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老人)은 없다]

흔히들 청춘은 꽃이라 한다. 그러나 그 푸른 세월은 그렇게 길지가 않다. 꽃은 금방 지고 꽃피던 시절도 끝나게 된다. 슬퍼할 것까지는 없다. 꽃이 그냥 지는 것이 아니라 열매를 맺고 지니까!
청춘을 구가하는 젊은이가 꽃이라면 그 다음 오는 장년은 열매의 계절이라 할만하다.
장년 동안 열심히 땀 흘려서 열매를 알차게 키우고 익혀야한다. 그 과정이 끝나면 비로소 노년이 찾아온다.
노년은 열매를 거두어들이는 수확의 계절이다. 따라서 노인은 다 익은 열매와 같고
스스로를 추수하는 사람이다. 자기를 추수하는 사람, 스스로를 추수하는 일, 얼마나 멋지고 근사한가!
비록 열매가 좀 부실하다 해도 중요하지 않다. 싹 트고 꽃 피우고 열매 맺고 거두어들이기까지 탯줄로부터 이어온 삶 자체가 경이로운 것이다.
노인들은 삶을 끝까지 살아온 사람이다. 삶의 과정이 어떠했던, 평생을 살아낸다는 것은 그리 쉽고 간단한 일이 아니다.
노인들이 감내해온 평생 속에는 온갖 번민과 수고와 눈물이 들어있어 그 무게는 세상만큼 무겁다.
그러므로 늙었다는 의미(意味)의 노인은 없다. 다만 노년이 있을 뿐이고 익었다는 의미의 숙인(熟人)이 있을 뿐이다.
그들의 머리를 덮은 은발(銀髮)은 생(生)의 훈장(勳章)으로 빛나 신(神)들도 그들을 알아보고 경의를 표하리라.
세상에는 자기를 이룬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루지 못한 사람도 있다. 그런가 하면 남을 이루게 함으로써
자신을 이루는 사람도 있다. 노인들이 잘할 수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그런 역할이다. 노년에 이른 사람은 나름대로 세상에 대한 이해와 경험으로 지혜를 쌓은 사람들이다.
그들의 경륜과 식견을 이웃과 나누며 사회에 환원한다면 커다란 봉사가 될 것이다.<박방희 詩人 著>
- 좋은 글 중에서 -

|
첫댓글
꽃들은 계절을 따라서 피고지고 하지만
우리네 사람인생은
태어나면서 부터 하얀 꽃으로 되기 까지는
수십년이 걸리니
그동안 피운 꽃 그리고 알알이 익어있는 마음은
그 무었에다가
비교를 하리요
그러네요
노인이 아니라
세월을 지나오면서 하나 하나 훈장을 만들어서 달아온
세월 꽃 ~~
오늘도 멋진 글 감사합니다
복사골 선생님 ^^
네, 그러하지요!
오랜 경험과 지혜로 사는 노인을
늙은 사람으로만 여길 수가 있겠는지요!
오늘은 어제보다 좀 더울거라는 예보가
있었지요! 건강 관리 잘 하시옵고 오늘
하루도 즐거운 시간과 행복하신 시간
보내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노년이 되면 그동안의 세상에 대한 이해와 경험으로 지혜를 쌓은 사람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상은 아름답고 살만하다며 너그러운 마음으로 이웃을 사랑하고 보살피며 베풀 줄 아는 어른스러움도 갖춰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본답니다. 오늘도 고운 말씀 고맙습니다. 더워진 날씨 건강관리 잘하시구요... 복사골 아저씨님!!!
네, 오후가 되니 날씨가 매우 덥군요!
이런 날씨에 친구가 맛난 거 사 줄테니 나오라고 해도
움직이지 않는 게 좋겠지요!
무더운 날씨에 건강 관리 잘 하시옵고 오후의 늦은 시간까지
행복한 시간 이어가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