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산 寒山 습득 拾得 풍간 豊干
목우 牧牛을 통해 깨친 본래 진면목 일화 화합이선 和合二仙 한산 寒山과 습득 拾得은 도반으로 우정을 나눠던 지음지기 知音知己 였다.
국청사 國淸寺 경내에는 다른 사찰에서 보기 힘든 기이한 풍경 하나가 있는데 그것은 경내에 소들이 자유 자재로 출입하고 다니는 것이다.
이 소들은 원래 국청사에 속한 농경지를 경작하기 위해 경내에서 기른 것으로 알려 지지만 근대에 중국이 공산화가 되어 토지가 국유화가 되었을 때도 변함 없이 경내에서 소를 길렀다고 하니 단순히 농경지를 경작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 또 다른 사연이 전해오기 때문이라 한다.
즉 당 唐 나라 때 국청사에서 온갖 허드렛 일을 하던 습득 拾得이 국청사 부근에서 소를 몰고 다녔는데 하루는 법당 문에 기대어 스님이 설법하고 있는 것을 듣고는 말하길 흥 한가하게 머리를 맞대고 뭐하고 있는가 라고 호통을 쳤다.
이에 놀란 스님이 미치광이 부목 처사가 무슨 일로 무상 법문을 방해 하는가 라고 했다.
습득 拾得이 손을 어루만 지면서 깔깔대고 웃으면서 말하길 당신들은 지금 내가 몰고 다니고 있는 이 소들을 몰라 보겠는가 이 소들도 본디 당신들 같은 화상 출신으로 공짜 시주 밥을 먹고 요란법석 거드름을 피우더니 이 꼴이 되었다네 하고는 몰던 소들을 가리 키면서 과거에 원적했던 한 유명한 스님의 명호를 부르니 과연 한 소가 음매 하면서 앞으로 나와 서글픈 눈빛으로 스님과 대중들을 쳐다보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어서 또 다른 스님의 명호도 거명하니 그 때마다 한 마리씩 음매 하면서 앞으로 나오는 것이었다.
이에 모골이 송연해진 대중 스님들이 습득 拾得은 보살의 화신으로 여기게 되었고 그 후부터 경내에 소들이 출입하는 것을 막지 않았다고 한다.
물론 이 고사는 전설 이지만 불가에서 목우 牧牛나 심우 尋牛을 통해 본래 진면목을 찾으려는 의미를 되새겨 본다면 그리 황당 무계한 일로 치부할 것은 아니다.
아무튼 다시 한번 국청사 경내에 출입하는 소들을 유심히 바라 보면서 습득 拾得과 한산 寒山이 국청사에서 소주 蘇州의 한산사 寒山寺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는지 그 까닭을 알아보게 되었다.
즉 월주 越州에 살던 왕 汪씨 성을 지닌 과부가 부용 芙蓉 이라는 딸 하나를 데리고 국청사에서 요양하고 있었는데 임종 전에 딸에게 당부 하기를 스님들과 결혼을 할 수 없으니 한산 寒山과 습득 拾得 처사 중에 한 분을 선택하여 평생을 의탁 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이에 부용은 한산 寒山과 습득 拾得과 각별히 유지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자신과 나이가 비슷한 습득 拾得을 점찍어 두고 은근한 정을 주고 있었다.
어느 날 한산 寒山이 습득 拾得의 거처를 지나 가다가 부용과 습득 拾得이 서로 정겹게 밀담을 나누고 있는 것을 엿듣고는 한탄 하면서 앞 마당에다 서로 불러 놓고.
맑은 강속에 핀 부용을 따려 했다네.
즐거운 놀이에 해 저문 줄 모르다가
거친 바람에 일렁이게 되었다네.
원앙새는 물결 따라 흘러 내리고
계척새는 물굽이에 흔들려 노는 법이네.
내 이제 배에 맡겨 노질을 그치고 하니,
무언가 호탕한 정 情 거둘 길 없다네 라는 알쏭 달쏭한 시 한 수를 적어두고 소주 蘇州의 한 사찰로 출가해 버렸다.
나중에 습득 拾得은 마당에 써 놓은 시를 보고 한산 寒山이 자신과 부용의 결합을 바라고 국청사를 떠난 것을 알고는 부용과 남매 지간의 의리만 맺고 한산 寒山을 찾아 나서게 되었다.
