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전자가위 모식도 -전자신문 제공)
세균은 천적 바이러스의 침입을 받으면, 바이러스 DNA를 잘게 자른 다음 그 조각을 자신의 유전체에 삽입해 둔다. 이를 크리스퍼라고 한다. 크리스퍼는 바이러스라는 과거의 나쁜 경험을 기억해 두었다가 이를 물리치는 세균의 면역체계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의 유전병은 DNA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정상 유전자 대신 비정상 유전자를 지니고 태어나기 때문에 후대에까지 유전되기도 한다. DNA를 자르는 역할은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가 유전자를 자른다고 해서 천연유전자가위란 말을 붙였다. 지금은 효소를 합성하는 기술이 1~2세대를 거쳐, 3세대는 크리스퍼가 등장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제작이 쉬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적게 들어 현재까지 개발된 유전자가위 기술 중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 구조가 단순해 세포 내로 쉽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지만, 시스템의 오작동에 대한 대비가 없으면 원하지 않는 부위를 자를 수 있는 단점도 있다. 기존 크리스퍼의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기술을 MIT 연구진이 개발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DNA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부분만 정확하게 잘라낼 수 있는 효소 단백질이다. 돌연변이가 일어난 DNA를 잘라내지 않고도 유전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방법을 개발했다. 일부 화학구조를 바꾸는 방법인데 인간 세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유전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돼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전망이다. 이 기술은 농작물의 기능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첫댓글 '
스퍼' 유전자 가위만 있으면 만사형통이네요 그럼 인간 
천갑자 동방석이가 될 날이 얼마 없네유 

과학은 끊임없이 진보하는 데 인간의 역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