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안 하는 아이?
난독증하면, 글을 시각적 자극으로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만 떠올리기 쉽습니다.
그러나 난독증의 증상으로는 첨가/생략/반복 등의 잦은 읽기 오류와 철자/음운처리 기술, 어휘지식, 주의력에서의 낮은 수행 등 다양한 모습을 띕니다.
난독증은 ‘특정 학습장애’의 한 유형입니다.
난독증 또는 읽기 능력의 부족함은 학습부진으로 이어지고, 학교에서 문제아로 낙인 찍히는 경우가 잦습니다.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할 경우, 읽는 것의 어려움이 다른 교과 영역의 학습 또한 방해하거나, 학습된 무기력을 일으키고 낮은 자존감 및 정서/행동적 문제로까지 심화되어 청소년 비행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성적이 나오지 않는다고 아이가 공부를 안 한다고만 생각하셔서는 안됩니다.
아이가 글을 읽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는 않는지, 학습 능력 향상에 있어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지는 않은지
따뜻한 관심으로 지켜봐주고 살펴주어야 합니다.
공부하는 아이! 글자가 읽혀요!
1. 짧은 글부터 차근차근
처음엔 단어를 읽어보고, 다음엔 시를 읽어보고, 다음엔 동요의 가사를 읽어보는 등 읽기 연습은 짧은 글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이 혼자 하는 것이 아닌, 보호자와 함께 읽는 것입니다.
부모의 강요로, 숙제처럼 이어지는 글 읽기 연습은 아이에게 글에 대한 반감을 심어주게 됩니다.
보호자와 함께 놀이를 하듯이, 재미있는 글을 읽으며 연습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글의 짜임 공부하기
글의 짜임을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사람들에게 꼭 전달해야 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글, 좋아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담아 작성한 글, 정보를 전달하는 글, 홍보하는 글 등등 글의 목적에 따라 어떤짜임새를 갖는지 함께 알아볼 수 있습니다.
3. 글의 목적에 맞게 따라 읽기
글과 어느정도 친해졌다면, 글의 목적과 짜임을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면
글의 목적에 맞게 목소리 톤과 감정을 달리하여 읽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보호자와 함께 동화를 읽는다면, 아이들에게 읽어주듯이 따뜻하고 친절한 목소리로 천천히 읽어볼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개별 및 사회성 치료 초등 저학년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4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29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d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김동일(金東一),김희주(金熹珠),김희은(金喜垠),and 안성진(安成眞). "난독증 및 읽기 부진 학생 대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9.2 (2018): 403-427.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정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