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탄력성 예시는 탄력성 공식으로 다 이해가 되는데 위 두 사진은 A,B 사이에 저런 관계가 어떻게 나오는지 잘 이해가 안돼서 질문드립니다.
첫댓글 위의 경우는 소비점이 '수요곡선 전체를 1로 봤을 때' 같은 비율의 점에서 선택되었기 때문에 탄력성이 같아요. 공급탄력성의 경우는 그래프로 해석이 어렵습니다.그래서 두 가지 경우 수식을 설정하면 되지 않나요?수요곡선의 경우도 세로 절편 동일한 우하향하는 직선을 미지수로 가정하여 도출하면 됩니다. 공급곡선도 그렇게 하면 되지 않나요? 저에게 무엇을 질문하신 것인지요?
첫댓글 위의 경우는 소비점이 '수요곡선 전체를 1로 봤을 때' 같은 비율의 점에서 선택되었기 때문에 탄력성이 같아요. 공급탄력성의 경우는 그래프로 해석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두 가지 경우 수식을 설정하면 되지 않나요?
수요곡선의 경우도 세로 절편 동일한 우하향하는 직선을 미지수로 가정하여 도출하면 됩니다. 공급곡선도 그렇게 하면 되지 않나요? 저에게 무엇을 질문하신 것인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