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대륙 조선사 연구회
 
 
 
카페 게시글
역사토론방(출처있는글) 신축조약을 체결하는 청나라 관리들의 복장은 삿갓모자인데...이홍장 일행만 강시형(타타르형?)모자...
홍진영 추천 0 조회 1,742 10.07.26 21:12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7.27 10:53

    첫댓글 홍진영 선생님... 모자가 서로 다르다고 하여, 2개의 청(淸)나라가 있었다고 주장하시는 것은 "코미디"라니까요...

  • 10.07.27 11:28

    난징-조약(南京-條約) 1842년 8월 29일, 베이징-조약(北京-條約) 1860년 10월 18일,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 1895년 4월 17일,
    신축-조약(辛丑-條約) 1901년 9월 7일에 체결되었습니다.
    이홍장(李鴻章)은 1901년 11월 7일에 사망하였습니다.
    위 본문의 이홍장(李鴻章) 일행 사진에는 "1900년 겨울"이라고 표기되어 있네요... 한 번 확인해보세요...

  • 10.07.27 11:30

    이홍장(李鴻章)은 본래 청나라 말기 나라의 혼란에 즈음하여 발생한 여러 한족계 민병단을 이끌고 있었다. 이홍장(李鴻章)의 군대는 본래 '회군'이라 이름지어졌는데, 태평천국의 난에서 스승인 증국번(曾國藩)과 함께 난을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하여 조정에 등용되었다. 증국번(曾國藩) 사후, 이홍장(李鴻章)은 청나라의 한족계 대신이 되어, 북양대신의 자리에 오른다. 북양대신은 본래 남양대신과 함께 청나라의 군권을 쥐고 있는 자리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조정 유일의 실력자의 위치이다. 이홍장(李鴻章)이 북양대신이 된 것과 더불어 그의 '회군'은 '북양군'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출처=위키백과(한국어)]

  • 10.07.27 11:45

    모자(帽子)라는 것은... 계절(季節)과 용도(用途)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것인데...

  • 10.07.27 12:44

    경왕부 신축조약 체결장의 청나라 삿갓 쓴 관리들 복장이 다른 이유는 뭘까여...?
    정작 신축조약장에선...강시모자를 쓴 이홍장 수행원들은 왜 하나도 찍히질 않았을까여...?
    -----------------------
    위 본문에서 홍진영 선생님은 이렇게 주장하셨는데요... 정말로 웃깁니다... 이건 "코미디"라니까요... (하하하)

  • 10.07.27 19:00

    조형진 선생님, 코멘트 감사합니다.
    청조(淸朝)의 여름(夏) 모자(帽子) 및 겨울(冬) 모자(帽子)에 관한 사진을 추가로 제가 올렸습니다.

  • 작성자 10.07.28 00:55

    조선군복이나 송,원,명시대의 군복들이...동복 하복이 있었나 의아스럽습니다...물론 지역마다 지방군들의 복식은 그 지역 전통을 따랐을 겁니다.
    문젠...그걸 통솔하는 중앙관리들의 복장은...그 흉배의 장식 하나까지도 까다롭게 규정을 짓고 통일시키는게 전통적인 예라 저는 압니다...?
    허나 청나라만 걷옷을 어떤걸 입었냐 의관 장식이 어떻게 지역과 계급마다 차이가 나느냐의 차원이 아닌...
    완전히 그 현태가 다른 두가지 형태의 중앙관료들 관복이 있었단게 의심스럽단 겁니다.

    지방군이나 지방관의 의복차가 아닌...중앙 관료들의 관복이 차이가 났단 점을 짚은 겁니다.

  • 10.07.28 11:49

    이제는 딴소리를 하십니다...
    "삿갓"형 모자와 "강시"형 모자가 서로 다르다고 해서, 2개의 청(淸)나라가 있었다고 홍선생님이 주장하셨지요???
    "삿갓"형 모자는 "여름용"이고, "강시"형 모자는 "겨울용"입니다. 구분한다면...
    제가 관련 자료를 추가로 올렸으니 참고하세요...

  • 10.07.28 13:16

    조선 군복이나 송,원,명 시대의 군복들이... 동복, 하복이 있었나 의아스럽습니다...
    ----------------------
    홍진영 선생님은 이렇게 주장하셨는데요...

    겨울과 여름이 명확한 지역에서는... 기온 차이 때문에... 동복도 있고, 하복도 있어요... 군복이든, 평상복이든...

  • 작성자 10.07.28 01:01

    이홍장이 북경사변 당시에 이를 중제키 위해 1900년 겨울에 입경하고...1901년에 조약이 체결됐단걸 제가 모르고 썼겠습니까...?
    일국을 대표한다며 입경했다면...그와 수행원들은 기본 관복은 입은 것으로 봐야 하는 겁니다.
    평상시 관복 따로 있고...정식 업무때의 관복이 따로 있단건 좀 무리가 많습니다.

    특히 동복 하복 아니겠냔 조선생님의 예상은...
    제가 올린 청나라 결혼식 사진글에 나오는...더운날 결혼식을 하던 청나라인들 강시모자 옷들을 보면...
    겨울철의 이홍장관 옷 두께차만 난단걸 볼 때...그건 아니란제 생각이고여...

  • 10.07.28 11:27

    제가 청조(淸朝) 문관(文官)의 보복(補服) 모델(Model) 자료를 추가로 올렸는데요.....
    장포(長袍; 창-파오)와 여름(夏) 모자(帽子)도 있고요... 안 보셨어요???

  • 10.07.28 11:48

    청(淸)나라 결혼식 사진이요... 그 촬영 시기가 "여름"인지 어떻게 알 수 있어요? 아무런 표기도 없는데요...
    [출처=http://cafe.daum.net/china-hallym/52kN/11]

  • 10.07.28 19:28

    저는 조형진 선생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