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직은 전구식 형광등에 비해
경제적인 이득은 없는 듯 합니다.
이하는
자세한 비용계산 펀글입니다~.

조명 기구인 전구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백열 전구는 형광 램프나 전구식 형광등 기구로 바뀌는 중이다. 최근 차세대 조명으로 주목 받는 LED 전구가 출시돼 관심을 끌고 있다.
저탄소 녹색 성장을 위한 실천 방안의 하나로 LED 조명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소비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최신 정보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소비자에게 선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소비자원은 백열 전구나 전구식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는 10W 전후의 컨버터 내장형 LED 전구(E26 베이스) 16개 제품을 구입해 품질을 테스트했다.

LED 전구도 하나의 광원이기 때문에 형광 램프ㆍ백열 전구 등의 일반 조명의 품질 시험과 크게 다르지 않다. 결국 제품이 얼마나 밝은가(전광속), 광효율(에너지 효율)이 높은가, 색 재현이 충실한가(연색성),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지(수명신뢰성ㆍ광속유지율) 등의 광 특성과 전기적 안전성을 알아보아야 한다.
제품의 조립 상태 등의 기본적인 사항을 알아본 결과 전 제품 모두 이상이 없었다. 2009년 7월 1일부터 생산ㆍ판매되는 LED 전구는 안전 인증을 취득해야 하지만 그 이전에 출시된 제품은 적용되지 않는다. 조사 대상 제품에 대해 절연내력 등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 요구 조건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모두 법 적용일 이전에 구입한 것이어서 평가하지 않았다.
해당 업체는 안전 인증을 취득하면서 모두 개선했다고 밝혀 왔다. 제품을 구입할 때는 안전 인증 표시와 제조일자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빛의 밝기ㆍ소비 전력
빛의 밝기(전광속; total luminous flux)는 충분한지, 전력 소비는 많지 않은지를 알아보기 위해 1백 시간 동안 예비로 점등시킨 뒤 전광속ㆍ소비 전력 등의 초기 특성 시험을 실시했다. 이번에 조사한 제품의 정격 소비 전력이 다른 경우가 많아 제품 간 상대적 비교는 어려웠다. 제품에 표시된 소비 전력 또는 광속(밝기)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나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업체가 광속을 표기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했다. 5개 제품은 업체명 및 연락처도 표시하지 않아 품질에 문제가 있을 경우 애프터서비스를 신청하기도 어려워 소비자피해가 우려됐다.
정격 소비 전력ㆍ광속 및 수명은 조명 제품의 핵심 성능이므로 표시가 제대로 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안전 인증을 받은 제품은 정격 소비전력과 광속은 의무적으로 표시해야 하므로 도움이 될 것이다.

2. 광효율
백열 전구는 빛보다 열이 더 많이 발생하므로 광효율(전기를 빛으로 바꿔주는 효율, Luminous Efficacy)이 나쁘다. 상대적으로 광효율이 좋은 형광 램프는 그만큼 열 손실이 적다.

LED 램프는 이론적으로 형광 램프보다 열 손실이 적으므로 보다 우수한 광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조명 제품의 광효율은 전체 광속을 소비전력으로 나눈 값(루멘/와트,lm/W)으로 나타낸다. 시험한 제품의 모델별 평균 광효율은 22.4lm/W에서 66.6lm/W까지로 약 3배 차이
를 보였다. 중국산이나 대만산 또는 제조 국가가 표시되지 않은 제품의 광효율이 낮은 편이어서 선택할 때 주의가 필요했다.
LED 램프는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른 제품이어서 KS(산업 표준 규격)에서의 광효율 기준은 매년 상향하는 것으로 예고돼 있다. 현재 기준은 색온도에 따라 50, 45, 40lm/W 이상으로 규정돼 있으며, 금호전기(LED/PAR30)ㆍ남영전구(NYSLD7)ㆍ대진디엠피(2710TC)ㆍ화우테크놀러지(KLD-08L, LH08-AFE2XS) 등 5개 모델이 현행 KS 기준에 적합했다.
광원색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백색(white, pure white, cool white 등)에 비해 전구색(warm white)의 광효율이 약 20% 정도 줄어든다.

