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설모 고기에서 어떤 냄새가 나는지 알아? 호두 향이야. 얼마나 호두를 먹어댔으면 그러겠어? 청설모의 ‘청’자만 들어도 진저리가 나. 맛? 음, 나쁘지 않지. 튀김이나 탕을 해먹는데, 지방질이 거의 없어 닭고기만큼 담백해.” 6월28일 오후 2시, 충남 천안시 광덕면 지장리의 SK건설 임업 부문(이하 SK임업) 천안사업소. 유병갑(50) 소장은 청설모(靑鼠) 얘기를 입에 올리면서 치를 떤다. 대체 청설모가 어쨌기에? 26년째 조림사업에 몸담고 있는 유 소장은 왜 청설모에게 이를 가는 걸까. 얼마나 한이 맺혔으면 청설모 고기의 ‘시식’까지 감행한 걸까. 청설모에 대한 유 소장의 분노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천안시 광덕면은 예부터 알아주는 호두 재배단지. SK임업 역시 이곳 땅 66만 평의 집단 조림지에서 3만4000그루의 호두나무를 가꾼다. 자체 작목반을 꾸린 일반 농가의 소유까지 합하면 광덕면 일대 호두나무밭은 물경 150만 평. 이렇게 드넓은 곳에서 재배되는 호두를 야금야금 빼앗는 놈들이 바로 청설모니, 얄미움을 넘어 적대감의 대상이 된 건 당연지사. 청설모는 광덕면 사람들에겐 ‘공공의 적’이다. 그것도 아주 강력한…. 한 마리가 연 40kg 먹어치워 천안이 ‘호두과자’로 유명세를 누린 것도 사실 ‘광덕 호두’ 덕분이다. SK임업 천안사업소에서 3km 남짓 떨어진 사찰 광덕사엔 천연기념물 398호로 지정된 오랜 호두나무가 있다. 그래서 광덕면은 국내 호두의 시배지(始培地)로 알려져 있다. 1980년대만 해도 광덕면의 호두 생산량은 국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그와 같은 영화(榮華)는 이젠 옛일. 중국산 호두 유입에 따른 가격 폭락, 호두나무의 노령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 청설모의 창궐 등이 그 이유다. 그중 주민들이 가장 골칫거리로 꼽는 것이 청설모다. 청설모가 광덕면에 첫 출몰한 때는 1980년대 초. 청설모로 인한 호두 농가 피해가 81년 처음 발생했다고 한다. 이후 90년대를 거치면서 청설모들은 여우, 담비 등 천적이 없는 안전한 환경에서 지천에 널린 호두를 ‘주식’으로 삼으며 광덕면 일대를 ‘점령’했다. 특히 호두알이 영그는 7월 하순부터 수확기인 9월까지 본격적인 피해를 입힌다. 번식력도 좋아 한 배에 새끼를 5~7마리 낳는다. 이처럼 성가신 놈들을 소탕하려 (사)한국조류보호협회(회장 김성만·이하 조류보호협회)는 ‘비밀 작전’을 짜고 있다. 수리부엉이의 투입이다. 수리부엉이는 청설모의 천적. 청설모는 물론 산토끼, 들쥐, 꿩, 개구리, 뱀 등을 먹이로 삼는 수리부엉이는 올빼미목 올빼밋과의 텃새. 몸길이는 약 70cm이며, 1982년 천연기념물 324호로 지정된 야행성 맹금류다. 조류보호협회 김상섭 아산시지회장은 “육식성인 수리부엉이는 어두워진 뒤 활동을 개시해 해 뜨기 전까지 움직인다”며 “수명은 15년 내외로, 성조(成鳥) 한 마리의 활동반경은 3~4km에 이른다”고 설명한다. 조류보호협회 측은 수리부엉이 한 마리가 하루 7~8마리의 청설모를 잡아먹을 것으로 추산한다. 조류보호협회의 ‘다친 새들의 쉼터, 용산조류방사장’(서울 용산). 여기엔 ‘출격’을 기다리는 수리부엉이들이 있다. 양계장의 닭을 습격하다 주인에게 혼이 났거나 차량에 부딪혀 부상당한 놈들이다. 조류보호협회 신충하 관리과장은 “보호 중인 수리부엉이 12마리 중 5마리는 지금 당장 방사(放飼)할 수 있을 만큼 건강상태가 양호하다”며 “하루 한 번 닭고기를 먹이는데, 컨디션이 매우 좋다”고 귀띔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