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靑 인문학 아카데미 1 Tongchung Humanities Academy | 541회 | 주제 | 강사 |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16) 설명범주 10,11,12. | 이태호 (통청원장/철학박사) |
2023. 4. 11 (화) 14:00~15:30 | 대구수성구립 용학도서관 시청각실 | 문의 | 053-668-1728 독서문화팀 통청담당 |
통청카페 | http://cafe.daum.net/tongchungdg |
통청通靑: 가장 정성스러운 소통을 통해 맑고 푸른 빛의 인간과 삶/앎을 추구함. |
화이트헤드의 범주들
Ⅰ. 궁극자the Ultimate의 범주(3개) : 일one, 다many, 창조성creativity
Ⅱ. 존재Existence의 범주(8개) : 현실적 존재자actual entity, 파악prehension, 결합체nexus, 주체적 형식subjective form, 영원한 대상eternal object, 명제proposition, 다수성multiplicity, 대비contrast.
Ⅲ. 설명의 범주(The Categories of Explanation)(27개)
Ⅳ. 범주적 제약Categoreal Obligation(9개)
------------------------
Ⅲ. 설명의 범주(The Categories of Explanation) 27개 중 (10), (11), (12).
(10) 현실적 존재자에 대한 가장 구체적인 요소로서의 최초의 분석은, 그 현실적 존재자가 자신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던 여러 파악들의 합생임을 드러내 보여준다. 그 다음의 모든 분석은 파악에 대한 분석이며, 파악에 의한 분석은 <분할division>이라고 불린다.
(11) 모든 파악은 세 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a) 파악하는 <주체subjec>, 즉 그 파악을 자신의 구체적인 요소로 하고 있는 현실적 존재자. (b) 파악되는 <여건datum>. (c) 그 주체가 그 여건을 파악하는 방식인 <주체적 형식subject form>.
현실적 존재자에 대한 파악, 즉 그 여건에 현실적 존재자가 포함되어 있는 파악은 <물리적 파악physical prehension>이다. 그리고 영원한 대상에 대한 파악은 <개념적 파악conceptual prehension>이다. 이 두 가지 유형의 파악의 주체적 형식 중 어느 것도 반드시 의식을 포함하고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12) 두 종류의 파악이 있다. 즉 (a) <느낌feeling>이라고 불리는 <긍정적 파악positive prehension>과 (b) <느낌으로부터 배제>라고 하는 <부정적 파악negative prehension>. 부정적 파악도 주체적 형식을 가지고 있다. 부정적 파악은 그 여건으로 하여금, 그 주체의 통일성을 구성하는 파악의 전진적 합생에 있어 작용하지 못하도록 한다.
-------------------------------
이번 설명범주 (10), (11), (12)는 파악(prehension)에 대한 설명이다. 파악은 관계성의 구체적 사실(concrete fact of relatedness)이다. 이때 관계하는 주체는 현실적 존재자이며, 관계되는 여건은 그 현실적 존재자를 둘러싼 다른 현실적 존재자들과 가능적 존재자(영원한 대상)들이다. 관계하는 주체가 관계되는 여건들을 자신의 세계 안으로 받아들여 내적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관계성의 구체적 사실이며 파악이다.
따라서 “현실적 존재자에 대한 가장 구체적인 요소로서의 최초의 분석은, 그 현실적 존재자가 자신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겨났던 여러 파악들의 합생(concrescence)임을 드러내 보여준다. 그 다음의 모든 분석은 파악에 대한 분석이며, 파악에 의한 분석은 <분할division>이라고 불린다.” 합생은 다수의 존재자들로부터 하나의 현실태(현실적 존재자)가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분할은 가능적이지, 현실적이지 않다.
파악은 파악하는 주체, 파악되는 여건, 그 주체가 그 여건을 파악하는 주체적 형식이라는 세 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악되는 여건이 현실적 존재자일 때는 물리적 파악이라고 하고, 영원한 대상일 때는 개념적 파악이라고 한다. 그리고 두 가지의 파악 모두 의식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파악에는 ‘느낌’이라고 불리는 긍정적 파악이 있고, ‘느낌으로부터 배제’라는 부정적 파악이 있다. 그러나 부정적 파악도 주체적 형식은 있다.
〈이어지는 강의 예고〉
▪ 542회(2023.4.18.) : 톨스토이의 비폭력 사상, 최금희(방송3사 출연 인문학 강사) ▪ 543회(2023.4.25.) : 에세이와 자전적 소설, 최금희(방송3사 출연 인문학 강사) ▪ 544회(2023.5.2.) : 장자 해설(5), 이태호(통청원장/『노자가 묻는다』 저자) ▪ 545회(2023.5.9.) : 장자 해설(6), 이태호(통청원장/『노자가 묻는다』 저자) |