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과 바다, 초원을 만나다.. - 대관령 / 동해바다 기행 (2006년 5월 20일)'
'하편 ― 경포대 해수욕장 ~ 등명낙가사 ~ 묵호항'
*
익스플로어 새 창으로 보고자 할 경우 여기를 클릭바랍니다.
* 사진을 올린 웹 사이트의 점검 및 기타 사유로 인해 간혹
사진이 안뜨거나 늦게 뜰 수 있습니다.
* 본 글은 상, 하 2편으로 나누어 작성했습니다.
♠ 동해바다와의 만남.. ~ 명사오리(明沙五里)의 경포대(鏡浦臺) 해수욕장
동해바다를 보기 위해 높다란 백두대간(白頭大幹)을 훌쩍 뛰어 넘어,
영동(嶺東)의 오랜 중심지 강릉(江陵)을
찾았다.
강릉시내를 가로질러 초당 순두부의 고향인 초당을 지나 경포도립공원의 중심지인 경포대 해수욕장 부근에
수레를 세워 놓고, 무척이나 시장한 배를 채우기 위해 가까운 주막으로 들어가 초당순두부와 김치찌게 등으로
허기진 배를 달랜다.
배가 어느 정도 들어차면서, 다들 포만감의 행복에 빠져든다. 이때다 싶어 졸음이라는 녀석이
'배깔고 한숨
자고 가라'며 우리를 슬슬 희롱하지만, 푸르른 동대해(東大海)를 보러 여기까지 온 만큼, 그들의 희롱을
단호히 뿌리치며, 바다에 놀러온 어린 아이처럼 앞다투어 해수욕장으로 달려간다.
|
▲ 경포대 해수욕장의 끝없는 모래사장 |
|
▲ 평화로운 바닷가 풍경 |
|
▲
나를 향해 다가오는 바다 파도 |
|
▲ 바로 앞까지 파도는
밀려왔으나.. |
|
▲ 그러나 결국 나를 범하지 못하고 저 멀리 줄행랑을 치는 바다 파도.. |
|
▲ 심통이 났는지, 다시 나를 향해 물밀듯이 밀려오는 파도.. |
|
▲ 거품이 거의 없는 파란 바다.. |
|
▲ 바다 파도의 뽀송뽀송한 물거품.. ~
마치 생맥주의 거품처럼.. |
|
▲ 바다
파도와 모래와의 스킨쉽..
* 경포대 해수욕장 찾아가기 |
동해바다와의 약간의 스킨쉽을
즐기며 경포대 해수욕장에서 약 1시간을 그렇게 머물렀다.
해수욕 시즌이라면 더 찐한 스킨십을 즐길 수 있을텐데, 아직은 때가 이른지라..
시간은 어느덧 4시. 바로 서울으로 올라가기도 그렇고 해서, 어디 한군데 더 둘러보기로 했는데 문득 등명에
있는 '등명낙가사'가 생각이 난다. 그래서 그 곳으로 가자고 제안을 했지. 몸에 좋다는 약수가 있다고 하면서,
그러니 다들 ok. ~~
경포대 지구에는 해수욕장보다 더 중요한 경포호수와 경포대(鏡浦臺)가 있으나 이들 명소는 차창 밖으로 바라
보는 것으로 만족하고 그냥 통과했다. 어차피 2004년 이전에 지겹게들 가본 곳이라, 그냥 지나친들 후회될
것은 없다.
오죽헌(烏竹軒)을 지나 옛 동해고속도로를 타고 모전에서 동대해의 영원한 벗, 7번국도를 따라 남쪽으로 가니
또다시 푸르른 동대해가 우리를 맞이하고, '1996년 북한군 잠수함 침투지'를 지나 경포대 출발 30분 만에
등명낙가사 주차장에 도착했다.