얼마 후 습득 拾得은 천신만고 끝에 소주의 한 사찰에서 한산
과 비슷한 사람이 출가 했음을 알아 냈는데 불현듯 한산 寒山이 국청사 앞마당에 써놓은 시 구절이 생각나 부근 강에서 부용처럼 예쁜 연꽃인 하 荷 한 잎을 따 가지고 찾아갔고 한산 寒山은 먼 길을 무릅쓰고 자신을 찾아온 습득 拾得을 위해 도시락인 합 盒 하나를 마련해서 상봉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두 처사는 다시 예전처럼 세상에 둘도 없이 친한 도반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는데 세간에선 당시 이들 다정한 모습을 보고 화합이성 和合二聖 화합이선 和合二仙 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 까닭은 중국어로 한산 寒山이 들고 나온 도시락인 합 盒 자는 화 和 자와 습득 拾得이 들고 온 연꽃인 하 荷 자는 合 자와 같은 음이기 때문이라 하는데 지금 까지도 남녀 지간이나 벗 지간 친척 지간이 서로 진심으로 화합을 기원할 때면 이들의 고사를 떠올리고 소원을 빌고 있다.
당시 이들이 상봉했던 곳은 남북조 시대인 양 梁 나라 때에 세워진 묘리보명탑원 妙利普明塔院 이란 사찰로 남북으로 운하가 연결되는 고소성 姑蘇城의 강교 江橋와 풍교 楓橋 앞에 자리잡고 있다.
세간에선 한산 寒山이 한동안 거주 했다고 하여 한산사 寒山寺로 더 널리 알려지고 있다.
이 사찰을 더욱 유명하게 만든 것은 당시에 과거 시험에 번번이 낙방하고 실의에 빠져 한산사 부근에 머물렀던 장계 張繼 라는 백면 서생이 자신은 한산 寒山과 습득 拾得 처럼 세상에 알아주는 사람 하나 없다고 신세 타령으로 남긴 풍교야박 楓橋夜泊 이란 시 한 수 때문이다.
달은 지고 까마귀 울며 하늘에선 서리 마저 내리는데,
강풍교의 깜박이는 고깃배 등불을 마주하여 시름 속에 잔다네.
고소성 밖 한산사에서 야밤에 울리는 종소리만 나그네 탄 배를 닿는다네.
그러나 이 시로 말미암아 그토록 궁색했던 장계도 만인들의 동정을 얻어 일약 당대에서 제일 유명한 시인의 반열에 올라서 출세 가도를 달리게 되었고 또 한산사는 더욱 지음지기 知音知己들이 모이는 명소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부득이 한산 寒山 습득 拾得 풍간 豊干을 좀더 이야기 할수 있겠다.
국청사 공양실에는 과거 당나라때 한산 寒山 습득 拾得 풍간 豊干 세분이 도량을 맑히던 곳이다.
옛것이야 지금 흔적이 없지만 세분의 정신은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곳이다.
국청사 공양실 식당에는 판각으로 양피래처 量彼來處라 씌여 있다.
즉 이 음식 어디에서 왔는가 하고 질문한다.
내 자신이 이 음식을 즐거이 받아 먹을 자격이 되느냐고 반문한다.
농부의 농사 짓는 수고로움을 생각하며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음식 어디에서 왔는가 나의 덕행으로 받기 어렵네 마음에 온갖 욕심 다 버리고 이 몸을 치료하는 약으로 삼아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 받습니다.
도업이 무엇인가 신호등이 있는 사거리에서는 교통 사고의 위험 때문에 꼬리 물기를 하면 안되지만
불법의 진리를 탐구하는 데는 끝없는 의문 부호와 꼬리 물기가 있어야 한다.
기독교가 믿음의 종교라면 불교는 때달음의 종교 탐구의 종교 물음의 종교라 하지 않았는가.
선가의 화두 이뭣고?도 자신의 본질을 묻는 것이다.
도업은 수행이며 정진이다.
지극한 마음으로 수행을 해야 한다.
그것이 도업이다.
