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ne를 추가하면 여러 개의 도메인 명을 사용할 수 있다.
BIND에서는 한 개 서버에 여러 개의 도메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KNIC이나 INTERNIC등으로 신청하고 도메인을 취득한 후 BIND에 여러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다.
단 OCN등의 서비스로 세컨더리 DNS서버를 프로바이더로 준비해서 받고 있는 경우 두 번째 이후의 도메인에 대해서는 세컨더리 DNS서버를 준비해서 받을 수 없다.
그래서 세컨더리 DNS서버를 스스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è zone를 늘려서 도메인의 정의를 정의해도 외부에서 참조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도메인을 취득했을 때와 같이 KR도메인의 경우는 KNIC, COM 도메인의 경우는 INTERNIC등으로 바르게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Study.co.kr 도메인 설정]
Primary DNS서버
IP 주소 – 210.118.158.2
호스트 명 – server.study.co.kr
secondary DNS서버
IP 주소 – 210.118.158.3
호스트 명 – dokgo.study.co.kr
[Study.or.kr 도메인 설정]
Primary DNS서버
IP 주소 – 210.118.158.2
호스트 명 – server.study.or.kr
secondary DNS서버
IP 주소 – 210.118.158.3
호스트 명 – dokgo.study.co.kr
[Primary DNS서버 설정]
cd /etc
vi named.conf
====================================================================
//
// /etc/named.conf – study
//
è secondary DNS서버로 하는 호스트의 IP주소 입력
options {
directory “/etc/namedb” è BIND 설정 파일을 두는 디렉토리
allow-transfer {
202.30.143.11;
210.118.158.3; è 세컨더리 DNS서버의 IP 주소
};
};
zone “158.118.210.in-addr.arpa” {
type master;
file “study.or.kr.rev”;
};
è 다시 한번 도메인 존 정보를 입력
zone “study.or.kr” { è zone 정의 파일의 이름을 입력한다.
type master; è master는 프라이머리 DNS서버인 것을 표시
file “study.or.kr”; è 역 추출 존에 대해서는 설정하지 않는다.
};
=============================================================
[zone 설정 파일 작성]
cd namedb
cp study.co.kr study.or.kr
vi study.or.kr
è 호스트 명의 마지막에 반드시 .을 붙인다.
===================================================================
;;
;; template - study
;; è zone 전체에 관계되는 데이터를 정의하고 @는 zone의 이름을 생략한 형식
@ IN SOA server.study.co.kr. postmaster.study.co.kr. {
2000021101 ; Serial no (yyyy/mm/dd/nn)
3600 ; Refresh after 1 hour
1800 ; Retry after 30 minutes
604800 ; Expire after 1 week
7200 ) ; Minimum TTL of 2 hours
;;
;; define names for study.or.kr
;;
router IN CNAME router.study.co.kr.
server IN CNAME sever.study.co.kr.
ns2 IN CNAME ns2.study.co.kr.
A레코드를 모두 CNAME에 변경하고, MX레코드를 제거한다.
Study.or.kr에 이들 서버는 없기 때문에 CNAME을 사용해서 실존하는 study.co.kr의 서버를 이용한다.
ndc reload è ndc 명령어는 BIND에 새로운 설정을 불러들인다.
nslookup www.study.or.kr. è IP 주소 검색(마지막에 반드시 .을 붙인다.)
자신의 호스트를 외부 DNS서버를 사용해서 확인한다. (마지막에 반드시 .을 붙인다.)
nslookup www.study.or.kr. ns.shinbiro.com.
일반적으로 도메인에는 두 가지의 역할이 있습니다.
한 가지는 호스트 명을 할당하는 역할, 다른 한 가지는 IP주소를 할당하는 역할입니다.
여기서는 study.or.kr은 IP주소 할당을 하지 않고 호스트 명만을 할당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도메인 구성을 하고 study.co.kr 기기에 할당되어진 IP주소의 별명으로써 study.co.kr의 이름이 붙는 것이 됩니다.
그래서 study.co.kr에서는 정 추출zone밖에 정의하고 있지 않습니다.
IP주소를 할당 받는 것보다 도메인 명을 취득하는 편이 비용면에서 저렴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해서 IP주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합니다.
[secondary DNS서버 설정]
자신의 컴퓨터를 study.co.kr과 study.or.kr세컨더리 DNS서버로 설정한다.
cd namedb
vi named.conf
==========================================================
// secondary
//
è study.co.kr의 정 추출 zone의 설정
zone “study.co.kr” { è study.co.kr의 정 추출 zone명을 입력한다.
type slave; è slave는 세컨더리 DNS서버를 의미
file “study.co.kr”; è 프라이머리 DNS서버로 있는 정 추출 zone설정 파일의 파일명을 입력한다.
masters {
210.118.158.2; è 프라이머리 DNS서버 IP 주소를 입력
};
};
è study.co.kr의 역 추출 zone의 설정
zone “158.118.210.in-addr.arpa” {
type slave;
file “study.co.kr.rev”;
masters {
210.118.158.2;
};
};
è study.or.kr의 정 추출 zone의 설정
zone “study.or.kr” {
type slave;
file “study.or.kr”;
masters {
210.118.158.2;
};
};
====================================================
ndc reload è BIND 재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