♠ 동대해를 바라보고 있는 절집, 약수 물맛이 일품인.. ~ 등명낙가사(燈明洛伽寺)
![]() |
강릉에서 동대해를 벗삼으며 7번국도를 따라 동해 방면 |
이에 골머리를 썩고 있던 신라 정부는 부처의 힘으로 고구려를 막을 생각으로 자장법사로 하여금
부처 |
그 이후, 큰 사찰로 번성했을 것으로 생각되나 조선 중기에 |
![]() |
오랜
세월 절터만 덩그러니 남아오다가, 1956년 승려 경덕(景德)이 다시 절을 일으켜 세웠으며, 관음 |
♠ 등명낙가사(燈明洛伽寺)를 들어서며 ~
|
▲
낙가사 일주문(一柱門) |
|
▲
하얀 피부가 돋보이는 귀부(龜趺)와 이수(螭首) |
♠ 낙가사 약수를 마시다 ~
|
|
▲
낙가사 약수 |
|
|
|
▲ 등명감로약수 표석 ~ 누렁이 1마리가 특별 출현을 하였다.. |
|
![]() |
◀ 정병을 들고 서 있는
관음보살상 |
|
|
▲ 주렁주렁
피어난 불두화(佛頭花) |
♠ 불두화의 향기로 가득한 낙가사 경내 둘러보기 ~
![]() |
◀ 낙가사 5층석탑 -
강원도 지방유형문화재 37호 |
행방이 묘연하다고 하다. 물론 본
사람도 없다고 함. 과연 있기는 있는 것인지..? |
|
|
|
▲ 낙가사의
법당(法堂) - 약사전(藥師殿) = 만월보전(滿月寶殿) |
|
|
|
▲ 만월보전
불단(佛壇)에 모셔진 약사여래좌상(藥師如來坐像) |
|
|
|
▲ 만월보전에서 바라본 5층석탑 |
|
|
|
▲
부채 컬렉션 |
낙가사 관람을 마치고, 일행들이 동해바다까지 온 김에 꼭 회를 먹고 가야겠다,
그렇지 않으면 천추의 한이
될 것 같다고 이구동성으로 그런다. 그래서 어디서 회를 먹을 것인가를 두고 이야기를 하다가, 묵호(墨湖)가
좋을 것 같다는 나의 의견에 따라, 서울과 정반대 방향인 묵호로 길을 잡았지.
동해고속도로를 타고 동해시(東海市)의 절반을 차지하는 묵호로 진입, 묵호항 부근에 수레를 세워놓고, 부근
횟집을 점거(?)하여 이른 저녁으로 비록 푸짐하지는 않지만 회를 먹었다.
![]() |
나는 유감스럽게도 회를 즐기는 편이 아니라서, 맛은 어떤지 잘 모르겠으나,
일행들의 말로는 별로 맛은
없었다고 그런다. '다른 집으로 갈껄'하는 후회감이 막심...
회를 먹는데 역시 곡차(穀茶)를 뺄 수는 없지, 소주 1병 시켜서 나를 비롯 몇 명이 마셨으니, 그날 따라
이상하게도 곡차는 별로 인기를 얻지 못했다.
막판에 나온 해물찌게로 뒷마무리를 하고, 묵호항을 잠시 둘러보려고 했으나, 적은 양의 비가 쏟아지는
통에 그럴 마음을 접고, 바로 수레에 올라 이번 여행의 종점인 서울로 길을 재촉한다.
서울로 가는 길은 토요일 저녁이라 차가 그리 막히지는 않았다. 에버랜드가 있는 마성, 용인 주변만 약간
막혔을 뿐.. 그 구간을 지나니 굴뚝이 시원스레 뚫린 듯, 다시 정상 소통... 그리하여 묵호 출발 근 4시간
만인 22시 서울에 도착했다.
정말 번개처럼 날아가 재미나게 보냈던 그날 하루, 그곳이 그리워지고 같이한 이들이 보고 싶은 마음에
비록 보잘 것은 없지만 이렇게 글을 남긴다.
~~ 이렇게 하여 산, 바다, 초원을 만난 대관령, 동해바다 여행은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
* 답사, 촬영 일시 -
2006년 5월 20일
* 상편 작성 시작일 - 2006년 6월 29일
* 상편 작성 완료일 - 2005년 7월 3일
* 상편 숙성기간 - 2006년 7월
4일 ~ 8월 12일
* 공개일 - 2006년 8월 12일부터
Copyright (C) 2006 by Park Yung, All rights reserved
첫댓글 자세하고 꼼꼼한 여행기 즐감합니다.
자세한것도 없고 꼼꼼한 것도 없습니다. 어쨌든 즐감 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