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미스트와 브랜드 네이밍》 http://cafe.daum.net/namistbrand
----------------------------------------------------------------------------
성공창업을 위한 브랜드명 바로짓기 십계명 - 1, 2
창업을 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상호나 사명,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이름을 개발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좋은 이름을 짓기 위해 많은 노력과 시간을 기울이지만 쉽게 후보안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아무 이름이나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간판에 걸린 좋은 상호는 고객의 발길을 붙잡는 훌륭한 광고판의 역할을 하며, 좋은 상표는 10명의 영업사원 몫을 충분히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창업자나 중소기업 관계자들이 숙지하고 활용해야 할 전략 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10가지 가이드라인을 아래와 같이 제안해 드립니다.
1. 1, 2개의 컨셉으로 집중 표현.
2-5자의 짧은 브랜드 네임에 기능, 장점, 특징, 효익 등 너무 많은 메시지를 담거나 포괄적 의미를 담지말고 1개나 2개의 가장 극명한 컨셉이나 특성에 집중하여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품의 여러 속성이나 장점을 소비자들에게 소구하기 위해 너무 많은 메시지를 브랜드 네임에 담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략 3-5자의 짧은 브랜드 네임에 이를 다 표현한다는 것은 사실 불가능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등 많은 곳에서 포괄적 의미를 가지는 단어를 이용하여 브랜드 네이밍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으나, 너무 많은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동일한 단어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어 소비자의 관심 밖으로 벗어나기 쉽습니다.
또한, 그 제품만의 특성이나 컨셉을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할뿐더러, 이러한 포괄적 의미를 가지는 브랜드 네임은 한·두 가지의 극명한 컨셉을 표현한 브랜드 네임에 비해 소비자가 그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인자가 약해 인지시키기 위한 더욱 많은 예산과 활동을 요구하게 됩니다.
특히, 지속적인 광고 및 홍보를 집행하기 힘든 중소기업이라면, 제품을 잘 대변할 수 있는 중요 컨셉이나 다른 경쟁 브랜드들이 가지지 못하는 특성 1-2개를 선별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많은 토끼를 잡기에는 브랜드 네임이 너무 짧은 이유도 있지만, 중소기업의 경쟁력은 집중력이라는 원리가 브랜드 네이밍에도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명문제약의 붙이는 멀미약 '키미테'는 멀미약의 일반적 속성이나 포괄적 의미가 아닌 <귀밑에> 붙이는 자사 제품의 차별되는 속성 한가지를 한글 연음을 이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높은 소비자 인지를 끌어낼 수 있었던 좋은 사례라 볼 수 있습니다.
2. 소비자의 머리에 하나의 형상을 심을 수 있도록 표현.
추상적 개념의 모호한 자의적 표현보다는 제품의 컨셉이나 특성, 이미지를 바로 연상시킬 수 있는 연상적 표현이 소비자의 인지 및 회상을 도울 수 있어 유리합니다.
수많은 경쟁제품과 광고, 홍보자료들에 노출된 소비자들은 더 이상 기업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상표는 스쳐가는 의미없는 표시가 되기도 하는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광고나 홍보를 통해 브랜드로 인지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에서 많이 시행하며, 상표 그 자체로는 분명한 어떤 의미나 형상을 가지지 못해 소비자들이 인지하거나 회상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지속적인 광고 등 대외 활동을 통해 그 단점을 극복하고, 방해나 간섭없이 원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소비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차원에서 이해되고 수용되는 브랜드 네이밍 전략입니다.
그러나 마케팅 예산 및 활동의 제약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중소기업의 경우 위의 전략은 상당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광고 등의 마케팅 활동이 불가능한 위치라면 추상적 개념의 모호한 표현보다는 소비자의 머릿속이나 가슴에 이미지나 단어를 형상화시킬 수 있는 표현이 인지와 기억면에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형상화된 컨셉이나 이미지가 제품과의 높은 연계성, 연관성을 가진다면 제품과 브랜드명의 연상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후발주자로 생식시장에 뛰어든 농협의 생식 '풍경채'는 건강한 자연 먹거리라는 컨셉으로 개발되어 <자연 풍경>이라는 형상을 소비자의 머리에 강하게 담아낼 수 있어,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 및 회상을 크게 도와주는 표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네이미스트와 브랜드 네이밍》 http://cafe.daum.net/namistbrand
----------------------------------------------------------------------------
첫댓글 원본 게시글에 꼬리말 인사를 남깁니다.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