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례봉
“선생님, 이것이 무엇입니까? 저절로 생긴 것은 아닌 것 같은데, 혹시 공룡 시대와 관계가 있을까요?”
내가 초례봉(636m)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7-8년 전 쯤 된다. 안심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자주 오르는 등산로가 초례봉이라고 하였다. 그는 내게 산길의 바닥에 잔 돌과 흙으로 덮여 있는 바위의 사진을 갖고 왔다
바위 에는 서너 개의 작은 구멍이 파여 있었다. 자름이 4-5cm 쯤이고, 깊이는 2-3cm 쯤의 작은 구멍(穴)이었다. ‘어, 이건 성혈(性穴)인데’ 성혈이 틀림 없었다. 다음 주 일요일에 나는 그와 함께 초례봉을 답사하였다.
초례봉은 산 밑 마을인 각산동, 신서동에서 바라보면 가장 높은 산 봉우리이다. 초례봉에 올라 사방을 바라보면 북쪽에는 더 높은 감투봉(811m)이 가로막아 시야가 가리어진다. 그러나 동쪽과 남족, 그리고 서쪽은 가슴이 시원하도록 전망이 확 틔여 있다. 서쪽으로는 율하천이 흘러내려 금호강으로 들어가고, 금호강 너머에는 고산골과 지산동, 수성못까지 보인다. 남쪽은 하양에서 경산에 이르는 너른 들판이 한 눈에 들어온다. 넓은 평야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이곳은 예사롭지 않는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느낌은 나만의 것일까? 아득한 옛날의 우리 선조들도 틀림 없이 받았으리라는 생각이다.
1960년 대에 대구시와 경북대학교가 대대적으로 팔공산 지역의 지표조사를 하였다. 문화재를 조사하여 기록하였고, 온갖 전설이며, 민요며, 유적지를 수집하여 기록한 책을 만들어서 1500페이지에 달한 자료집을 만들었다. 팔공산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 책을 뒤적여 보았으나 초례봉에 관한 기록은 어디에도 없었다.
동국여지승람(신증)의 하양현 조를 보면 ‘초례산은 하양현 서쪽 20리 지점에 있다. 고려 태조가 견훤과 전투를 하고 이 산에 올라 제사를 올렸기 때문에 초례산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태조가 산신제를 올린 곳이라면, 그때는 성소가 틀림 없다. 왕건이 이곳 사람이 아닌 만큼 이 마을 사람들이 산천제사를 올린 성역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의 마을 주민들은 이곳에서 산신제나 제천의례를 행하는 곳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 용도를 잊어버렸다는 것이 맞는 말일게다.
2005년에 대구매일신문사에서 팔공산의 여러 지명을 조사한 내용의 ‘八公山河’라는 책을 발간하였다. 팔공산하에서는 마을 사람들은 초례봉을 조리봉으로 부른다고 하였다. 초례봉이라는 명칭에 대하여 좀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말을 덧붙여 놓았다.
무심코 넘겨버릴 수 없는 전설이 전해 온다. 견우와 직녀가 첫날 밤(初禮)을 치룬 곳이라서 초례봉이라 하였다. 초례라는 말은 성결합을 연상시킨다. 초례봉을 답사하였을 때의 산봉에는 남근석이 별나게 솟아 있는 모습이었다. 남근석이 있는 봉우리에는 바위들이 험하게 모여 있었다. 살펴보니 바위에는 주먹만한 성혈들이 여러 개가 보였다.
(*본문에 7-8년 전이라고 하였으나, 그건 이 글을 쓸 때이고, 지금부터는 약 20년 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