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카오톡 소통방 입장 문의 💜
2️⃣ 비트겟 거래소 링크
4️⃣ OKX 거래소 링크
5️⃣ 어센덱스 거래소 링크
6️⃣ BTCEX 거래소 링크
※ 가입 후 소통방 입장시 거래 수수료 10% 페이백 지원 ( 단독 이벤트 🎁 )
8월 12일 비트코인 뉴스 모음
블랙록, 기관 대상 비트코인 사모신탁 출시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미국 기관이 비트코인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사모신탁(프라이빗 트러스트)를 출시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이번에 출시한 비트코인 사모신탁은 비트코인 현물에 직접 노출되는 블랙록의 첫 번째 상품이다. 블랙록은 성명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일부 고객사들이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무역개발회의, 개발도상국에 암호화폐 도입 제한 촉구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개발도상국에 암호화폐 도입 제한을 촉구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유엔무역개발회의는 “암호화폐가 결제 수단으로 성장하면서 국가의 통화 주권이 위협받을 수 있으며 자본통제가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는 소유권 식별이 어려워 조세피난처 등 불법 자금 유통이 수단으로 악용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트레이더 전문가 “최근 암호화폐 랠리, 일시적 반등”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로핀(Blofin) 소속 트레이더 그리핀 아던(Griffin Ardern)이 “최근 암호화폐 시장 랠리는 불트랩(Bull Trap, 약세장에서 일어나는 일시적 반등)에 가깝다”고 진단했다. 아던은 “유동성 압력이 언젠가 완화되겠지만 지금은 아니다”라며 최근 발표된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기는 했으나 아직 미연준(Fed)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만큼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백트 2Q 2760만달러 순손실.. 가이던스 하향 조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선물 거래소 백트(Bakkt)는 2분기 2760만달러 순손실을 입었으며, 연 순매출 가이던스를 5700만~6200만달러로 낮췄다(기존 가이던스는 6000만~8000만달러). 2분기 순손실 규모는 전년 동기(-3190만달러) 대비 약 13% 개선됐다. 순매출은 작년 2분기 850만달러에서 60% 증가한 1360만달러를 기록했다.
슬로프 “솔라나 해킹 원인, 지갑 자체 보안 결함 때문이라는 결정적 증거 없어”
더블록에 따르면 솔라나 월렛 슬로프(Slope)는 최근 발생한 수백만달러 해킹 사건이 지갑 자체 보안 결함으로 비롯됐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아직 조사가 끝난 건 아니지만, 곧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슬로프를 비롯한 솔라나 지갑 사용자들은(9000개 이상 주소) 8월 초 400만달러 이상 SOL을 도난당했다. 이와 관련 솔라나 연구원은 시드문구가 일반 텍스트 형태인 슬로프 모바일 지갑의 취약점을 지적했는데, 슬로프는 실제 취약점이 있는 건 사실이나 이것이 해킹의 근본적인 원인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이라고 밝혔다. 슬로프는 취약점 공격으로 도난 당한 지갑 주소 수가 슬로프 피해 주소 수를 초과했다고 설명했다.
JP모건 “이더리움 머지 주요 수혜자는 이더리움클래식 채굴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JP모건은 수요일 리서치 보고서에서 이더리움 합의 메커니즘이 조만간 PoW(작업증명)에서 PoS(지분증명)으로 전환하면서 이더리움클래식 채굴자들이 주요 수혜자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은행은 “이더리움 채굴은 보통 GPU(그래픽 처리 장치)로 이뤄지는데, GPU로 이더리움클래식, 레이븐코인, 에르고(Ergo)도 채굴 가능하다. PoS 전환으로 이더리움 채굴자의 단기 이익이 타격을 받고, 대규모 채굴풀이 다른 코인으로 갑자기 유입되면 기존 업체의 마진이 줄어들 수 있다. 특히나 ASIC(주문형 반도체) 채굴기를 사용하는 이더리움 채굴자들은 이더리움클래식 외에는 대안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더리움클래식 채굴자들이 이더리움 머지의 주요 수혜자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더리움2.0 밸리데이터가 되기로 한 ETH 채굴자들의 중고 채굴기가 시장에 많이 풀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채굴자들이 이미 이더리움클래식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징후가 있다. 7월 중순 이후 이더리움클래식 해시레이트가 눈에 띄게 상승했다. 또한 일부 투자자들은 이더리움클래식을 이더리움 머지로 인한 잠재적 혼란에 대한 헷지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찰스슈왑 서베이 “트레이더 66%, 암호화폐 매수 계획 없다”
미국 인터넷은행 겸 대형 증권사 찰스 슈왑(Charles Schwab)이 발표한 3분기 트레이더 센티멘트 보고서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의 63%가 암호화폐에 대한 투심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많이 하락했음에도 불구, 암호화폐를 매수할 계획이 없다는 응답자가 66%를 차지했다. 보유 중인 암호화폐를 매도하지는 않겠지만 추가 매수하진 않겠다는 응답자는 20%였고, 추가 매수하겠다는 응답은 13%였다. 또한 90%의 트레이더는 미국 경제가 침체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주식 트레이딩을 80차례 이상 했거나 옵션 트레이딩 12차례 이상, 1년간 선물 또는 외환 거래를 했던 트레이더 968명을 대상으로 7월 6~18일(현지시간) 진행됐다.