한산 寒山과 습득 拾得은 당나라 정관 연대에 살았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두 사람은 풍간 豊干선사 라고 하는 도인과 함께 국청사 國淸寺에 살고 있었는데 세상 사람들은 이들 세 사람을 국청사에 숨어사는 세 사람의 성자 라는 뜻으로 국청삼은 國淸三隱이라 하였다.
이들 세 사람을 모두 불보살의 화신이라 하며 풍간 豊干은 아미타불 화신 한산 寒山은 문수보살 화신 습득 拾得은 보현보살의 화신이라 한다.
그러나 그 시대의 사람들은 이들의 기이한 언행에만 관심을 두었지 이들이 불보살의 화신 인줄은 아무도 몰랐다고 한다.
한산 寒山은 국청사 뒤에 있는 한암 寒巖 이라는 굴속에서 살았으며 항상 다 해어진 옷을 입고 커다란 나막신을 덜덜 끌며 식사 때가 되면 국청사에 와서 대중들이 먹다 남은 밥찌끼나 나물들을 얻어 먹었다.
가끔씩 절 경내를 거닐기도 하고 하늘을 보고 소리 지르며 큰소리로 손뼉치고 웃기도 했다.
습득 拾得은 풍간 豊干 스님이 길에서 주워 왔다고 습득 拾得 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국청사 부엌에서 설거지를 하는 일을 하였다.
그러다가 남은 밥이나 나물이 있으면 소쿠리에 모아 두었다 한산 寒山에게 주곤 하였다.
그 시절 여구윤 이라는 사람이 그 고을 자사로 부임해 왔는데 부임한지 얼마 되지 않아 중병에 걸려 어떤 약을 써도 낳지 않고 백약이 무효하여 곧 죽게 되었다.
이를 안 풍간 豊干이 자사를 찾아가서 병세를 듣고 그릇에 깨끗한 물을 받아놓고 주문을 외우니 자사의 병은 씻은 듯이 낳아 버렸다.
자사가 깊이 감사하고 설법을 청하니 나보다 문수와 보현이 있으니 그들에게 청하여 보시오 하였다.
두 분 보살님은 어디 계시는 지요.
국청사 부엌에서 그릇을 씻고 불을 때는 한산 寒山과 습득 拾得이 바로 그 보살입니다.
자사는 예물을 갖고 국청사로 한산 寒山 습득 拾得을 찾아가니 한산 寒山과 습득 拾得은 화롯불을 쬐며 앉아 웃고 있었다.
자사가 그들 가까이 가서 절을 올리자 그들은 무턱대고 꾸짖기만 하였다.
옆에서 그것을 지켜보던 다른 스님들이 깜짝 놀라 대관께서 어찌하여 이 미치광이에게 절을 하십니까 하였다.
그러나 그 말에 아랑곳 하지 않고 한산 寒山은 풍간 豊干이 실없는 소리를 하였군.
풍간 豊干이 바로 아미타불인 줄 모르고 우리를 찾아오면 뭘 하나.
이 말을 남기고 한산 寒山은 뒷산 굴속으로 들어간 다음 다시는 절에 오는 일이 없었다.
습득 拾得도 뒤따라 가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여구윤은 성인을 만나고 서도 더 많은 법문을 들을 수 없었던 것을 못내 아쉬워 했다.
그리하여 숲 속 나뭇잎 이나 바위에 써 놓은 세분의 시를 모으니 모두 삼백 수나 되었다.
그 시 속에 세 분의 고결한 가르침이 잘 담겨 있었다.
한산 寒山 습득 拾得 이성 二聖 두 성인께서 이르시되,
강란시왈가가가 降亂時曰 可可可 어려움에 저 주면서 하하하 허허허 웃으며 살라 시네.
아약환안소번뇌 我若歡顔少煩惱 걱정 않고 웃는 얼굴 번뇌 적나니,
세간번뇌변환안 世間煩惱變歡顔 이 세상 근심일랑 웃는 얼굴로 바꾸라네.
