<집 2>는 일반 서민이 가지고 있는 삶의 목적이자 목표를 상징하고 있지만 조금만 더 깊이 들어가 보면 “집”이 사는 “집”이 아니라 이번에 발간한 시집<집 2>를 명명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시집<집 2>의 전체 시편을 꼼꼼히 읽어보면 시집<집 2>와 생활하는 “집”은 서로 확실한 경계의 선을 그어 이쪽저쪽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서로 넘나드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조찬구 시인이 <집 2>에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시 ‘집 2’에서 이야기하고 있듯이 평범한 이들이 꿈꾸는 ‘집’에 대한 꿈이자 환상이지만, 그 집이 지니고 있는 환상적인 갖가지 요소가 정말 환상적이 되기 위해서는 ‘밤낮으로 마누라 함께/가지치고 가꾸며/한 쌍 비익조 되어/오손도손 살아가리’라고 시의 말미에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말미는 일찍이 김소월이 <엄마야 누나야>에서 희망을 노래하면서 자신의 현 처지와 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듯이 조찬구 시인 역시 “집 2”에 등장하는 ‘집’을 갈망할 수밖에 없는 환경(마음)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김소월과 조찬구 시인이 다름 하지 않다는 것은 시집<집 2>에 수록되어 있는 ‘욕심 없이1~11’과 ‘아들 생각 1~8’에 이르면 더욱 확실해 진다.
애비, 애미 가고 난 뒤
너 가야 하는데
무어 그리 급하여
너 먼저 갔단 말이냐
네 사놓은 식탁
의자에 앉아
네 애비, 애미 삼시 세끼
식사하고
네 내게 사준 은단 두
통 남아있고
너 쓰라고 사놓은 노트북
그대로 있는데
네 좋아하던 프로야구
여전히 성황리에 치러지고
네 사놓은 정장 한 벌
좋은 겨울옷 예닐곱
네 사놓은 장롱 속
걸려있는데
무어 그리 급하여
못난 애비, 애미 앞질러
이 세상 좋은 거 다 마다하고
홀로 먼저 먼 길 떠났단 말이냐
가슴에 묻은 네 모습
내 휴대폰, 지갑,
액자 속 고요한데
-아들 생각 4-전문
여기에 이르면 조찬구 시인이 밝히고 있는 <집 2>는 기거하기 위한 집을 명명하는 것만이 아니라는 확신을 가지게 된다. 조찬구 시인의 ‘집’은 <집 2>에서 밝히고 있는 크고 좋은 집은 “한 쌍 비익조 되어” 화목하게 지낼 수 있는 곳, 다시 말해 자신의 마음을 풀어 놓고 웃을 수 있는 곳이자, 가족이 모여 기대며 살아가는 곳이다. 집은 세상에서 유일하게 경계심을 풀고 적대감 없는 구성원이 모여 살아가는 곳으로 현대인에게는 유토피아 같은 곳이 되어야 한다. 이것을 조찬구 시인은 <집 2>에서 “지하 1층 지상 2층/총평수 150평에 건평 50평/거실 천장은 유리창으로/100평 앞뜰엔/공작새 2마리/새장엔 파랑새 한 쌍”이 있는 곳이라고 하였다.
김소월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밤낮으로 마누라 함께/가지치고 가꾸며)/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랫빛,(100평 앞뜰엔/공작새 2마리/새장엔 파랑새 한 쌍)/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붙어있는 200평 텃밭엔/사과나무 홍매실 복숭아/라일락 무화과 앵두나무)’ 이렇게 두 시인은 –가족, 집, 환경-을 통하여 마음을 텍스트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보여주는 마음에는 안타까움과 슬픔 그리고 절망적인 것을 승화하여 ‘집’이 가지고 있는 유토피아를 이루겠다는 용기와 열망을 자신에게 다짐하고 있는 것에 다름 아니다.
지하 1층 지상 2층
총평수 150평에 건평 50평
거실 천장은 유리창으로
100평 앞뜰엔
공작새 2마리
새장엔 파랑새 한 쌍
연못에는 자유로이 유영하는
잉어 잉어 떼
하얀 진돗개 두 마리
잉잉거리는 꿀벌통 대여섯 개
붙어있는 200평 텃밭엔
사과나무 홍매실 복숭아
라일락 무화과 앵두나무
감나무 명자나무 시비 1개
상추 고추 호박 가지
오이 도라지 열무 심어
밤낮으로 마누라 함께
가지 치고 가꾸며
한 쌍 비익조 되어
오손도손 살아가리
-집 2- 전문
시의 텍스트는 언어가 가지는 본래의 목적을 뛰어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언어의 의미는 소통이 우선이지만 시의 텍스트는 언어 속에 의미를 담은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조찬구 시인이 <집 2>라고 단순히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 텍스트에는 김소월의 ‘엄마야 누나야’와 같이 풍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 풍경은 결국 <마음의 집>으로 조찬구 시인의 시집 <집 2>는 조찬구 시인의 마음의 집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조찬구 시인은 열 번째 시집 <집 2>에 크고 많은 슬픔 또는 소소한 일상과 잔잔한 기쁨과 설렘이 삐뚤거나 모났거나 바르거나 구분 없이 단단하게 한 자리씩 주어 정감 어린 돌담으로 쌓고, 조찬구 시인의 마음으로 녹색의 정원을 가꾸어 놓았다. 결국, <집 2>는 실존하는 집이라기보다는 조찬구 시인의 이상향이 만들어 놓은 마음의 집이다.
조찬구 시인의 <집 2>에 들어서면 화남이 화남으로 상쇄되고, 슬픔이 슬픔으로 옅어지고, 기쁨이 기쁨으로 더욱 커져 스스로 얽매였던 것에서 해방되고 주저앉았던 것을 박차고 도약하게 하는 화해와 해방의 마음 집을 만나게 된다.
어느 날 답답하고 슬픈 것들이 찾아올 때 <집 2>의 돌담을 바라보며 녹색의 정원을 거닐다 보면 담담하고 고요한 손길이 어루만져 주고 달래줄 것이라 독자에게 일독을 권한다.
지저귀는 새소리 감사할 일
맘 편히 잘 수 있는 일
홀로 걷는 새벽 산책
내리고 내리는 빗줄기 고마운 일
싱그러운 회양나무 측백
배롱나무 무궁화 은행나무
느티나무 감사할 일
동료와 주고받는 사진 동영상
가마솥더위 시원히
불어오는 바람 바람
"말씀" 읽고 되새겨 생각하는 일
감사할 일
돈나무 새 가지 돋아나는 일
고무나무 새잎 뻗어나는 일
울릉도 바위틈
보랏빛 줄기 뻗어가는 일
내자 함께 사과 깎아 먹는 일
싱그러이 지저귀는 새소리
감사할 일
-감사할 일-전문
분류 : 문학>시/에세이
제목 : 집 2
지은이 : 조찬구
출판사 : 한비출판사
출판일 : 2019. 8. 27일
페이지 : 166
값 : 10,000
제재 : 반양장 길이_210 넓이_130 두께_10
ISBN : 9791164870035 04810
9788993214147(세트)
|
첫댓글 시인님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