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자루를 들고 논으로 가면 바람을 가르는 재비들 사이에서 하루를 보냈고 호미를 들고 밭에 나가면 간밤에 파 놓은 두더지 굴 바뚜버리에 들쥐가족 뽕나무에 걸쳐진 새박이 그런 땅에 이랑을 치고 씨앗뿌리고 해마다 숨이 칵칵 막히는 7-8월 땡볕에는 목줄을 타고 내리는 소금덩어리가 서너 말은 넘었다.
그렇게 순 땅만 파먹고 뼈가 녹도록 일하여 9남매를 다 키워 객지로 내 보내고 살만하니 덜컥 할머니가 먼저 세상을 뜨시고 홀로 고향에서 살다가
나이가 80을 넘기니 다리가 후들거려서 더 이상 농사도 못 지을 정도로 노쇠해져가도
9남매 중 아무도
"아부지요 이제 농사 일 그만 하세요.." 위로 하는 자식 없다가
그늠의 정치 꾼들이 경북 도청을 이전한다며 20년 넘게 떠들었는데
그 때마다 경북 도청이 구미로 간다니, 영천으로 간다니..하다가 영배미 골 넘어 양배미로 결정이 나고 난 이후
여기저기 "땅 매입 합니다" 라고 하는 현수막이 펄럭이고 땅도 별로 좋치 아니하던 산 아래 천수답 김 노인 땅도 덩달아 올랐다.
부동산 업자는 김노인 산 아래 땅은 절대농지도 아니고 잡종지이고 도청이전 예정지로부터 불과 2 km 떨어지고 산 속이라서 "모텔이나 식당하면 아주 좋은 자리!" 라며 돈을 더 쳐 줄터이니 땅을 팔라고 몇번이고 찾아왔지만 김 노인은 "문전옥답을 우째 파닛껴..안파니더" 고개를 저었다.
평당 3만원에도 팔리지 아니하던 땅이 읍내에 20개도 넘는 부동산 사무실이 들어서고 나서 십만원이 훌쩍 넘어서자
영배미 마실에도 도시 자가용들이 들락거리고 객지 자식들도 갑자기 양철영감 뽕밭뚜버리에 땡벌집에 벌 들락거리듯이 자주 고향 부모님들을 찾았다.
한마디로 孝女孝子 家家在라 갑자기 영배미 마실에도 도시 효자들이 득실 거렸다.
자연 한두집 늙은 농부들은 평생 땅만 파고 살던 고향집을 정리하고 며느리 성화?에 못 이기는척 대구로도 가고 인천으로도 떠나 갔다.
김 노인도 그리 내키지 아니하지만 유독 맏 며느리가 땅을 정리하고 서울 올라오시면 남은 여생을 더운 물이 콸콸 나 오는 아파트에서 편하게 지내시게 해 준다며 사정 사정 하여 결국 조상이 물려 준 문전 옥답을 정리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첫째 아들도 둘째 아들도 셋째 아들도.... "한 일억씩만 도와주시면 이참에 30평 짜리 아파트를 팔고 40평으로 늘리겠니더" 하면서 늙은 아비에게 보챘다.
허긴 땅이 오르고 벌써 몇 집이 형제간에 싸움도 벌어지고 심지어 미국 이민갔던 아들도 돌아와서는 자기 몫을 요구하는 집도 있었다.
김노인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이러다간 자신이 죽고나서 자식들이 땅 싸움에 휘말려 자신의 묘 앞에 술 따라야 할 제삿 날에는 여느 집처럼 형제들이 따로 따로 올 것 같은 걱정도 앞섰기 때문이다.
결국 땅을 정리하고 서울 맏 아들 집으로 가기로 했다.
땅 판 돈을 자식들에게 나누어 주는 날...
서울서 제법 사는 둘째 며느리와 자신을 모시겠다는 맏 며느리 사이에 결국 설전이 오가고 ... 부산서 아파트 앞에서 채소 장사하면서 어렵게 사는 딸은 눈물 찔끔 거리면서 떠 났다.
폭삭 늙은 농부가 서울로 떠날 준비를 할 즈음 .... 이미 반년 전에 땅을 팔고 일산에 사는 아들 집에 갔던 논실댁이가 도로 시골로 내려 왔는데... 돈은 자식들에게 다 빼앗끼고 고향에서 기거 할 방이 없어서 본동네는 살지 못하고 절뒤마을 빈집에 들어 갔다는 이야기가 자꾸 마음에 걸렸다.
마을 늙은 친구들 배웅을 받으면서 눈물을 비치며 고향을 떠났던 김노인이 무슨 연유인지 3개 월 만에 다시 고향으로 내려 오셨다.
달랑 옷 보따리 하나만 들고 읍내 버스 정류장에 내린 김노인은 밝은 대낮에는 고향 마실로 들어서기 너무 부끄러워 읍내 뒷 쪽 천방 뚝 아래 쭈그리고 앉아 있다가 캄캄한 밤이 되어서야 고향 마을로 돌아와서,
석달 전 버리고 간 고향 빈집으로 더듬더듬 다시 들어가셨는데 간간히 꺼이꺼이 낮은 헛 기침 소리가 새벽이 다 되도록 들리셨다.
마을에 늙은 할매들이 그런 김노인에게 먹을 음식을 갖다 주었지만 당체 입에 넣치 아니하시고 도로 밀어 내시었고 그런 중에도 아홉명의 자식들은 단 한명도 찾아 오지 않았다.
고향 빈집에서 며칠 밤을 보낸 다음 날 풍산 장날이 서던 날이다.
김 노인은 새벽에 일어나 마당 우물 물을 가마솥에 부어서 펄펄 끓인 후 자신이 오래세월 소를 키웟던 마굿 칸에서 목욕을 하기 시작했다. 목욕하는 사이 낮익은 쥐가 물끄러니 김 노인을 처다보고 앞 마당에 첫 아들 낳던 해에 심었던 반수감나무에서 평소처럼 까치도 울었다.
목욕을 마친 김노인은 할머니가 살아 있을 때 만들어 주신 깨끗한 한복을 갈아입으시고..... 다시 고향 집을 나섰다.
마침 느티나무 아래서 당파 씨를 고르던 이웃집 시울실 할매와 구담댁 할매가 뽀오햔 한복을 입고 나서는 김 노인을 보시고는
첫댓글 우째 이런일이 자식들 애지중지 키워 봐야 다 소용없네 저러고도 잘 살수 있을까요?
댓글에 감사하며
편안한 하루가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