QCP캐피털 “기관 투자자, 디파이보다 암호화폐 옵션에 베팅 가능성 훨씬 높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싱가포르 기반 암호화폐 투자사 QCP캐피털의 다리우스 싯(Darius Sit) 공동 창업자가 “기관 투자자들은 향후 몇 년간 디파이, NFT파이 등 암호화폐 틈새시장보다 암호화폐 옵션 거래에 베팅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그는 “그동안 암호화폐 옵션 시장의 성장세는 상대적으로 디파이나 게임파이 등 시장보다 저조했다. 하지만 최근 암호화폐 옵션 시장이 제도화됨에 따라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파이 프로토콜 총 TVL 700억 달러선 회복
디파이 데이터 애그리게이터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11일 기준 전체 디파이 프로토콜 내 암호화폐 락업 예치금(TVL)이 전날 대비 5.38% 증가한 약 701.7억 달러를 기록하며 700억 달러선을 회복했다. TVL 규모 기준 메이커다오가 90.7억 달러로 1위, 리도가 82.8억 달러로 2위, AAVE가 74.4억 달러로 3위에 올랐다.
국내 5대 거래소, 상장 심사 공동가이드라인 8월 시범운영
뉴스1에 따르면 5대 암호화폐 거래소가 가상자산 거래지원 상장 심사에 대한 공동 가이드라인을 8월부터 시범 운영한다. 11일 국민의힘 정책위원회·정무위원회·디지털자산특별위원회가 국회 의원회관 제2 세미나실에서 개최한 ‘제3차 민·당·정 간담회’ 자료집에 따르면 5개 거래소는 8월부터 가이드라인 초안을 각사에서 거래지원 심사에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는 활동 전문성 및 대외 신뢰도 확보를 위해 자문위원회도 구성한다.
웨이브 파이낸셜 “모건스탠리·골드만삭스, 기관 암호화폐 시장 유입 촉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운용사 웨이브 파이낸셜(Wave Financial LLC)의 사업개발책임자 마이크 존스(Mike Jones)가 “모건스탠리와 메릴린치, 골드만삭스 등 대형 자산 운용사들이 기관 투자자들의 암호화폐 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 약세장은 고통스러운 시기지만, 그럼에도 상황은 훨씬 고무적이다.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 수요가 점차 늘면서 자산운용사 외에 벤처캐피털(VC) 역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MAYC 고래 ‘제프리 황’, 최근 48시간 25개 MAYC 매도
블록체인 빅데이터 플랫폼 OK링크에 따르면, MAYC 및 BAYC 고래 지갑으로 알려진 ‘제프리 황'(Jeffrey Huang)이 최근 24시간 12개의 MAYC NFT를 추가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8시간 매도한 MAYC NFT는 총 25개다. 이에 따라 해당 지갑의 고래 랭킹은 기존 2위에서 4위로 내려갔으며, 현재 75개의 MAYC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코인니스는 제프리 황의 해당 주소가 최근 일주일간 바이낸스로 1,000만 달러 상당의 APE를 입금했다고 전한 바 있다.
