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를 하게 되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일이 있죠.
바로 전입신고.
예전에는 직접 주민센터에 방문해야 했지만,
지금은 온라인으로도 쉽게 처리할 수 있지요.
주소지를 옮기기 위해 인터넷으로
쉽고 빠르게 전입신고를 했답니다.
이번 시간에는 직접 알아 본
주소지 이전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전입신고의 정의
전입신고는 새로운 거주지로 이동했음을
관할 관청에 신고하는 것인데요.
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
전입신고 의무자
세대주
세대를 관리하는 자
본인(전입 당사자)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자
전입신고 방법
주소지 이전 방법에는 새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는 방법과
'정부 24'에 온라인으로 신고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온라인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볼게요.
정부 24 접속하시면 홈페이지 가운데에
파란 검색창이 있을 텐데요.
'전입신고'라고 검색하시면 메뉴가 뜹니다.
회원 및 비회원 상관없이 신청 가능하지만요.
온라인 주민등록 신고 시 세대주 확인을 위한
공동인증서 로그인을 해줘야 합니다.
즉, 주소지 이전 방법을 온라인으로 하는 경우
대리인을 통해 할 수 없다는 것~
STEP 1. 신청인 정보 기입
STEP 2. 이사 전에 살던 곳
STEP 3. 이사 온 곳
위 3단계에서 주소와 구성원을 선택하시면 끝.
* 새로 이사 간 곳으로 우편물을 받기 위해서는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을 선택하시면 돼요.
*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자녀가 있으면,
'초등학교 배정 정보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전셋집 이사 가시는 분은
확정일자 꼭 받으세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및 '실거주'
전세 계약에 있어서 보증금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법적인 장치인데요.
따라서 전셋집으로 이사 가시는 분은
확정일자를 꼭 받으셔야 합니다.
등기소나 행정복지센터에서 접수하거나,
(확정일자 수수료 600원)
인터넷등기소에서 접수 가능하니 참고해 주세요.
BUT 온라인은 확정일자를 받으려면,
임대차 증서를 스캔해서 올려야 해서 번거로움.
그냥 행정복지센터에 가서
접수하고 기다리는 게 더 나을듯싶습니다.
이사하고 나서 집안 정리에 정신이 없어서,
주소지 이전하는 것을 깜빡할 수도 있어요.
또한 행정복지센터 시간 맞추기도 힘들 것입니다.
10분도 안 걸렸던 온라인 주소지 이전 방법.
누구나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니,
여러분의 시간을 절약해 보아요.
감사합니다.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토지투자동호회밴드
(카페회원님들은 같이이용하시면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
첫댓글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
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