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대륙 조선사 연구회
 
 
 
카페 게시글
역사토론방(출처있는글)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에 대한 고찰(考察)
천상희 추천 1 조회 650 10.07.28 13:48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7.28 13:59

    첫댓글 천상희 선생님...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무엇보다도 각종 "역사 기록"에 대한 세밀하고 객관적인 고찰이 중요하다고 저는 봅니다.
    복단대(復旦大) 갈검웅(葛劍雄) 교수가 조선(朝鮮)이 중국(中國)의 전통 문화를 보전한 공헌이 크다고 주장한 글을 저도 본 적이 있습니다.

  • 10.07.28 14:04

    박용숙(朴容淑)의 <샤먼 제국>(2010년, 소동)이라는 책(冊)에 따르면.....
    신라(新羅), 고려(高麗), 조선(朝鮮)이라는 낱말들의 본원적(本源的) 의미는 태양신(太陽神)을 숭배하는 고대(古代) 샤머니즘(Shamanism)에 관련된다고 합니다. 삼한(三韓) 그리고 삼한(三韓)의 전신(前身)인 진국(辰國)도 마찬가지입니다. 발해(渤海)나 일본(日本)이라는 명칭은 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매우 넓은 뜻으로 살펴보면.... 신라(新羅), 왕건(王建) 고려(高麗), 이성계(李成桂) 조선(朝鮮)이라는 명칭들은 모두 "광의(廣義)의 조선(朝鮮)"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 10.07.28 14:30

    <청음집(淸陰集)> 제23권에 나오는 정의(定義)를 반영(反映)한다면, ‘有明朝鮮國’(유명조선국)이라는 표현(表現)은 “明代(명대)의 朝鮮國(조선국)”이라는 뜻이 됩니다. 따라서, 문맥상으로 "명(明)나라의 속국(屬國)인 조선국(朝鮮國)"이라는 뜻으로 볼 수 없습니다.
    "明"은 "朝代名"이라고 주장하셨는데...
    예를 들어, "淸朝", "淸代", "明朝", "明代"라는 표현이 성립되는 것으로 "朝代名"을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 10.07.28 14:36

    유구한 세월이 흐르면서 "광의(廣義)의 조선(朝鮮)"에서는 그 시대(時代)를 구별하기 위해서라도 유당신라국(有唐新羅國), 유송고려국(有宋高麗國), 유원고려국(有元高麗國),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과 같은 표현이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봅니다.
    이는 저의 추측(推測) 또는 가설(假說)인데, 역사적 사실과 다를 수 있으므로, 차후에 철저히 검증(檢證)하고 싶습니다.

  • 10.07.28 14:40

    천상희 선생님에게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금석문(金石文)에 관한 자료를 살펴보면, 신라(新羅) 시대의 유물에는 유당신라국(有唐新羅國)으로, 고려(高麗) 시대의 유물에는 유송고려국(有宋高麗國), 대송고려국(大宋高麗國), 유원고려국(有元高麗國), 대원고려국(大元高麗國)으로, 조선(朝鮮) 시대의 유물에는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대명조선국(大明朝鮮國)으로 표현된 것들이 있다고 합니다.
    어떤 연구자는 이러한 표현들이 일제(日帝) 시대에 식민사학(植民史學)의 일환으로 모두 "날조"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천상희 선생님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