이더리움 개발자 “골리 머지, 사소한 문제 있지만 순조로운 편”
한국시간 기준 11일 10시 45분 이더리움(ETH) 테스트넷 골리(Goerli)의 머지(PoS 전환)가 완료된 가운데 이더리움 개발자 마리우스 반 데 바이덴(Marius van der Wijden)이 트위터를 통해 “골리 머지 후 네트워크에서 사소한 문제 몇 가지가 발견됐지만 아직까지는 꽤 순조로운 편”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두 개의 각기 다른 터미널 블록 충돌과 업데이트되지 않는 노드 등으로 인해 잠시 네트워크에 혼선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사람들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았거나 설정을 잘못해 생긴 오류다. 터미널 블록 충돌은 이미 처리할 수 있는 코드가 배치되어 있으며,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지 않은 노드에게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이더리움 메인넷 머지를 위해 업그레이드를 선행하는 세 개의 테스트넷 중 마지막인 골리의 머지가 완료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11.79% 오른 1,872.6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토큰언락 “더샌드박스, 13일 17시 3.72억 SAND 락업 해제”
암호화폐 락업 해제 일정 추적 플랫폼 토큰언락(Token Unlocks)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13일 17시부터 약 3.72억 SAND가 락업 해제될 예정이라고 분석했다. SAND 총 공급량 30억 개 중 약 12.424% 상당이다. 이번 락업 해제를 통해 풀리는 SAND는 시드 판매분, 회사 준비금, 팀 할당분, 자문 할당분, 재단 할당분, 전략적 판매분 등이다. 그중 회사 준비금과 재단 할당분으로 풀리는 물량은 즉시 매도가 불가능하다. 더샌드박스 백서에 따르면, SAND 락업 해제 시 즉시 시장에 매도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물량은 해제분의 8.3% 상당이다. 이와 관련 토큰언락 측은 “다음 대규모 SAND 락업 해제는 내년 2월 13일로 예정되어 있다. 향후 6개월간 대규모 락업 해제가 없는 점을 감안할 때 다음 강세장 전 건강한 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SAND는 현재 6.56% 오른 1.3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커브 “DNS 세팅 복구 완료”
최근 도메인네임시스템(DNS) 하이재킹 공격에 노출돼 약 61.2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도난 피해가 발생한 디파이 프로토콜 커브 파이낸스(CRV)가 11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커브파이가 사용하는 모든 DNS 관련 세팅을 안전하게 복구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날 커브 측은 “이번 사고는 DNS 캐시 손상으로 인한 것으로, 네임서버가 손상되진 않았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CRV는 현재 9.65% 오른 1.3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상원의원, OCC에 ‘월가 암호화폐 시장 진출 지원’ 철회 요구 서한 전달
월스트리트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법적 가이드라인 철회를 요구하는 미국 상원의원의 서한이 미국 통화감독청(OCC)에 발송됐다고 아메리칸 뱅커가 보도했다. 지난주 메사추세츠주 상원의원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이 작성한 해당 서한에는 딕 더빈(Dick Durbin), 셸던 화이트 하우스(Sheldon Whitehouse), 버니 샌더스(Bernie Sanders) 등 다수 의원이 서명했다. 서한에는 OCC가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연방예금보험공사와 협력해 소비자와 은행 시스템의 안전과 건전성을 적절히 보호하는 접근법을 취하도록 해야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코인니스는 워런 의원이 상원 동료 의원들에게 서한에 서명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분석 “BTC, 강세 랠리 본격 연출 전 재차 하락 가능”
크립토퀀트 기고자 그레이티스트트레이더가 “지난 약세장을 감안했을 때, 또 현재 시장의 불확실성과 거시 경제의 불황을 고려하면 비트코인의 다음 강세 랠리가 본격 연출되기 전 재차 하락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장기 보유자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지표인 바이너리 CDD(365일 지수이동평균 기준)는 강세 랠리 기간 급등하고, 약세장에서 폭락한다. 최근 해당 지표는 장기 보유자들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준임을 암시하고 있다. 해당 지표는 더 내려갈 수 있고, BTC 가격은 이에 따라 추가 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3.48% 오른 23,956.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캐시 우드 “비트코인, 블랙록 시장 진입으로 2배 이상 상승 가능”
‘돈나무 언니’로 불리는 캐시 우드(Cathie Wood) 아크 인베스트먼트(Ark Investment) 대표가 최근 유튜브 채널을 통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암호화폐 시장 진입으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이 두 배 이상 오를 수 있다”고 전했다고 데일리호들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우드는 “블랙록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약 2.5%를 비트코인에 할당할 것이고, 이를 수치화하면 비트코인 시장에 약 1조 달러 상당의 수요가 투입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비트코인 시장에 1조 달러의 자금이 투입되면 적어도 비트코인 가격이 두 배 이상 상승할 것이다”고 분석했다.
#비트겟 #비트겟거래소 #비트겟거래방법 #비트겟선물거래 #비트겟kyc인증 #비트겟수수료 #비트겟선물거래방법 #비트겟출금 #비트겟입금 #비트겟출금방법 #비트겟입금방법 #비트겟카피트레이드 #비트겟실명인증 #비트겟선물수수료 #비트겟한국어 #비트겟루나 #루나비트겟 #비트겟가입 #비트겟업비트 #업비트비트겟
<출처 : COINNESS KORE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