위인번뇌종무재 爲人煩惱終無濟 사람들 근심 걱정 밑도 끝도 없나니,
대도환생환희간 大道還生歡喜間 큰 깨달음의 도는 기쁨 속에 꽃이 피네
국능환희군신합 國能歡喜君臣合 나라가 잘 되려면 군신이 화합하고
환희정중부자연 還喜庭中父子聯 집안이 좋으려면 부자간에 뜻이맞고
수족다환형수무 手足多歡刑樹茂 손발이 맞는 곳에 안 되는 일 하나없고,
부처능희금슬현 夫妻能喜琴瑟賢 부부간에 웃고 사니 금실이 좋을시고
주빈하재감무희 主賓何在堪無喜 주객이 서로 맞아 살맛이 절로나니,
상하정한혜유엄 上下情歡兮愈嚴 상하가 정다우며 기쁨 속에 위엄있네
가가가 呵呵呵 하하하 허허허 웃으며 살라시네.
한산 寒山 시 詩
이의기개벽 二儀旣開闢 하늘과 땅이 이미 열리어서,
인내거기중 人乃居其中 이에 사람들이 그 안에서 살아왔네.
미여즉토무 迷汝卽吐霧 안개를 토해서 너를 헤매게 하고,
성여즉취풍 醒汝卽吹風 바람을 불어서 너를 깨어나게 하며,
성여즉부귀 惜汝卽富貴 부귀를 주어서 너를 아끼게 하고,
탈여즉빈궁 奪汝卽貧窮 빈천을 주어서 너를 시달리게 하나니,
녹록군한자 碌碌群漢子 구차스레 허덕이는 모든 사람들아,
만사유천공 萬事由天公 만사는 모두 하늘에 있느니라.
한산 寒山 시 詩에 마음이 부처이니 마음 밖에서 찾지 말라는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불해심사량 不解審思量 깊이 헤아려 생각할 줄 모르고,
지도구불난 祗道求佛難 부처를 찾는 공부가 어렵다고 만 하네.
회심즉시불 廻心卽是佛 마음 한번 돌리면 곧 부처이니,
막향외두간 莫向外頭看 멀리 밖으로 구하지 말라.
한산 寒山 시 詩
삼계의 사람들 어지럽고 육도의 중생 허덕인다.
재물을 탐하고 음욕을 좋아해 그 마음 사납기 이리떼 같구나.
지옥가기 화살과 같으리니 그 긴 고통 어이 견디리,
자기 허물 볼줄 모르는 것이 우리속 돼지같고,
자기빚 갚을줄 모르고 맷돌가는 소를 비웃고 있구나.
한산 寒山 시 詩
나고 죽음 관계를 알고자 하면 물과 얼음 비유로 설명 하리라.
물이 얼면 곧 얼음 이루고 얼음 녹으면 도리어 물이 된다.
이미 죽었으면 반드시 날 것이요.
이미 났으면 반드시 죽으리니.
물과 얼음 서로 해치지 않는 것처럼 남과 죽음 모두 다 아름 다워라.
습득 拾得 시 詩
종래시습득 從來是拾得 나는 본래 주운 아이 였으니,
불시우연칭 不是偶然稱 내 이름이 습득 인것은 우연이 아니 올시다.
별무친권속 別無親眷屬 살붙이 하나없이 태어 났으니,
한산시아형 寒山是我兄 한산 그이가 내 형입니다.
양인심상사 兩人心相似 두 사람 마음이 서로 같나니,
수능순속정 誰能徇俗情 세속 정이야 어찌 여기 비하겠소,
약문연다소 若問年多少 만일 몇 살이냐고 물으면,
황하기도청 黃河幾度淸 황하 물이 몇 번이나 맑았더 냐고,
각유천진불 各有天眞佛 중생에게 각각의 천진 天眞한 부처님 있어,
호지위보왕 號之爲寶王 이름하여 보왕 寶王이라 하네.
주광일야조 珠光日夜照 그 보배 구슬의 광명은 밤낮으로 빛나,
현묘졸난량 玄妙卒難量 그윽하고 묘하기가 헤아릴 수가 없네.
풍간 豊干 시 詩
본래무일물 本來無一物 본래 하나의 물건도 없는 것인데,
역무진가불 亦無塵可拂 털어버릴 티끌 또한 어디 있는가,
약능료달차 若能了達此 만약에 이러함을 꿔 뚫어 깨닫는 다면,
불용좌올올 不用坐兀兀 꼼작 않고 앉아서 집중할 필요 없네.
[출처] 한산 寒山 습득 拾得 풍간 豊干|작성자 july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