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암봉(기마크봉) 보제(補制)의 효과성
- 제20회 한일고려수지침⋅서금요법학술대회 논문집에서 발췌(전민중)
1 실험의 목적
뉴서암봉(기마크봉)의 보제 효과를 전기 테스터를 통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함.
2 실험 방향
뉴서암봉(기마크봉) 금색⋅은색을 각 기맥별로 부착하여 정(正)⋅역(逆)방향으로 저항치
체크.
3 연구자
전민중⋅윤성현⋅김형주⋅박현주⋅정혜진
4 사용기구
(1) 전기테스터 – HIOKI 3803 Digital HiTester(400㎷~1000V, 400㎂~10A, 400Ω
~40㏁)
(2) 온도계 – ORECON SCIENTIFIC digi-thermo(-55℃~ +148℃)
(3) 뉴서암봉(기마크봉) A형(소형) 금색 및 은색
5 실험 개요
(1) 인체에는 미세한 생체전류가 흐르고 있다.
(2) 이 생체전류가 이상치를 보일 때 인체는 내장과 혈관 등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신경
이 흐트러져 열, 통증 등의 승증반응이나 원기부족 등의 허증반응과 같은 다양한
부조화 증상이 나타난다.
(3) 실험은 뉴서암봉(기마크봉) 금색⋅은색을 기맥상에 부착하게 되면 뉴서암봉(기마크
봉) 금색⋅은색은 금속의 이온화 경향으로 인하여 인체내에 약 전류를 기맥의 유주에
따라 보, 혹은 제의 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질환이나 증상의 완화 혹은 악화를 도모
함을 실증적으로 보여 준다.
6 실험 방법
편의상 좌수에 기맥별 보법으로 뉴서암봉(기마크봉) 은색을 붙인 상태에서 정방향,
역방향으로 저항치 각2회씩 체크.
(1) 정방향 – 테스터의 (-)단자를 뉴서암봉(기마크봉) 은색에, (+)단자를 뉴서암봉
(기마크봉) 금색에 대고 측정
(2) 역방향 - 테스터의 (-)단자를 뉴서암봉(기마크봉) 금색에, (+)단자를 뉴서암봉
(기마크봉) 은색에 대고 측정
7 테스트 결과(측정 단위:㏁)
① 좌 양실증(A사람)
측정방향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정 | 1회 | 2.4 | 2.6 | 2.0 | 2.9 | 1.3 | 2.0 | 1.1 | 1.6 | 1.8 | 2.4 | 1.4 | 3.2 |
2회 | 2.0 | 1.6 | 2.1 | 1.0 | 2.5 | 2.3 | 2.0 | 1.9 | 1.8 | 1.3 | 2.0 | 1.6 |
역 | 1회 | ∞ | ∞ | ∞ | ∞ | ∞ | ∞ | ∞ | ∞ | ∞ | ∞ | ∞ | ∞ |
② 좌 신실증(B사람)
측정방향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정 | 1회 | 2.4 | 1.3 | 1.3 | 3.6 | 3.1 | 0.8 | 0.2 | 1.2 | 3.5 | 2.3 | 5.5 | 0.4 |
2회 | 0.4 | 3.0 | 0.3 | 1.9 | 0.1 | 2.0 | 5.2 | 5.7 | 0.9 | 1.8 | 1.4 | 2.0 |
역 | 1회 | ∞ | ∞ | ∞ | ∞ | ∞ | ∞ | ∞ | ∞ | ∞ | ∞ | ∞ | ∞ |
8 결과 해석
(1) A사람, B사람 모두 기맥에 뉴서암봉(기마크봉) 금색⋅은색을 이용하여 보제(補制)를
할 경우 그 효과는 확실하다.
(2) 정방향(보법의 경우)은 임의의 저항치를 보이므로 전류의 흐름이 확실하고, 역방향
(제법의 경우)은 무한대의 전류치를 보이므로 전류의 흐름이 없음을 보여 준다.
(3) 다시 말해서 뉴서암봉(기마크봉) 금색⋅은색을 이용하여 보제(補制)를 할 경우 그
효과는 확실한 바 장부의 허승을 확실히 구분하여 정확하게 보제(補制)를 사용하지
않으면 장부기능 조절의 효과가 전혀 없거나, 또는 중대한 문제가 야기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 준다.
9 향후 과제
(1) 유주의 방향성에 대한 전류, 전압 체크(유주의 방향성 체크 가능)
(2) 전류, 저항치 테스트 결과 이상치(고⋅저치)가 나타날 때 장부의 허승 판별 해석 여부
와 증상 혹은 질환 시 뉴서암봉(기마크봉) 보제(補制)를 통하여 증상 완화 혹은 해소
정도.
(3) 테스터를 사용하여 입증 여부
(4) 시간대에 따른 기맥별 전류치의 변화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