3. 연색성
인공 조명은 사람의 눈이 사물의 색을 자연광처럼 제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색성(Color Rendering)이란 물체의 색 재현 충실도를 나타내는 광원의 성질을 말한다. 자연광(햇빛)과의 유사도를 수치로 나타낸 연색지수(Ra)가 100에 가까울수록 연색성이 좋다고 말한다. 광원의 색온도가 같아도 빛의 스펙트럼이 다르면 연색성이 달라진다. 통상 연색지수가 85 이상이면 연색성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대상 제품 중에는 제이에스제이텍(BICHURY) 모델이 90 이상으로 연색성이 좋았다. 광효율이 높았던 5개 모델 중 에는 대진디엠피(2710TC) 모델만이 70을 넘었을 뿐, 나머지 4개 모델은 70 미만이었다. 연색성은 기본적으로 LED소자에 의해 결정된다.
4. 광속유지율(수명신뢰성)
보통 1천 시간 정도인 백열 전구의 수명은 시험을 통한 검증이 용이하다. 그러나 수명 1만 시간을 검증하려면 꼬박 1년이 넘게 걸리므로 검증 자체가 어렵다. 이럴 때는 수명시간보다 짧은 일정 시간(형광 램프의 경우 보통 2천시간)후의 밝기를 처음 밝기와 비교해 수명을 예측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처음 밝기 대비 일정 시간 후의 밝기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 광속유지율이다. 수명은 램프가 점등되지 않거나 처음 밝기의 70% 이하로 어두워질 때까지의 누적 시간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5만 시간으로 표시한 경우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 광속유지율 시험 시간을 정격 수명의 20% 정도로 잡아도 시험 시간은 최소 1만 시간(24시간 기준, 약 14개월) 이상이 걸린다.
이번 시험은 실제보다 훨씬 가혹한 조건인 주위 온도 70℃에서 1천 시간 점등 후 광속유지율을 상대 비교하는 방법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대진디엠피(2710TC), 오스람(PAR1680321), 남영전구(NYSL-D7), 금호전기(LED/PAR30) 등 4개 모델이 상대적으로 변화가 가장 적었다. 화우테크놀러지(KLD-08L)와 필립스전자(Master Led Bulb MV) 모델도 상대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삼성유니램(LED PAR30), 헤파스(LCAS PAR-16) 등 5개 모델은 50% 이하로 나타나 문제가 있었다. 특히 5백 시간도 되기 전에 단선된 모델도 있어 구입 시 품질 확인이 필요했다.
5. 경제성
백열 전구나 형광 램프에 비해 LED 조명이 에너지 효율이나 수명이 월등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제품인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LED는 환경 오염 물질인 수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품 폐기 단계에서의 환경성은 우수하다. 사용 단계의 경제성도 우수한지 알아보기 위해 구입 비용과 전력 요금을 고려한 유지 비용을 평가했다.
비교를 위한 자료는 전구식 형광등과 백열 전구는 에너지 소비 효율 1등급 제품을 기준으로 삼았다. LED 전구는 이번 조사 대상 제품 중 상위 5개 모델의 평균을 기준으로 했다.
평가 결과 LED 전구의 수명을 4만 시간으로 가정하는 경우 일반 백열 전구보다 경제성이 우수했지만 전구식 형광등에는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순 평가로는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LED 전구는 긴 수명에 따른 관리 비용 절감이나 수은 오염 저감 측면 및 향후 광효율 개선과 원가 절감이 실현된다면 충분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전구식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 제조 기술은 거의 한계에 이른 반면 LED 제조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해 현재의 비용을 절반으로 줄이는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전구 사용량이 많은 경우 발열량 증가에 따른 여름철 냉방 부하 증가라는 측면에서 LED 전구의 장점을 찾을 수도 있다. 현재 시점에서의 단순 계산으로는 LED 전구 가격이 2만원 수준일 때 전구식 형광등의 경제성과 비슷하다.
수명은 경제성 평가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정확한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표준 기법이 개발 돼야 할 것이다. LED 전구에 표시한 수명의 근거 자료에 대한 업체의 회신은 대체로 LED 칩 제조업체의 자료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칩 제조업체의 자료는 열 방산 등의 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한 상태에서의 값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검증여부가 불확실한 가속시험법에 의한 것이라면 실제 수명과는 차이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밀폐된 소형 공간에 칩을 설치한 LED 전구의 경우 열 방산이 어려울 수 있어 수명이 같다고 보기는 어렵다. LED보다 구동 회로의 부품(특히 전해콘덴서) 수명이 더 짧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으므로 업체의 수명 표시에 대한 올바른 검증이 선행돼야 선의의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첫댓글 모델이 너무 이쁘고 쎅쉬
해요





처음 나온 제품은 무조건 버그가 많습니다. 참조 하세요..디 버그 하고 나서 구입하시면 제대로된 제품으로 인정 받지요..
미인공해로 전구 안보임다 그래서 안팔린것 같아요..(^-^)
첫부분만 보이고 남어지는 내눈에 안보이네요 다시 확인해주세요~~ 올리신컴말고 다른컴에서~~~
전구 모델명을 보려고 유심히 처다보는데 자꾸 사시 처럼 눈동자가 벌어 지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