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보문학카페> '등단 시인방'에는 김병환 시인의 시가 올랐다.
행 복
내가 댓글 달았고, 퍼서 '세상사는 이야기방'에 올려서 내 글감으로 삼는다.
내 댓글 :
대나무 꽃을 아시는군요.
조릿대는 5년, 왕대 · 솜대는 60년을 주기로 피는데, 대개 꽃이 피면 모죽(母竹)은 말라죽게 되고 대밭은 망한다.
개화로 땅속줄기의 양분이 소모되어 다음해 발육되어야 할 죽아(竹芽)의 약 90%가 썩어버린다.
나머지 10%만이 회복되므로 개화 후에는 대밭을 갱신하여야 한다.
최근 한국의 정치현상을 잘 나타냈군요.
경기도 연평도 일대에 함포사격훈련을 개시했기에 무기제조업자, 탄약공급업자 등은 신이 나겠군요
그게 다 돈벌이가 되니까요.
국방안보관련기관의 고위직들은 일거리가 생겨서 시간외 수당도 듬뿍 받고, 일하는 체해서 포상받고....
최전방의 계급 낮은 장교와 병사들은 덜덜덜하고.
자칫하면 국지전쟁으로 인하여 살상될 수 있지요.
어떤 정치가들은 안보위기를 빌미삼아서 정권에 활용하고.
정치외교학, 국방, 무기가 무엇인지를 알 것 같은 사람한테는 작금의 상태는 한심한 수준이지요.
북·러협상으로 러시아가 남한에 성깔부리면 어쩌지요?
남·러협상을 기대해야 되는데....
술이나 마셔야겠지요. 부어라, 마셔라, 폭싹 취해서 만사를 다 잊자꾸나 .... 헬롱 헬롱거리면서....
김병환 시인의 덧글 :
술 한잔도 못 하시면서
독한 술 진땅먹고 세상을 보셔야 이해가 갑니다
대나무꽃
사진은 인터넷으로 검색했다.
용서해 주실 게다.
사진에 마우스를 대고 누르면 사진이 크게 보인다.
꽃이 피면 대나무 뿌리는 90% 죽고, 10%정도가 살아남을 수 있다.
충남 보령시 웅천읍 구룡리 화망마을에 있는 내 시골집 뒷편 윗밭에는 왕대나무, 시누대대나무밭이 있다.
산자락을 파서 집을 지었기에 산자락이 있는 뒷켠에는 울타리용으로 참죽나무, 시누대나무, 왕대나무 등이 있었다.
왕대나무가 자꾸만 번지고, 이웃집 사람도 몰래 들락거려 울안에서 쌀 등을 훔쳐가는 게 못마땅해서 어머니는 업자를 불러서 철근옹벽을 쳤다. 더 이상 왕대나무뿌리는 뒤켠으로 넘어오지 않는다.
또한 내가 포클레인 업자를 불러서 왕대나무뿌리를 모조리 캤다.
아쉽게도 위밭 경계선 끝자락은 황씨네 집 울타리.
그 집에서 울타리용으로 심은 왕대나무뿌리가 자꾸만 번져서 내 텃밭으로 내려온다.
또한 아래집 조씨네 울타리용 시누대가 내 땅인 담부리밭에 자꾸만 번진다.
키가 13m쯤 되는 왕대나무, 키가 2~3m 시누대가 또 자꾸만 번져서 내려온다.
포클레인으로 모조리 캐냈던 위밭은 또 대나무-밭으로 변해버렸다.
내가 정년퇴직한 뒤 시골로 내려가서 늙은 어머니와 둘이서 살면서 텃밭을 가꿨으나.....어머니가 극노인이 되어 서울아산병원을 거쳐서 보령아산병원 중환자실로 입원한 뒤로는 나는 텃밭가꾸기를 포기한 채 병원 침대에 누운 어머니 곁에서 맴돌았다.
2015년 2월 25일 밤 11시 15분에 세상을 등진 어머니.
2월 27일 아침에 상여로 운구하여 웅천읍 구룡리와 죽청리 경계에 있는 서낭당(서낭댕이) 앞산 아버지 무덤 한 자락을 파서 어머니의 시신을 합장하고는 그참 서울로 되올라온 나.
어머니의 병원 입원, 초상, 초상을 치루면서 텃밭농사를 완전히 포기했다. 더욱이 나 혼자서 시골집에 남아서 살기가 뭐해서 서울로 되올라왔다. 이런저런 이유로 농사를 포기한 지가 만10년을 넘었다.
주인이 없는 텃밭이 되었기에 이웃집 황씨네 작은집과 큰집 울타리용 왕대나무가 자꾸만 번져서, 퍼서 내 윗밭 한 자락을 또다시 뒤엎고 있다.
나는 대나무꽃을 보았다.
내 시골집에서 50m 떨어진 아랫집 조씨네 뒤켠 울타리로 친 시누대에서 대꽃이 피는 것을 보았다.
모조리 다 죽었다고 여겼던 시누대에서 다시 새뿌리 , 새순이 올라와서 몇 년 뒤에는 예전의 모습대로 원상복귀하였다.
키가 13m 이상의 왕대나무는 실용성이 무척이나 많고, 키가 2 ~3m의 시누대도 그런대로 실용성이 있다.
시누대를 잘라서 끈으로 묶으면 대나무 빗자루를 만들 수 있다. 바깥마당, 시멘트 마을안길을 쓸기에는 아주 적합하다.
....
수십년 전.
읍내 사람은 트럭으로 왕대나무를 실어갔다.
어머니는 대나무를 팔아서 용돈도 하시고....
위 김병환 시인의 시에서 나는 내 시골집 주변을 떠올린다.
나중에 보탠다.
잠시라도 쉬자.
첫댓글 대나무에 대한 상식을 많이 배웠네요
고맙습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대나무는 실용성이 무척이나 많지요.
특히나 굵기가 제법 굵은 왕대나무로 바지랑대를 만들고., 대나무를 잘게 뽀개서 채반 등을 만들고....
저는 양 팔뚝길이만큼 잘라서 검도를 했지요. 대전 경찰서 무도장에서 검도를 조금 배웠기에 죽도로 활용했지요.
늙어 등허리뼈가 굽어진 지금에는
서울 제 방안에서 왕대나무로 등허리뼈를 펴는 운동 도구로 활용하지요.
제 시골마을에는 '맹죽'은 없습니다. 대나무 굵기가 무척이나 큰 맹죽의 뿌리를 구입해서 심어, 번식시키고 싶지요.
맹죽을 마딜로 잘라서 큰 통으로 활용할 수 있으니까요.
늦가을철 김장을 함 뒤에 대나무 잎사귀를 김장통에 넣어두면 김치가 덜 쉰다고 하지요.
멋도 훨씬 낫지요. 시크름한 김치맛이 또 그립습니다.
멩죽, 오죽, 왕대나무, 시누대, 조릿대, 산죽 등 종류가 많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